•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공디자인사업 수행 프로세스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Work Processes in Public Design Projects)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1 최종저작일 2013.06
11P 미리보기
공공디자인사업 수행 프로세스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2권 / 3호 / 143 ~ 153페이지
    · 저자명 : 박수경, 문정민

    초록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도에 디자인부서가 신설됨을 필두로 적극적인 디자인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계기로 각 지방자치단체는 공공디자인 관련 행정조직 및 제도를 정비하고 공공디자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및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는 2007년 ‘지자체 디자인행정 매뉴얼’을 발간하여 관계 공무원들의 디자인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 2011년 행정안전부에서는 ‘지자체 공공디자인 추진 시 고려사항 연구’를 추진하여 사업 수행의 과정의 매뉴얼을 위한 고려사항을 제시하는 등 공공디자인사업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공공디자인 사업은 체계적이지 않는 사업추진에 따른 비전문적인 사업기획에 의한 예산의 부적절함, 디자인 개발과정의 비전문성, 관련조직의 비협조, 완료 후 관리체계의 미흡 등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공공디자인 사업의 수행에 있어서 과정과 절차중심의 모델이 되는 장치로서의 프로세스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공공디자인사업 수행의 프로세스 모델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로서 공공디자인사업의 전략적인 수행을 위한 프로세스 구조와 수행과정에서의 방법과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경영전략에 기초하여 공공디자인사업의 프로세스의 구조를 파악하고 선진사례를 통하여 공공디자인사업의 수행 프로세스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크게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의 2가지 방법으로 진행된다. 공공디자인사업의 프로세스의 구조분석을 위한 이론적 접근으로써 경영전략에 있어서의 전략의 개념과 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공공디자인사업의 경영 전략적 측면에서 수준을 파악하였으며 디자인개발 과정을 위한 디자인경영전략의 프로세스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공공디자인사업의 프로세스를 관련 이론과 사례를 중심으로 검토해 본 결과 연구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디자인사업의 프로세스는 경영전략과 디자인경영전략의 관점에서 검토하였을 때, 2가지 차원을 포함하고 있었다. 공공디자인사업은 일반 프로젝트의 전략적 프로세스과정의 전략기획, 목표수립, 환경분석, 전략수립, 전략실행, 전략평가의 단계 중 전략실행의 단계에서 디자인개발을 위한 과정이 포함됨을 알 수 있었다.
    즉, 이러한 2가지 차원은 공공디자인사업의 특성에 따른 별도의 프로세스의 개발의 필요성을 의미한다.
    두 번째, 공공디자인 사례분석을 통해 사업의 수행단계별로 유용한 방법론과 주요 프로그램을 파악하여 국내 공공디자인사업의 수행의 기획단계, 실행단계, 평가 및 유지관리의 각 단계에 필요한 방법론과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토대로 추후 국내공공디자인사업 수행의 현황에 근거하여 국내 공공디자인사업의 수행에 적합한 프로세스의 모델이 개발가능하다고 판단되며 이는 국내 공공디자인의 일괄적이고 체계적인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Since a government design department office was set up in 2007, active design projects have been implemented. With this opportunity, each local self-governing organization has improved its administration and institutions, and are planning intensive research on public design for efficient execution of public design projects. However, recent public design projects have caused many problems due to unspecialized design processes, a lack of cooperation with relevant organizations, and unsatisfactory management systems after projects. Therefore, to overcome such problems in the execution of public design projects, a procedure-centered model should be developed.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process structures for the strategic execution of public design projects, and the methods and content of the execution proces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looked into the process structures of public design projects based on design management strategies in order to draw suggestions needed for the execution process through advanced cases. The study is summed up as follows: First, when the process of public design projects was examined in terms of management strategies and design management strategies, it included two dimensions: the management structure of general projects and the design of development projects. Secondly, through the analysis of public design cases, this study discovered useful methodologies and the main programs used and drew suggestions needed for each step in public design project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a process model appropriate for national public design projects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project execution and to make a contribution to systematic development in national public desig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3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