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판소리 중모리 장단의 ‘떠는목’에 관한 연구-안숙선․오정숙․박록주 창을 중심으로- (A Study on ‘Tteoneun mok’ of Pansori Jungmori -Focusing on An Sook-seon․Oh Jeong-sook and Bak rok-ju-)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0 최종저작일 2013.06
30P 미리보기
판소리 중모리 장단의 ‘떠는목’에 관한 연구-안숙선․오정숙․박록주 창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53권 / 139 ~ 168페이지
    · 저자명 : 최상화, 양미지

    초록

    판소리는 대표적인 한국 전통 성악곡으로 2003년 유네스코 인류의 무형유산으로 등재 되어 있으며, 남도소리 특유의 음악적 표현이 압축된 긴 이야기를 노래로 부르는 극음악적 형식을 지니고 있다. 판소리에서 소리는 서사적인 이야기를 다채로운 성악적 기법을 내포하는 큰 의미로 보고 있으며 음악적 문맥 속에서 의미를 갖기 위하여 제각기 독특한 시김새를 갖는다.
    이런 의미를 주기 위해 창자는 어떤 음은 떨고 어떤 음은 끌어내리고 어떤 음은 평으로 내어 서사적인 내용을 음악적 선율에 담아 전달한다. 이는 판소리의 음악어법을 구성하는 선율 속에서 각각의 독특한 시김새적 음기능을 갖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연주 기법을 요성법, 전성법, 퇴성법이라고 하는데 요성은 현악기에서는 농현이라고 하고 관악기에서는 농음 혹은 요성이라 하며 성악에서는 ‘떠는목’이라고 칭한다. 즉 판소리의 ‘떠는목’은 창자가 소리할 때 음을 떨어내는 기법을 뜻한다.
    이에 본 연구는 판소리 중에 가장 많이 출연하는 중모리 장단을 중심으로 오정숙․안숙선․박록주 명창의 춘향가 중 <쑥대머리>대목과 심청가 중 <선인들 따라가는>대목을 중심으로 ‘떠는목’의 음악적 어법을 음향학적 측면으로 측정하여 ‘떠는목’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각 음원을 채보 한 후, 오선보 악보로 제시하고 보다 더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음악 샘플링 프로그램인 사운드 포지(Sound forge)를 이용하여 밝혀보았다.
    그 결과 판소리 중모리 장단의 ‘떠는목’의 농현[진동]횟수는 음의 길이에 따라 3박 ( )에 12회, 2박( )에 8회, 1박(♩)에 4회, 1/2박(♪)에 2회가 일정하게 나타났다. 둘째, 판소리 중모리 장단의 ‘떠는목’에 일정하게 나타난 농현[진동]횟수는 리듬형식을 구성한다. 농현[진동]횟수를 분석한 결과 1초에 약 5~7회 일어나는 규칙적인 리듬형식을 구성하였다. 이는 ‘떠는목’의 떠는음이 약 ‘1초에 5~7회 일어나는 강세로서 일정한 리듬을 가지고 있다’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즉 판소리의 ‘떠는목’이 창자의 즉흥적인 음악적 요소가 아니라 한 장단에 따라 그 횟수가 일정하게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리듬 분할의 역할을 지닌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중모리 장단의 ‘떠는목’에 나타난 농현[진동]횟수는 일정하게 같으나, 음폭의 변동 강도로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구사한다. 사운드 포지 그래프 파형의 진동 폭을 통해 ‘떠는목’의 음의 길이가 2박 이상 일 때는 처음부터 음폭의 변동 강도를 높여 격렬하게 떨어주며, 음의 길이가 1박 보다 짧을 때에는 대체로 음폭의 변동이 규칙적으로 일정하게 나타나는 특징을 볼 수 있다.
    넷째, 중모리 장단 ‘떠는목’에 일정하게 나타난 농현[진동]은 전체적인 악곡의 속도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나타난다. 이는 전체적인 속도가 달라지더라도 떠는목의 농현[진동]횟수는 일정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앞으로 판소리 연구에 있어 ‘떠는목’의 판소리 음악 어법의 특징을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 판소리 교육법 및 발성법 연구의 기초가 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 본다. 이번 연구는 떠는음의 음향적 연구에 한정되어 아직 판소리의 ‘떠는음’의 전체적인 기능을 살펴보기에는 소논문의 한계 상 부족한 면이 없지 않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안숙선․오정숙․박록주의 전문적인 명창의 계량화된 수치들을 통해 앞으로 판소리 발성법 훈련과 음악적 연구에 있어 보편적인 청각 미학을 느낄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Pansori, type of Namdosori, is a dramatic music form by which an epic and dramatic long story is expressed as a song. The Sori of Pansori is the various vocal techniques in epic song. As such, Sori of Pansori has unique ‘Sigimsae’ in order to transmit a meaning in musical context. In order to transmit this meaning, Sori singers address epic content of Pansori throught vibrato, dragging out certain sounds or lax consonant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each the sound has its unique function in sound structure comprising the music expression of Pansori. The performance technique are called as Yoseongbeob․Jeonseongbeob․Toiseongbeob. Tteoneun mok is called Nong hyun in string instruments, Nong eum.
    Tteoneun mok in wind instruments and vibrato in vocal music. In other words, the vibrato (Tteoneun mok) of Pansori is a technique of keeping the beat while the Pansori singers considering this study intends to observe characteristics of vibrato by measuring musical expression of vibrato and frequency of Nong hyun in Gyemyeon scale of Chunhyangga and Simcheongga among different Pansori.
    The Range of this study will be the characteristics of vibrato based on Jungmori Jangdan of Gyemyeong scene of Chunhyangga, Simcheongga song by master singers including Oh Jeong-sook․An Sook-seon and Bak rokju. Research method is to identify such characteristics by using sound forge, a music sampling program, after presenting each sound source by staff music score followed by transcribing it (making music score after listening to melody) in order to ensure more accurate measurement.
    From the result, music expression of Tteoneun mok in Jungmori Jangdan can be identified as follows. It was discover that the frequency of Tteoneun mok in Jungmori Jangdan is represented to be 12 times in , 8 times in , 4 times in ♩ and 2 times in♪.
    It is considered that this research result would provide an important data through which aspect of Pansori music expression could be observed in a various way by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Tteoneun mok in research about Pansori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