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李白의 이미지 유형과 이백 문학의 회화 (The Representation of Li Bai in Visual Arts and Paintings on His Literary Theme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0 최종저작일 2012.06
37P 미리보기
李白의 이미지 유형과 이백 문학의 회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74권 / 274호 / 111 ~ 147페이지
    · 저자명 : 유순영

    초록

    이 논문은 시각문화에 표상되어 있는 李白(701-762)의 이미지 유형과 그의 문학이 시각화되는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이백은 脫俗的인 酒徒狂客이자 禮法을 거부하는 자유분방하고 오만한 기질을 지닌 독특한 페르소나(Persona)의 인물이다. 특히 실상을 넘어선 새로운 성격과 다양한 면모를 부여받은 인물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이백을 제재로 한 다양한 주제와 형식의 시각문화가 표상하는 것은 무엇이며, 그의 아우라(Aura)를 좌우하는 문학작품의 시각적 재현양상은 어떠한지를 살펴봄으로써, 한 인물에 대한 문화현상을 종합적으로 검토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역사적 인물로서 이백의 실상과 인간적 기질, 그리고 후대에 신비화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는 정치적 불운과 자유분방한 기질로 인해 유교적 이상을 실현하지 못한 채 술과 방랑, 도교적 초월로 현실을 극복하려 한 인물이다. 그러나 사후에 일련의 윤색과정을 거쳐 가공의 인물로 재탄생한다. 송대에는 출생과 죽음, 장안 생활이 미화되어 官撰史料에 수록되었고, 원대 이후에는 雜劇과 話本소설에서 새로운 일화와 再編된 이야기들이 만들어졌다.
    시각문화에 표상된 이백의 이미지는 네 가지 유형으로 고찰해보았다. 翰林供奉의 관리, 詩酒風月의 낭만적 풍류객, 불의에 저항하는 영웅, 도교의 초월자, 신선이다. 초상화와 석각 및 판화에 그려진 인물상에는 翰林學士를 지낸 官歷이 잘 드러나며, 낭만적 풍류객의 모습은 行吟, 捉月, 賞月, 泛舟, 觀瀑 등 다양한 화제로 나타나고, 酒仙의 형상에서 극대화된다. 高力士, 楊貴妃 등과 관련된 역사고사화에서는 불의에 저항하는 영웅의 이미지를, 산중에 은거한 道人과 신선이 되어 昇天하는 모습에서는 도교의 초월자로서의 이미지를 읽을 수 있다.
    이백의 시 가운데 詩意圖로 그려진 詩題는 30首 이상으로 파악된다. 杜菫은 白描人物畵法과 馬夏派 화풍이 잔존하는 浙派화풍의 시의도를 그렸으며, 명대 후반기 蘇州화단과 명말기 문인들은 복고주의 문학론에 힘입어 각자 개성적인 작품을 선보였다. 소주 지역 화가들의 작품에서는 「望廬山瀑布」와 「蜀道難」의 시각화 양상을 볼 수 있으며, 李流芳과 項聖謨는 사의적인 문인화풍의 작품을 남겼다. 청대에는 蕭雲從과 石濤가 각각 판화와 회화로 독특하고 개성적인 시의도를 남겨 주목된다. 李白詩意圖는 도연명, 왕유, 두보시의도에 비하면 그 수가 적은 편인데, 이는 호방하고 낭만적인 詩風이 추앙의 대상이 되기는 했으나 詩學을 학습하는 데 적절한 모델은 아니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春夜宴桃李園圖는 정원을 배경으로 한 雅集圖 계열의 작품으로, 명대 후기에 雅會圖가 크게 유행하면서 다시 부각되었다. 명말에는 정원의 詩會장면과 야외아집도 분위기의 작품이 공존하다가 청대에는 산수표현이 강조되는 경향으로 변모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various types of representations of Li Bai (701-762) in visual art forms and visual languages used to translate his poems in these art forms. The prototype ‘drunken poet,’ Li Bai was an eccentric man who was free-spirited and spurned conventions.
    Interestingly, the life and legacy of this larger than life literary figure have been constantly reinterpreted and given new dimensions through the course of histor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Li Bai is represented in the many visual artworks that are either thematically or formally inspired by him and how his poems that are the concrete sources of the manifold images of him are visually rendered in them, as an attempt to develop a global understanding of cultural phenomena spawned by this literary figure.
    The paper begins by looking at established facts about his life and attempts to sketch out a portrait of Li Bai both as a man and as a poet. The paper then proceeds to examine the process through which a personality cult was developed around him after his death. During his lifetime, Li Bai’s pursuit of Confucian social ideals was foiled by a series of political misfortunes and his own convention-flouting behavior. Disillusioned and frustrated, Li Bai turned to drinking and wandered across the country, while seeking an escape from reality through Taoism. After his death, Li Bai was reinvented through an amount of posthumous embellishing. During the Song Dynasty, the story of his life was included in state-published history books, with embellished accounts of his birth, death and the period of his life spent in the capital. During the Yuan Dynasty and thereafter, new anecdotes or retold accounts of known anecdotes from his life were made into plays or novels.
    In this study, images of Li Bai as projected in visual arts are examined by focusing on four main types of representation: A scholar-official who was a member of Yu-lin, a romantic portrayal of a wandering poet, a hero rebelling against the establishment and a Taoist near-immortal above mundane. Portrait paintings, stone carvings and woodcuts representing Li Bai depict him most often as a scholar-official of Yu-lin. Meanwhile, representations of Li Bai as a romantic wandering poet, enamored with wine, take various forms ranging from a poet in exile, poet drowning while attempting to grab the moon reflected on the river, poet contemplating the moon in the night sky, poet enjoying boating and a poet delighted by the view of a waterfall, while the most emphatic expression of it doubtless remains his image as the ‘immortal of wine (Shixian).’ Li Bai is portrayed as a hero warring against injustice in stories involving historical figures such as Gao Lishi and Imperial Consort Yang Guifei. Finally, the poet is a Taoist hermit living in retreat in deep mountains who eventually becomes an immortal and is lifted to heaven.
    There are some thirty or more Li Bai’s poems that are painted. Du Jin painted on themes from poetry in the style of the Zhe School, blending the Baimiao(白描) figure painting technique and displaying a hint of influence of the Mahsia school. In the late Ming Dynasty, works showing strong individual personalities were produced both in the art circles of Suzhou and by literati painters amid the revivalism in literature. Such poems by Li Bai as ‘Wang lushan pubu (View of a Waterfall in Lushan)’ and ‘Shu dao nan (Hard Roads in Shu)’ were popular themes among Suzhou painters. Li Liufang and Xiang Shengmo, meanwhile, left literati-style paintings having distinct personal stamps. During the Qing Dynasty, Xiao Yuncong and Shi Tao made original and memorable renditions of poems of Li Bai, in woodcuts and paintings. Compared to paintings on poems by Tao Yuanming, Wang Wei or Dufu, for example, works on Li Bai’s poems are fewer in number. This appears to be due to the fact that the latter’s poems, although admired for their free and romantic qualities, were not considered the right kind of models for studying poetry.
    Paintings on Banqueting in Peach and Plum Garden on Spring Night, however, received renewed attention in the late Ming Dynasty thanks to the popularity of the paintings known as “yaji-tu(雅集圖),” which most often portrayed scenes in a garden. This Theme, mainly rendered through scenes of poetic gatherings in a garden or outside in the late Ming period, became visualized, later during the Qing Dynasty, in works laying greater emphasis on landscap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