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속초 普光寺 <목조지장보살좌상>과 彫刻僧 草安 (Seated Wooden Bodhisattva of Bogwangsa Temple and Monk-sculptor Choa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0 최종저작일 2012.06
27P 미리보기
속초 普光寺 &lt;목조지장보살좌상&gt;과 彫刻僧 草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74권 / 274호 / 83 ~ 109페이지
    · 저자명 : 최선일

    초록

    본 논문은 강원도 속초시 보광사 대방에 봉안된 <목조지장보살좌상>을 제작한 초안비구에 관한 연구이다. 이 보살상은 2010년 9월에 사찰의 의뢰를 받아 樹種과 年輪年代 등을 조사하던 중에 복장물을 비롯하여 발원문이 조사되어 조선후기 보살상 연구에 기준이 되는 작품이다.
    발원문에 의하면 <목조지장보살좌상>은 1654년 금강사 안양암에 봉안하기 위하여 登徽가證明을 맡고, 초안이 제작하였다. 그런데 이 불상의 대시주로 나오는 한씨는 남편인 숭록대부 나업의 극락왕생을 바라는 마음에 시주를 하는데, 증명으로 참여한 등휘도 부모께서 모두 해탈을 하여 극락구품 연화대에 왕생하기를 기원하는 것으로 보아 불상의 조성에 시주자로 참여한 후원자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이 불상을 제작한 초안은 기존에 1659년 수화승 三忍과 전남 고흥 금탑사 <지장보살>과 <시왕상>을 제작한 조각승이다. 따라서 초한이 수화승으로 제작한 불상이 이번에 처음으로 밝혀진 것이다. 또한 1740년에 초흠과 풍택이 지장보살좌상을 중수하는데, 초흠은 1739년 서울 학도암 괘불도를 조성한 불화승으로 18세기 불상의 중수와 개금을 불화승이 담당하였음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목조지장보살좌상>은 높이 46㎝의 중소형 불상으로, 민머리의 聲聞比丘形이다. 지장보살은 상체를 앞으로 약간 내밀고, 佛身과 따로 제작된 양 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수인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손의 형태는 조선후기 제작된 釋迦佛을 제외한 대부분의 존상들이 공통적으로 취하고 있는 手印이다.
    보살은 각이 진 얼굴에 가늘게 뜬 눈, 원통형의 코, 미소를 머금은 입을 가지고 있다. 착의법은 두꺼운 대의 안쪽에 扁衫을 입고, 대의자락의 한 가닥을 들어 올린 손목 뒤에 비스듬히 걸치고, 팔꿈치와 배를 지나 왼쪽 어깨로 넘어가고, 왼쪽 어깨의 대의자락은 수직으로 내려와 반대쪽 대의자락과 겹쳐져 있다. 하반신을 덮은 옷자락이 완만하게 흘러 내려 표현된 것은 17세기 중반부터 나타나는 대의처리이다. 대의 안쪽에 가슴을 가린 僧脚崎는 수평으로 묶어 상단에 연판형의 주름이 접혀있다. 불상의 뒷면은 목 주위에 대의를 두르고, 왼쪽 어깨에 앞에서 넘어온 대의 자락이 길게 늘어져 있다.
    이와 같은 얼굴의 인상과 착의법을 한 조선후기 불상으로는 전남 장성 백양사 목조지장보살좌상으로, 1640-50년 사이에 초안이나 그 계보 조각승에 의하여 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인균(-1615-1655-)→삼인(-1628-1659-)→초안(-1654-1659-)으로 이어지는 조각승 계보는 17세기 중반의 불교조각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임진왜란이 끝나고 사찰의 중창과 중건이 진행되면서 지장전의 건립과 비례하여 지장보살이 제작되는 상황을 중심으로 여러 조각승들이 만든 지장보살의 양식적인 검토를 통하여 공통점과 차이점 등을 구체적으로 밝혀보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wooden sculpture of seated Ksitigarbha located in the Daebang Hall of Bogwangsa, Sokcho, Gangwon-do, and the monk-sculptor Choan who created it. According to the votive inscription found inside the statue, with a text describing the circumstances and purpose of its creation, the seated Ksitigarbha was made in 1654 by Choan to house it in Anyangam Hermitage of Geumgangsa Temple.
    In 1659, Choan rendered another statue of Ksitigarbha and that of Ten Kings of Hell for Geumtapsa Temple in Goheung, Jeonnam, together with the head monk-sculptor Samin. The seated Ksitigarbha of Bogwangsa was repaired, nearly a century later, in 1740, by Choheum and Pungtaek. Choheum was a monk-painter who painted the Gwaebuldo (outdoor banner painting) of Hakdoam Hermitage in Seoul (1739).
    The wooden statue 46cm in height, and represents bareheaded Ksitigarbha, so-called as seongmunbigu. The upper body is slightly projected forward, and the two hands, separately created and added to the body, are gathered in a mudra, with the thumb of one touching the tall finger of the other. The face has sharp angles, and the eyes are represented by two thin slits with a cylindrical nose and a mouth lit by a small smile. Ksitigarbha dons two layers robes, the inner robe and the outer robe. The inner robe, visible behind one hand of Ksitigarbha, grabbing and holding up the outer robe, hangs obliquely and covers the elbows and abdomen, then stretches to the left shoulder. One end of the outer robe hangs from the left shoulder falls vertically and overlaps with the other end from the right side over the lap.
    The skirt covering the lower half of the body is shown flowing loosely, following the drapery style popular since the mid-17th century. The upper inner robe is bundled horizontally and has lotus petal-shaped folds along the top edge. The backside of the statue has details such as an end of the outer robe continuing around the nape, and another end of it descending from the left shoulder down the back torso.
    Similar wooden seated Ksitigarbha, having similar facial traits and garment details, housed in Baegyangsa Temple in Jangseong, Jeonnam. Based on stylistic similarities, Beaygansa wooden seated Ksitigarbha appears to have been rendered around1640 and 1650, by Choan or another monk-sculptor sharing the latter’s line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