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시아 섬의 민요 공동체에 담긴 인간다운 삶의 길 찾기 (Seeking the way of human being of island folk song community in Asi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0 최종저작일 2013.04
28P 미리보기
아시아 섬의 민요 공동체에 담긴 인간다운 삶의 길 찾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50호 / 67 ~ 94페이지
    · 저자명 : 나승만

    초록

    이 글에서는 아시아 섬을 논의의 대상 지역으로 설정하여 섬 주민들이 추구해온 인간다운 삶의 길을 민요 공동체의 활동을 통해 찾고자 했다. 먼저 아시아 섬 민요 공동체에 주목한 이유로 민요 공동체의 활동이 섬 주민들의 의식을 상징화하여 표현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섬 민요 공동체 활동을 통해 체계화한 인간다운 삶을 지향하는 양상을 노래 공동체, 노동 공동체의 노래 연행과 재미있는 삶 만들어 가기의 과정 속에서 찾고자 했다. 또 청춘 남녀들의 노래 공동체 속에서 소통과 즐김의 유희 정신을 찾았으며, 어로민요 공동체의 공유적 분배에 담긴 공동체 정신을 섬 민요 공동체에 담긴 인간다운 삶의 길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섬 민요 공동체의 억압에 대응하는 양상을 통해 억압에 대응하면서 인간 해방의 길을 찾기 위해 노래하는 양상들을 검토했다. 억압의 실체가 대부분 국가 권력인데, 일제 강점에 대항하여 교육 공동체 노래운동을 통해 자유와 평등의 길을 찾아보려 했던 소안도 주민들의 노래운동을 검토했다. 그리고 류큐(Okinawa)의 반전 평화을 위한 노래운동과 제주도 4.3 사건과 국가 폭력에 대응하며 평화의 길을 향해 나아가는 노래 운동의 가능성을 통해 민요 공동체의 평화운동 지향을 고찰하였다.
    아시아에서 인간다운 삶의 길 찾기는 어려운 일이지만, 섬의 민요 공동체 활동 속에서 이 길을 찾아볼 수 있다. 아시아 섬의 민요 공동체들은 인간답게 사는 섬 문화를 만들도록 노래 운동으로 실천해 왔다. 오늘날 인간다운 삶을 훼손하는 반 인문적 사회 현실 속에서 이를 극복하고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는 아시아를 만들기 위해서는 소통, 대화, 평등, 박애, 신명, 즐김, 배려, 나눔이라는 섬의 민요 공동체 활동과 그 주제의식을 회복하는 일이 중요하고, 나아가 더욱 활성화시키는 일이 중요하다. 그리고 국가 경계를 넘어 섬과 섬 민요 공동체들이 연대하여 국가폭력과 디스토피아적 상황에 맞서는 아시아 사람들의 평화로운 삶, 인간다운 삶을 지향하는 노래 운동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rying to find out the way of human life by making island of Asia as a subject of debate region, through the folk song community activity trough what the island residents seeks. First, the reason focus in island folk song is because folk song community activity symbolize the thoughts of island residents. Trough the island folk song community, tried to seek that aimed aspect of systematized human life in the entrain of song community, work community and process of making the interesting life.
    Plus, found the communication and amusement esprit of enjoyment in the song community of the youth and thought that a sense of community of sharing distribution in fishing folk song community is a human life of island folk song community. And through the aspect of cope with suppression of island folk song community, examined the aspects of singing to seek the human liberation by cope with suppression. Most of the suppression’s truth is the government power, the writer analyzed So-An island residents’ song activity that by resist at Japanese occupation, tried to find the way of liberty and equality through the education community song activity. The writer considered the peace campaign’s aim of folk song community by go through the way of peace with possibility of song activity which cope with the state violence of Jeju island’s April third incident and song activity of Okinawa’s antiwar peace.
    It is hard to find the way of human life in Asia, we can find it in island’s folk song community activity. Asia island’s folk song communities practised song activity to make the island as a humanized culture island. In these days, in the un-humanistic society of destroying humanized life, in order to make the Asia which overcome those problems and make it to live a humanized life, folk song community activity of island which is communication, conversation, equality, charity, light-hearted, enjoyment, consideration, sharing and recovering the subject is important, moreover, make it revitalize is more important. And, through the folk song community solidarity activity, over the nations boundary islands communities should go together to make the song against the state violence and dystopia situ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