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월북 여성작가 지하련과 이선희의 해방직후 - 소설 「창」, 「도정」을 중심으로 (Ji Ha-ryun and Lee Sun-hee right after the Korean liberation focused on activities before their defection to North Korea and their works of “Window(Chang)”, “Path(Dojeong)”)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0 최종저작일 2013.06
30P 미리보기
월북 여성작가 지하련과 이선희의 해방직후 - 소설 「창」, 「도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38권 / 279 ~ 308페이지
    · 저자명 : 류진희

    초록

    이 글은 대한민국(R.O.K)의 해금작가 명단에 있는 두 명의 월북 여성작가, 지하련과 이선희의 해방직후를 추적한다. 이들은 분단문학의 극명한 일례인 ‘6·25 이전 A급 월북자’로 판금되었지만, 여성작가라는 규정으로 인해, 해방과 분단, 그리고 전쟁 등 한반도의 정치적 상황과는 별 관련 없이 논해졌다. 그러나 이선희와 지하련의 해방기 소설 「창」과 「도정」은 그들의 특장인 식민지 모더니티를 반영하는 신여성의 자기서사가 아니라, 석재와 사백이라는 남성 주인공을 내세워 남한의 공산당 재건과 북한의 토지개혁 실시를 정확히 다루고 있다.
    이 글은 지하련과 이선희를 여성작가에서 다시 월북작가라는 일방으로 조정하거나, 혹은 여성작가이면서 월북작가라는 이중의 한계만을 강조하지 않는다. 대신 해방직후 그들이 좌파로 전신(轉身)했던 활약의 과정과 그 침묵의 결과를, 식민지 언론장에서 주조되었던 여류문단의 영향과 이후 형성될 반공국가의 검열효과와 더불어 맥락화하고자 했다. 다시 말해 지하련과 이선희 연구에서 비교적 소략화되었던 해방기 행적을 되도록 재구하면서, 좌우분기의 냉전전야에서 그들로 인해 잠시나마 가능했던 탈식민기 좌파 여성작가라는 존재를 가시화할 것이다.
    또한 이글은 그들의 해방기 유일한 소설이자 마지막 작품이었을 「창」과 「도정」을 당대의 진보적 리얼리즘과 혁명적 로맨티시즘의 전형이 아니라, 오히려 그를 배반하는 작품이라고 읽는다. 다시 말해 이 두 소설 모두는 남과 북 모두에서 좌파가 승기를 잡았을 때, 그에 대한 비판적인 주장을 가졌던 좌우간의 서사에 가까웠던 것이다. 여기에서 배타적인 좌우구분에서 소위 리얼리즘계의 대표로 이선희와 지하련의 작품이 자리매김되었던 과정 자체를 보이고자 했다. 이는 월북이라는 결과적인 지리적 행위에 따라 한 작가를, 또는 한 작품을 긍정이든 부정이든 하나로만 이해했던 인식을 재고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글은 이선희와 지하련의 해방기 궤적과 그들이 남긴 마지막 작품이었을 「창」과 「도정」이 좌우이념이 분화되는 과정에 필히 동반되었을 곤란과 균열의 맥락을 드러내고 있다고 주장한다.

    영어초록

    Ji Ha-ryun and Lee Sun-hee are the two female writers defected from South Korea, who are on the list of formerly banned writers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works of these two writers, definite representatives of division literature classified as 'A level defectors before the 6.25', were prohibited of sale.
    However, at the same time, due to the classification as a female writer, their works were discussed without specific connection to the political condition of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liberation, division or war. In other words, they were primarily read as self-narratives of a New Women in relation with colonial modernity. Meanwhile, their novels of liberation period, 「Path(Dojeong)」 and 「Window(Chang)」, written with a male main character, are exceptional.
    This writing does not unilaterally define Ji Ha-ryun and Lee Sun-hee as female writers or defectors to North Korea. Nor does it emphasize the double limitation of being both female writer and defector writer. It simply intends to examine the process and result of their conversion into leftist, right after the liberation. Thus, it attempts to comprehend the above subject along with the effect of female literary world, created from the colonial journalism and mass media, and the effect of anticommunist nationalism, which was to be established afterward.
    That is to say, their activities and whereabout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demonstrates an identity of a leftist female writer. This was temporarily observed before the ideological cold war in the period of division into left and right. Nevertheless, their works, 「Window(Chang)」 and 「Path(Dojeong)」 do not fit to the frames of progressive realism or revolutionary romanticism. Rather, they are more close to a narrative in between.
    This writing intends to trace the works and activities of Ji Ha-ryun and Lee Sun-hee during liberation period, who had both converted to leftist female writer. Yet, it attempts to comprehend the narratives of 「Window(Chang)」 and 「Path(Dojeong)」 apart from the exclusive separation between left and right. This is to criticize the perception that tries to comprehend the lives and works of Lee Sun-hee and Ji Ha-ryun lopsidedly at an extreme, whether positive or negative, due to the resultive geographical migration act, which is referred to as defection to North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