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수진 외(2015), 「청소년 내담자의 반복적 자해행동의 의미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7권 2호.
· 안현의(2013), 한국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K-CERQ)의 타당화, 상담학연구, 제14권 3호.
· 하정희 외(2008),「대학생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0권 4호.
· Asarnow, J. R.(2011). Suicide attempts and nonsuicidal self-injury in the treatment of resistant depression in adolescents: Findings from the TORDIA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ol.50, No.8; 이동귀 외(2016), 「청소년 자해행동」,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8권 4호에서 재인용.
· Barsade, S. G. (2002), The ripple effect: Emotional contagion and its influence on group behavior,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김선정 외(2012), 「SNS 콘텐츠의 감성이 사용자의 감정상태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9권 1호에서 재인용.
· Galley, M. (2003), Student self-harm: silent school crisis, Education Week: American
· Education's Newspaper of Record; 이동훈 외(2010), 「청소년 자해의 이해 및 특성에 대한
· 고찰」, 『청소년상담연구』, 제18권 1호에서 재인용.
· Joiner, T.(2005), Why people die by suicid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이동귀 외, 위의 글에서 재인용.
· Martinson, D.(2012), What self-injury is, http://buslist.org/injury.html.; 김수진 외, 앞의 글, 244쪽에서 재인용.
· Pipher, M.(1994), Reviving ophelia: Saving the lives of adolescent girls, New York: Ballantine; 이동훈 외, 앞의 글에서 재인용.
· Yip, K. S. (2005),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of adolescents' self-cutting, Childand Adolescent Mental Health, Vol.10, No.2; 김수진 외, 앞의 글에서 재인용
· 김기윤, 「친구 따라... 청소년들 ‘바코드 자해 인증샷’ 유행」, 『문화일보』, 2018.07.26,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8072601031321309001 , 접속일 2018.12.22.
· 김현식, 「김하온X이병재 ‘바코드’, 음원차트 1위 파란」, 『노컷뉴스』, 2018.03.31,
· http://www.nocutnews.co.kr/news/4947071 , 접속일 2018.12.21.
· 이재호 외, 「중고생 7만여명 “자해 경험”,...우리 아이는 상관없다고요?」, 『한겨레 21』,
· 2018.11.10,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69668.html , 접속일 2018.12.21.
· 이형두, 「줄지 않는 청소년 SNS ‘자해 인증’... 해법 없나」, 『통신방송』, 2018.12.04,
· http://delighit.net/post/get/28/14044 , 접속일 2018.12.22.
· 임형빈, 「‘우울,강박,불안’ 청소년들 자해로 스트레스 풀어」, 『마인드포스트』, 2018.12.21, - 9
· http://www.mind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22, 접속일 2018.12.22.
· 전정윤, 「팔로어 수천명...‘자해계’ 운영하는 ‘자해러’ 아시나요?」, 『한겨레21』, 2018.11.12,
·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69844.html , 접속일2018.12.13.
· 최우성, 「자해, 자극적인 놀이문화가 되면 심각하다」, 『한국교육신문』, 2018.9.11,
· http://www.hangyo.com/news/article.html?no=86550 , 접속일 2018.12.01.
· 유튜브, 검색어 “자살송”, 접속일 2018.12.13,
· https://www.youtube.com/watch?v=8nviPahO0b0&t=60s.
· 인스타그램, 검색어 “#자해”, 접속일 2018.12.21,
· https://www.instagram.com/explore/tags/자해.
· 「청소년의 자해 전파, 자해 확산을 막아주세요」, 『청와대 국민청원』, 2018.07.23,
·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315682 , 접속일 2018.12.05.
· 통계청, 검색어 “사망원인통계”, 접속일 2018.12.21, http://kosis.kr/search/search.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