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명숙, 장연수, 송의림 (2020).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위회귀분석 적용. 간호행정학회지. 26(3), 230-240.
· 강인숙, 김원경 (2019). 지방 중소병원 간호사가 지각하는 조직 내 윤리풍토와 윤리적 민감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1), 24-36.
· 권인수, 서영미 (2012). 임상실습 교육에 대한 간호학생의 요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8(1), 25-33.
· 권인수, 이가언, 김경덕, 김영희, 박경민, 박현숙, 손수경, 이우숙, 장금성, 정복례 (2006).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측정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36(6), 950-958.
· 김래완 (2017).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비판적 사고력, 간호직 인식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충청남도.
· 김명숙 (2015).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민감성과 윤리적 가치관이 생명의료윤리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1(3), 382-392.
· 김은심, 유주연 (2022). 간호대학생의 의료오류보고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호행정학회지, 28(4), 440-450.
· 김혜숙 (2015). 간호과정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1), 561-574.
· 김혜옥. 조혜지 (2021).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및 태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9(5), 489-500.
· 김효선, 한숙정 (2017).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효능감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눈문지, 17(6), 598-608.
· 문미영 (2018).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안전사고 경험에 따른 환자안전관리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 정도.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4), 847-856.
· 문미영, 김지영 (2018).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의사결정능력 및 환자안전 지식, 태도가 임상실습 시 환자안전 수행능력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요인. 디지털융합복합연구, 16(12), 511-521.
· 민혜영, 김윤정, 이정민 (2020), 간호대학생의 한국어판 윤리적 민감성 측정도구 타당도와 신뢰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31(4), 503-513.
· 박미화 (2017),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융 복합적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11), 317-327.
· 박복순, 조하나, 박병준 (2015).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자아존중감 및 취업스트레스의 연관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2), 1109-1117.
· 박수진, 최효신, 김정윤 (2019).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지식, 태도 및 간호전문직관이 환자안전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9), 341-350.
· 박정혜, 박명화 (2014).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자신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 5-14.
· 박현희 (2013).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대한 구조모형. 을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대전.
· 손숙현, 박정숙 (2016).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 및 안전관리 행위. 수산해양교육연구, 29(4), 1043-1053.
· 유숙용, 박주영, 권선혜 (2019).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Patient Safety Management) 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17(11), 279-288.
· 윤숙회, 이태화, 맹순주, 권재은 (2020). 군 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9(2), 123-132.
· 이영미 (2012), 환자안전문화 인식에 따른 안전사고발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3(1), 117-124.
· 이외선, 구미옥, 김미정 (2015).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성향과 감성지능의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6(1), 380-388.
· 이혜란, 양남영 (2022). 요양병원 간호사의 윤리적민감성과 개인-환경적합성이 인간중심돌봄에 미치는 영향. 가정간호학회지, 29(2), 175-182.
· 임경춘, 박미성, 신계영 (2017). 간호대학생의 윤리의식과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가 환자안전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근관절건강학회지, 24(2), 140-149.
· 임재란, 송효숙 (2021).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경험에 따른 임상수행능력, 환자안전관리 지식 및 수행자신감의 차이.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6(7), 65-73.
· 임진실, 이진희 (2021).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38(1), 88-98.
· 장희정, 곽윤경 (2013).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영향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9), 4380-4387.
· 정민영, 서지민 (2020).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민감성 측정도구 개발. 기본간호학회지, 27(4), 375-386.
· 정현숙, 공정현, 전미양 (2017).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6), 121-130.
· 천의영, 유장학, 김해진 (2018). 환자안전사고 정보매체가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인식,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12), 374-382.
· 최혜란, 조동숙 (2011).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과정이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7(3), 265-274.
· 한승희 (2018). 환자안전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안전관리 태도 및 안전관리 행위.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10), 661-670.
· 허성수, 강희영 (2015).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와 환자안전관리활동.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8), 5458-5467.
· 현용환 (2015).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 및 안전간호 수행능력의 관계.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 Choi, S.H., Lee, H.Y. (2015).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practi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in clinical practicum.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1(2), 184-192.
· Flin, R., Partey, R., Jackson. J., Meams, K., & Dissanayaka, U. (2009), Year 1 medical undergraduates'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 medical error. Medical Education, 43(12), 1147-1155.
· Gamal Tolba, A., Gouda Metwally, F., & Ibrahim Ismail, Z. (2022). Moral and Ethical Sensitivity as Predictors of Nurses' Attitudes Towards Medication Errors. Egyptian Journal of Health Care, 13(3), 1551-1563.
· Hoffman, M.L. (2001). Empathy and Moral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Caring and Jus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 Lickona, T. (1998). Education for character. Park JH, Chu BW(translator), Seoul: Bantam Trade Paperback
· Lützén, K., Nordström, G., & Evertzon, M. (1995). Moral sensitivity in nursing practice.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9(3), 131-138.
· Mahdiyoun, S.A., Pooshgan, Z., & Imanipour, M., & Razaghi, Z. (2017). Correlationbetween the nurses' moral sensitivity andthe observance of patients' rights in ICUs. Med Ethics Journal, 11, 7-14
· Ozgonul, M.L., Bademli, K., & Kirca, N. (2021).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ethical sensitivity and attitudes towards medical error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75(12), 1-4.
· Park, J.H. (2011). Knowledge, attitude, and confidence on skill of nursing students toward patient safety. Keimyung University, Daegu
· Park, M.J., Kim, J.S., & Ham, Y.L. (2013). Development of a perception of importan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scale (PI-PSM) for hospital employe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13(5), 332-341
· Rest J.R. Morality (1983).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cognitive development (4th end). New York: J.Wiley.
· Weaver, K., Morse, J., & Mitcham, C. (2008). Ethical sensitivity in professional practice: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5), 607-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