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연구방법
1. 조사지 개황
2. 식생조사
3. 자료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한 군락 분류
2.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3. 중요치 분석
4. 흉고직경급 분석
5. Ordination 분석
초록
본 연구는 단기소득임산물 중 산림임업통계자료에 의한 생산량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 약용수 (꾸지뽕나무, 마가목, 헛개나무) 자생지를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군락을 구분하여 식생 구조를 파악하고 Ordination CCA에 의한 군락구조와 환경요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산채류 재배지 환경조성에 필요한 생태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2021∼ 2022년에 수행되었다. 우리나라 꾸지뽕나무 자생지는 주로 남부지역에 분포하고 5개 지역, 11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마가목 자생지는 주로 고산지역에 분포하고 3개 지역, 8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헛개나무 자생지는 중부 계곡부에 분포하고 5개 지역, 17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각 분류군의 중요치를 살펴보면, 꾸지뽕나무군락에서 나타난 중요치는 꾸지뽕나무가 61.10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팽나무, 곰솔, 새덕이, 때죽나무, 소사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마가목군락에서는 신갈나무가 57.2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마가목 42.58, 사스래나무, 피나무, 당단풍나무, 시닥나무, 층층나무, 함박꽃나무, 주목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헛개나무군락에서는 헛개나무가 64.5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느티나무, 층층나무, 고로쇠나무, 졸참나무, 까치박달, 가래나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요치가 높은 주요 분류군에 대한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 꾸지뽕나무군락에서는 꾸지뽕나무, 팽나무, 새덕이 및 소사나무는 어린 개체의 밀도를 높게 나타내고 있어 당분간은 이들 수종의 우점 상태가 계속 증가 될 것으로 보인다. 마가목군락에서 마가목은 역 J자형을 하고 있어 우점 상태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신갈나무, 사스래나무 및 피나무는 정규분포형의 밀도를 나타내고 있어 당분간은 이들 수종의 우점 상태가 계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헛개나무군락에서는 까치박달과 가래나무는 역 J자형을 하고 있어 우점 상태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헛개나무, 느티나무, 층층나무 및 고로쇠나무는 각 층에서 전체적으로 개체의 밀도가 높아 계속적으로 높은 우점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TWINSPAN에 의해 분류된 3분류군의 30개 군락과 11개의 환경 요인으로 CCA ordination 결과, 해발고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꾸지뽕나무군락은 pH, C.E.C, Ca2+ 및 Mg2+ 는 가장 높고, 해발고는 낮고 남동사면과 남서사면의 경사는 완만하였으며, P2O5는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에 골고루 분포하였다. 마가목군락은 해발고는 높고, 북사면의 경사는 다소 급하고, O.M과 T-N은 가장 많으나, 그 외 양료들은 적으며, pH는 낮게 나타났다. 헛개나무군락은 북동사면과 북서사면에서 해발고와 경사는 중간 지역이고, P2O5는 높게 나타났다.
영어초록
In the present study, the vegetation was classified using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canonical-correlation analysis (CCA) was implemented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community structure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natural habitats of forest byproducts, especially medicinal plants, such as Cudrania tricuspidata, Sorbus commixta, and Hovenia dulcis, in 2021-2022 to provide primary ecological data to establish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wild vegetable cultivation. A total of 11 plots in five regions, 8 plots in three regions, and 17 plots in 5 regions were selected for the natural habitats of C. tricuspidata in southern Korea, S. commixta in high mountains, and H. dulcis in valleys of central Korea, respectively. The importance value in each community was respectively analyzed as follows, in C. tricuspidata community, the importance value of C. tricuspidata (61.10) was the highest, followed by Celtis sinensis, Pinus thunbergii, Neolitsea aciculata, Styrax japonica, Carpinus coreana, Quercus serrata, and Q. acutissima. In Sorbus commixta community, Q. mongolica (57.21) was the highest, followed by, S. commixta (42.58), Betula ermani, Tilia amurensis, A. pseudosieboldianum, A. tschonoskii var. rubripes, Cornus controversa, Magnolia sieboldii, and Taxus cuspidata. In H. dulcis community, H. dulcis (64.58) was the highest, followed by Zelkova serrata, Cornus controversa, A. mono, Q. serrata, C. cordata, and Juglans mandshurica.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DBH of the major species having the high importance value, in C. tricuspidata community, C. tricuspidata, C. sinensis, Neolitsea aciculata, and C. coreana show the density of normal distribution, so the dominant status of these species is likely to continue. In S. commixta community, S. commixta show the density of reverse J-shaped curve, so the dominant status of these species is likely to be stable, and Q. mongolica, B. ermani and T. amurensis, show the density of normal distribution, so the dominant status of these species is likely to continue. In H. dulcis community, C. cordata, and J. mandshurica show the density of reverse J-shaped curve, so the dominant status of these species is likely to be stable, and H. dulcis, Z. serrata, C. controversa and A. mono had a formality distribution, suggesting a continuous domination of these species over the other species for the time being. The results of CCA ordination analysis using 11 environmental factors and 30 communities of three taxa classified by TWINSPAN analysis revealed that the altitude showed the strongest correlation with the vegetation. C. tricuspidata community was distributed on the moderate and gentle northeastern slope at low altitude with the highest pH, C.E.C, Ca2+, and Mg2 and various P2O5, whereas S. commixta community was distributed on the steep slope at high altitude with the highest O.M and T-N and lower P2O5, Ca2+, Mg2+, C.E.C and pH, which is the opposite tendency of the environment of C. tricuspidata community. H. dulcis community was distributed on the gentle northern slope at lower altitude with an average pH, O.M, T-N, Ca2+, Mg2+, and C.E.C, except higher P2O5.
해피캠퍼스에서는 자료의 구매 및 판매 기타 사이트 이용과 관련된 서비스는 제공되지만, 자료내용과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는 안내가 어렵습니다.
자료에 대해 궁금한 내용은 판매자에게 직접 게시판을 통해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1. [내계정→마이페이지→내자료→구매자료] 에서 [자료문의]
2. 자료 상세페이지 [자료문의]
자료문의는 공개/비공개로 설정하여 접수가 가능하며 접수됨과 동시에 자료 판매자에게 이메일과 알림톡으로 전송 됩니다.
판매자가 문의내용을 확인하여 답변을 작성하기까지 시간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휴대폰번호 또는 이메일과 같은 개인정보 입력은 자제해 주세요.
※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찾으시는 자료는 이미 작성이 완료된 상태로 판매 중에 있으며 검색기능을 이용하여 자료를 직접 검색해야 합니다.
1. 자료 검색 시에는 전체 문장을 입력하여 먼저 확인하시고
검색결과에 자료가 나오지 않는다면 핵심 검색어만 입력해 보세요.
연관성 있는 더 많은 자료를 검색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검색결과가 너무 많다면? 카테고리, 기간, 파일형식 등을 선택하여 검색결과를 한 번 더 정리해 보세요.
2. 검색결과의 제목을 클릭하면 자료의 상세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썸네일(자료구성), 페이지수, 저작일, 가격 등 자료의 상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으며 소개글, 목차, 본문내용, 참고문헌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검색기능을 잘 활용하여 원하시는 자료를 다운로드 하세요
자료는 저작권이 본인에게 있고 저작권에 문제가 없는 자료라면 판매가 가능합니다.
해피캠퍼스 메인 우측상단 [내계정]→[마이페이지]→[내자료]→[자료 개별등록]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 자료등록 순서는?
자료 등록 1단계 : 판매자 본인인증
자료 등록 2단계 : 서약서 및 저작권 규정 동의
서약서와 저작권 규정에 동의하신 후 일괄 혹은 개별 등록 버튼을 눌러 자료등록을 시작합니다.
①[일괄 등록] : 여러 개의 파일을 올리실 때 편리합니다.
②[개별 등록] : 1건의 자료를 올리실 때 이용하며, 직접 목차와 본문을 입력하실 때 유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