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치유의 숲 산림명상공간 인자의 중요도와 만족도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9.25 최종저작일 2023.08
16P 미리보기
치유의 숲 산림명상공간 인자의 중요도와 만족도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37권 / 4호
    · 저자명 : 정경미, 신원섭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데이터 수집 방법
    3. 설문지 구성
    4. 자료 분석 방법
    결과 및 고찰
    1.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산림명상과 산림명상 공간에 대한 만족도
    3. 세 지역의 중요도와 만족도 차이
    4. 세 지역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REFERENCES

    초록

    국내 산림치유명상연구에 있어 산림명상에 적용할 수 있는 기법과 효과에 대한 연구들은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산림명상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상공간은 단순한 장소적 개념이 아니라 산림의 ‘치유’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산림환경요소 즉, 치유인자를 담고 있는 곳으로 치유메커니즘을 밝히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치유의 숲 산림명상공간이 명상에 적합한 공간인지 알아보고자 델파이 전문가 설문조사(Delphi Expert Survey Method)로 명상공간의 속성항목을 선정 한 후, IPA기법(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을 활용하여 치유의 숲 산림명상 공간 이용자의 만족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은 국립산림치유원과 산음 치유의 숲, 경기도 잣향기 푸른숲에서 산림명상공간을 이용한 일반성인 315명을 대상으로 2022년 8월부터 11월까지 진행하였다. IPA분석 결과 산림명상공간의 만족도 평균은 5점 리커트 척도에 4.33점(국립산림치유원 4.33점, 산음 치유의 숲 4.34점, 잣향기 푸른숲 4.37점)으로 높게 나타나 세 곳 치유의 숲 명상공간은 산림명상에 적합하게 조성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세 숲 모두 ‘자연의 소리’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반면 세 숲 모두 ‘고요함’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나타났다. 또 개방형설문 결과 자연의 소리, 경관, 공기, 숲 공간, 향기 등 명상공간의 자연요소가 시설과 같은 인공요소보다 명상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명상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명상 공간 주변에 물소리 새소리 등의 소리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고, 방문객과의 조우를 피하는 독립된 공간에 ‘명상 숲’을 따로 조성하여 산림치유명상 프로그램 참여자만 입장하는 방법 등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echniques and effects that can be applied to forest meditation in domestic forest healing meditation research,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space where forest meditation takes place. Nevertheless, a meditation space is not just a place concept but a forest environment element responsible for the healing function of a forest, i.e., a place containing healing factors, and can be an essential clue to the healing mechanism. Therefore, to determine whether a healing forest meditation space is suitable for meditation, this study selected the attribute items of the meditation space using the Delphi expert survey and then surveyed the user satisfaction of the healing forest meditation space using the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techniqu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to November 2022, targeting 315 adults who used the forest meditation space at the National Center for Forest Therapy, the Saneum Healing Forest, and the Jathyanggi Pureunsup Arboretum in Gyeonggi Province. The result of the IPA analysis showed the average satisfaction with the forest meditation space was relatively high at 4.33 points on a 5-point Likert scale (4.33 points for the National Center for Forest Therapy, 4.34 points for the Saneum Healing Forest, and 4.37 points for the Jathyanggi Pureunsup Arboretum), indicating that the three healing forest meditation spaces were suitable for forest meditation. Satisfaction with the “Sounds of nature” was high in all three forests. On the other hand, all three forests showed a relatively low satisfaction with “Quietness,” indicating it to be a priority problem to be addressed. Also, an open-ended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the mediation space’s natural elements, such as natural sounds, scenery, air, forest spaces, and scents, had a higher positive impact on meditation satisfaction than artificial elements, such as facilitie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secure sound resources such as the sound of water and birds around the meditation space, and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create a meditation forest in an independent area to avoid encounters with visitors and allow only participants in the forest healing meditation program to enter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forest medi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구매한 자료가 제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판매자의 자료는 다음에도 다시 이용하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환경생태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