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본 프리다칼로 작품의 의미와 치유기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9.25 최종저작일 2023.08
20P 미리보기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본 프리다칼로 작품의 의미와 치유기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자연치유연구 / 7권 / 3호
    · 저자명 : 오승진, 류정미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
    2. Psychoanalysis theory and treatment
    2.1 정신분석이론의 개념
    2.2 정신분석치료
    3. psychoanalysis and art therapy
    4. Analysis of Frida Kahlo's works by period
    4.1 교통사고와 미술과의 만남
    4.2 디에고와의 결혼, 희망과 좌절시기
    4.3 디에고의 불륜, 양가적 태도와 방황
    4.4 재결합, 삶의 관조와 사망(1940~1954)
    5. Discussion & Conclusion
    Reference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미술작품이 자신의 내면을 이해할 수 있는지와 자기탐색을 통해 치유적 효과가 있는지 프리다 칼로의 작품을 통해 살 펴보는 것이다. 연구의 접근은 정신분석 미술치료관점 즉, 그림이 무의식의 표현 이며 전이된 무의식의 내용을 해석하고 통찰하면서 치료가 된다는 미술심리치료 의 이론적 입장이 예술가의 작품을 통해 지지되는지에 대한 검증 필요성에 기반 한다. 연구방법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프리다 칼로 인생의 주요 전환기에 그려진 작품을 시대순으로 정리하여 다양한 연구문헌을 참고하여 작품 속에 투사 된 무의식의 상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프리다 칼로의 작품은 자신의 불안, 억압, 갈등의 적극적인 탐색 과정이었으며 미술의 치료적 속성인 심상, 승화, 표 현, 카타르시스의 치료기제가 모두 작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 탕으로 미술의 창작행위는 표현자체로 치료적 의미를 가져다준다는 것을 알 수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 work of art can understand Frida Kahlo's inner self from a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and whether it has a healing effect through self-exploration. The study's approach is based on the need to verify whether the artist's work supports the theoretical position of art psychotherapy, that is, painting is an expression of unconsciousness and is treated by interpreting and insighting the transferred unconscious content. Purpose: From a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major works in the transition period of life with Frida Kahlo and to find out the expressiveness and healing meaning of art. Method: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the works drawn at the major turning point of life with Frida Kahlo was organized in chronological order, and the symbols of unconsciousness projected into the works were analyzed by referring to various research documents. Results: Frieda Kahlo's work was an active search process for his anxiety, oppression, and conflict, and it seems that the therapeutic properties of art, the image, sublimation, expression, and catharsis, all worked.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act of expressing art brings therapeutic meaning to the act of expression it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자연치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