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16세기 기영연(耆英宴)에 사용된 사연용(賜宴用) 화준(花樽)․주준(酒樽)의 조형 특징과 진설 방식-를 중심으로-

2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9.11 최종저작일 2022.02
29P 미리보기
조선 16세기 기영연(耆英宴)에 사용된 사연용(賜宴用) 화준(花樽)․주준(酒樽)의 조형 특징과 진설 방식-를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東洋美術史學 / 14권
    · 저자명 : 안세진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宣祖朝耆英會圖>에 묘사된사연용 화준․주준의 조형 특징
    1. 화준(花樽)
    2. 주준(酒樽)
    Ⅲ. 16세기 기영연 및 사연의 화준․주준 진설 방식과 의미
    Ⅳ.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본 글은 선조 17년(1584)과 18년(1585)에 개최된 기영연(耆英宴)을 그림으로 기록한 <선조조기영회도(宣祖朝耆英會圖)>를 중심으로 16세기 사연용(賜宴用) 화준(花樽)과 주 준(酒樽)의 조형 특징을 구명하고, 사연에 있어서 두 종류 준(樽)의 진설 방식과 및 진설 의 미를 고찰하였다. 연회에 등장하는 여러 기물 가운데 준화(樽花)를 꽂기 위한 화준(花樽)과 선온(宣醞)을 담았을 것으로 보이는 주준(酒樽)은 16세기 관요에서 제작된 좋은 품질의 백 자․청화백자로 추정된다. 사연용 화준은 조선 전기 국가 의례서(儀禮書) 및 조선 후기 궁 중연(宮中宴) 관련 기록에서 확인되는 호(壺)와 재질․기형․품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장식에 있어서 문양을 생략하거나 청화(靑畵) 문양이 장식되었을 경우 소재 는 대나무․매화․화당초문 등 화훼문(花卉文) 계통을 채택함으로써, 사연의 설행(設行) 목적을 투영하는 동시에 궁중연 용준(龍樽)과 차별화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선조조기영회도> 에 묘사된 주준용 뚜껑은 입구의 가장자리가 위로 살짝 들려 있는 특징에 기인하여 연엽(蓮 葉)형 뚜껑으로 명명하였다. 연엽형 뚜껑은 국가 의례용기, 가마터 출토품, 전세품 등에서도 공통으로 확인되고 있는 만큼, 뚜껑의 사용처와 용도에는 왕실 및 사연용 주준이 포함되었을 것이다. 16세기 <선조조기영회도>의 화준․주준 진설 방식과 사연도(賜宴圖) 속 진설 방식 을 종합해보면, 16세기 화준은 다양하고 유연한 방식으로 진설 되지만, 주준의 경우 획일화 되고 고정된 진설 방식을 보인다. 화준․주준의 진설 방식은 연회의 주최자인 왕의 교체, 임 진왜란으로 인한 제작 여건 및 관련 기록 소실로 인한 고증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17세기 이후 점차 변하였을 것이다. 따라서 16세기 사연용 화준․주준의 진설 방식은 18세기 이후 양상과는 상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불어 16세기 기영연에 화준․주준이 모두 진설 되 었다는 사실은 이 연회가 문헌에 기록된 바와 같이 우대된 사연임을 증명하는 또 하나의 근 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Hwa-Zun(花樽) and Joo-Zun(酒樽) appearing in <The Painting of Giyeonghoe(耆英會圖)>, which records a bestowal banquet for Giyeonghoe, ‘Giyeongyeon(耆英宴)’ held in the 17~18th year of King Seonjo(1584, 1585). At this feast given by the king, the Hwa-Zun is used for flower arrangement like a vase, and the Joo-Zun contains the alcohol given by the king like a pot with lid. The two objects are representative elements that prove that this banquet is a feast given by the king, and an indicator of the dignity of the bestowal banquet. The shapes of Hwa-Zun and Joo-Zun in <The Painting of Giyeonghoe>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white porcelain and blue and white porcelain excavated from Gwanyo(Royal Kiln, 官窯) in the 16th century. Hwa-Zun is the highest quality white porcelain, blue and white porcelain, and decorative patterns is bamboo, plum blossoms, and arabesque pattern.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ot the Zun with dragon patterns(龍樽) used in the national ritual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used in the royal court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lid of the Joo-Zun in the painting is depicted as a lotus leaf, which can also be found in the 16th century's Gwanyo excavations. Placement method of Hwa-Zun and Joo-Zun depicted in various recordings paintings can be summarized according to the timing and type of banquet. As result, at the banque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wa-Zun and Joo-Zun are expected to have placement method in a way that is opposite to the late Joseon Dynasty. Considering tha Hwa-Zun and Joo-Zun were not necessarily used in all banquets, the fact that both Hwa-Zun and Joo-Zun appeared at the 16th century Giyeonghoe(耆英會) will be the basis for the recognition of this bestowal banquet as a high-quality bestowal banque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해당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東洋美術史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