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나가 위의 붓다 도상 연구 -서사부조에서 아이콘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9.11 최종저작일 2019.02
31P 미리보기
나가 위의 붓다 도상 연구 -서사부조에서 아이콘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東洋美術史學 / 8권
    · 저자명 : 노남희

    목차

    Ⅰ. 서론
    Ⅱ. 나가 무찰린다 고사와 불전 부조로의 재현
    Ⅲ. 보드가야에서의 독립상 제작
    Ⅳ. 동남아와 나가 위의 붓다 도상
    Ⅴ. 결론

    초록

    본 연구는 동남아시아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나가 위의 붓다(Buddha on Nāga)’ 도상이 서사부조에서 아이콘으로 확립되는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나가 위의 붓다 도상은 붓다가 똬 리를 튼 뱀의 몸통 위에 앉은 채로 머리 뒤로는 뱀의 머리 7개를 광배처럼 갖고 있는 모습을 지칭한다. 이 도상은 붓다가 보드가야에서의 성도 후 선정에 들었을 때 거센 폭풍우가 몰아 치자 무찰린다(Muchalinda)라는 이름의 나가, 즉 뱀이 나타나 붓다의 몸을 자신의 몸으로 감싸고 붓다의 머리 위로 자신의 머리를 펼쳐 보호하였다는 불전고사에서 유래하였다. 나가 위의 붓다는 2~3세기 무렵 남인도에서 부조로 먼저 만들어졌다. 남인도에서 만들 어진 나가 위의 붓다 부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문헌의 묘사와 달리 뱀이 붓다의 몸을 감고 있는 모습이 아니라 붓다가 뱀의 몸통 위에 앉은 것으로 만들어진 점이다. 이는 조각을 만드 는 데 있어 붓다라는 존재를 명시적으로 드러낼 수 있으며 불교도들에게 시각적으로 더 자연스럽게 여겨질 수 있는 방식을 택했기 때문이다. 나가 위의 붓다 도상은 7세기 보드가야에서 독립상으로도 만들어졌으며 전체적인 도상은 앞서 본 남인도 부조들과 동일하다. 일찍이 많은 불전고사들이 부조로 만들어졌지만 그 중에서도 이 도상이 독립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었던 이유는 보드가야가 7세기에 이르러 성지로서 높은 명성과 인기를 얻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순례자들을 위한 더 많은 기념물이 만들어지게 되었고, 이곳에서 일어난 가장 중요한 사건인 성도와 더불어 나가 무찰린다 고사 역시 보드가야에서 일어난 주요 사건 중 하나로 주목을 받아 독립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었다. 특히 나가 위의 붓다 도상은 인도에서 먼저 만들어졌지만 인도보다는 이웃 동남아에서 더 욱 큰 인기를 얻고 붓다의 대표적인 도상으로 자리 잡았다. 7~8세기 무렵의 드바라바티 미 술에서도 다양한 나가 위의 붓다 부조가 발견되며, 특히 10세기 이후 크메르 미술에서는 뱀의 모습이 일관된 형태로 고정되고 장엄도 더욱 정교해지기에 이른다. 이는 토지와 물을 관장하는 신인 뱀에 대한 오랜 신앙이 동남아에 있었기 때문이다. 즉 수호신인 뱀에 대한 토착 신앙이 불교와 습합되면서 붓다를 보호하는 뱀의 이야기가 동남아에서 특히 인기를 얻게 되어 나가 위의 붓다가 붓다를 나타내는 지배적인 도상으로 자리매김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iconography of “Buddha on Nāga” focusing on its development from narrative to an icon. Buddha on Nāga refers to the Buddha’s image which Buddha sits on serpent’s coil with its seven hoods behind his head. This iconography stems from one episode of Buddha’s life; when Buddha was in meditation after the Enlightenment, a Nāga named Muchalinda came to protect him from a heavy rainstorm by covering him with its body and hood. Buddha on Nāga image was first made to be reliefs in South India about 3rd century. These reliefs are distinctive as they depict Buddha sitting on the serpent’s coil contrary to the description of Buddhist literature which states that the serpent’s coil encircles the Buddha’s body entirely. This way of representation is intended to reveal Buddha’s presence clearly so that it might be considered to be natural in visual conception. Buddha on Nāga image was made to be round sculptures in Bodhgaya about 7th century whose iconography is the same as those of South India. Among many Buddha’s life stories made to be reliefs, only a few of them were made to be round sculptures including Buddha on Nāga. This event got the limelight along with the most important one, the Enlightenment, happened in Bodhgaya in Buddha’s life so that it was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as well. Also, the increased popularity and reputation of Bodhgaya as a pilgrimage site in 7th century led to the creation of a widened landscape of Bodhgaya with various pilgrimage spots including the Muchalinda lake, the shrine, and the Buddha on Nāga’s round sculpture. Buddha on Nāga image was particularly favored in Southeast Asia, becoming the representative icon of Buddha. Some Buddha on Nāga images have been discovered in Dvaravati art. Furthermore, the form of serpent got more elaborated; and the overall iconography became consistent in Khmer art from the 10th century. This phenomenon is due to the long-established belief in serpent which is in charge of earth and water; this indigenous serpent cult affected preference for Muchalinda story which narrates the protection of Buddha by a Nāga. That is why Buddha on Nāga image acquired great dominance in Southeast Asia as a Buddha’s representative ic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東洋美術史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