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금강경』의 전래와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발견 은제도금금강경>의 서체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9.11 최종저작일 2018.09
41P 미리보기
『금강경』의 전래와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발견 은제도금금강경>의 서체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東洋美術史學 / 7권
    · 저자명 : 손환일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금강경』의 전래(傳來)와 선본(先本)
    1. 『금강경』의 전래시기
    2. <은제도금금강경>이 선본(先本)인 이유
    Ⅲ. <은제도금금강경>의 서체(書體)
    1. 북조체(北朝體)의 특징
    2. 남조체(南朝體)의 특징
    3. 남북조서체의 특징 비교
    4. 북조식남조체(北朝式南朝體)의 특징
    5. 이체자(異體字)의 특징
    Ⅳ.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금강경』은 성왕 9년(531)에 양나라에서 겸익에 의해 전래된 것으로 판단된다.『금강경』은 양(梁) 소명태자(昭明太子)에 의하여 분장(分章)된 것으로, 처음에는 29장으로 분장되었다가, 그 후 32장으로 세분화된 것이다. 초기 <은제도금금강경>의 번역 오류가 <돈황본 1.2>에서는 교정되거나 추기되었다. 이는 <은제도금금강경>이 <돈황본>보다 선본으로 <돈황본>은 다른 번역본에 의하여 교정되거나 추기된 것이다. <은제도금금강경>의 서체는 북조식남조체이다. 이는 북조필법이 혼용된 남조체로 남조에 서 유행한 북조(北朝)필법(筆法)이다. 즉 80%의 남조체와 특징적인 20%의 북조체가 혼용 된 서체이다. 특히 이체자(異體字)의 사용에 있어서 대부분 6세기에서 7세기 초에 유행한 이체자들을 통하여 <은제도금금강경>의 기록법이 <무령왕능묘지(525)>, <왕흥사청동사리 감명문(577)> 등과 거의 같은 시기에 기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Diamond Sutra(金剛經) in The discovery of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WangGung-ri Iksan(益山王宮里五層石塔) was introduced into Baekje in 9th year of King Seong reign(531) by Gyeomik, the bonze of Baekje, from Liang(Yang, 梁) dynasty. Diamond Sutra was divided by prince Xiao Ming(昭 明太子) of Lyang dynasty Diamond. It had been separated into 29 chapters at first, after that it was subdivided into 32 chapters later. Translation error in early version of Diamond Sutra had been rectified and other contents had been added to <Platform Sutra 1.2>. It seems to be considered that <Diamond Sutra> were prior version of <Platform Sutra>, so <Platform Sutra> could be corrected or influenced by other translation version. Calligraphy of Diamond Sutra is the Southern calligraphy of the Northern style. It is the Northern calligraphy mixed with the Southern style; this style was popular in Southern Dynasty. 80% of Southern calligraphy style and 20% of Northern calligraphy style were mixed. According to the study of special characters(異體字, same letter but used in different shape) used from 6th to early 7th century, its calligraphy method were used in the same period of <Royal Tomb of King Muryeong(525)>, <Text on Sari(cremated remains of monks, and regarded as sacred relics) bronze case found in Wangheungsa Temple> and so 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었고, 과제를 를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東洋美術史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