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능엄경』의 전도망견(顚倒妄見) 양상 고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7.31 최종저작일 2023.06
22P 미리보기
『능엄경』의 전도망견(顚倒妄見) 양상 고찰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문예연구 / 21권
    · 저자명 : 임병정(명조)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전도망견의 설법배경
    III. 별업망견과 동분망견
    1. 전도망견의 의미
    2. 별업망견(別業妄見)
    3. 동분망견(同分妄見)
    4. 별업망견과 동분망견의 진퇴합명
    IV. 진심의 논리구
    1. 화합과 비화합을 떠난 본각
    2. 전도망견을 벗어난 여래장묘진여성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능엄경』에 나타난 두 가지 전도망견(顚倒妄見)인 별업망견 (別業妄見)과 동분망견(同分妄見)의 양상을 통해 진심(眞心)과 망심(妄心) 을 명확히 구별하고, 마음의 정체인 상주진심(常住眞心) 청정명체(淸淨明 體)에 대한 요의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붓다는 진견과 망견을 구분 하지 못하는 아난을 깨우치기 위해 두 가지 전도망견으로서 별업망견과 동분망견을 설법하였다. 아난은 칠처징심(七處徵心)과 십번현견(十番顯見) 에 제시된 마음의 소재와 진심에 대한 설법을 듣고도 망상으로 인해 깨 달음을 얻지 못했다. 중생이 망상으로 진심을 확인하려 아무리 노력해도 결국 망상의 범주에서 벗어나 진심에 이를 수 없게 된다. 전도망견의 설법은 망상의 범위를 아체(我體)에서 현상계(現象界) 전체 로 확대하여 법집(法執)의 경계까지도 타파하려는 의도를 갖는다. 본 논 문에서는 별업망견을 설명하여 망견이 허상을 만들고 시비를 따지는 양 상을 논의하고 동분망견을 설명하여서 중생의 공통된 망견을 밝히고자 하였다. 두 가지 전도망견인 별업망견과 동분망견을 통해 한 중생이 세간 을 보는 방식이 모두 망견임을 밝히고, 모든 중생이 일체 세간을 보는 것이 망견임을 밝혔으며 나아가 일체만물과 일체중생의 모든 현상이 다 망견으로 인하여 허망하게 화합생멸함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중생이 허망한 화합생멸상을 벗어나 진견을 통하여 만물이 일체 여래장묘진여성 임을 깨달아야 생사의 윤회를 끊고 상주진심의 자리로 들어갈 수 있음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true mind(眞心) and the false mind(妄心) through the aspects of the two types of Byeoleobmanggyeon(別業妄 見) and Dongbunmanggyeon(同分妄見), as two types of Jeondomanggyeon( 顚倒妄見) appearing in the Surangama Sutra(楞嚴經). In order to enlighten Ananda, who could not distinguish between the true mind(眞心) and the false mind(妄心), the Buddha gave a sermon on Byeoleobmanggyeon(別業妄見) and Dongbunmanggyeon(同分妄見) as two visions of Jeondomanggyeon(顚倒妄見). Ananda did not gain enlightenment due to his delusion even after hearing the sermons on the whereabouts of the heart and the sincerity presented in Chilcheojingsim(七處徵心) and Sibbeonhyeongyeon(十番顯見). No matter how hard sentient beings try to confirm their sincerity through delusions, they eventually cannot break free from the delusion category and reach their sincerity. The sermon of Jeondomanggyeon(顚倒妄見) who sees the vision has the intention to break down the boundaries of the Dharma collection by expanding the scope of delusion from the Self to the entire Phenomenal World. In this thesis, by explaining Byeoleobmanggyeon( 別業妄見), I tried to discuss the aspect of Manggyeon(妄見) creating false images and arguing about right and wrong, and explaining Dongbunmanggyeon(同分妄見) to reveal the common Mang- Gyeon of sentient beings. Through the two aspects of Jeondomanggyeon( 顚倒妄見), it is revealed that the way a sentient being sees the world with Manggyeon(妄見), and that all sentient beings see the world with Manggyeon(妄見). As a result, it has been revealed that all phenomena of all things and all sentient beings are combined and scattered in vain due to Manggyeon(妄見).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discuss that all sentient beings can break the cycle of life and death and enter the seat of permanent only when they realize that all things are Tathagata through Jingyeon(眞見),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해당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문예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