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 Study on the Change of Contrast Visual Acuity According to the Types of Functional Spectacle Lens for Driving and illumination

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4.05 최종저작일 2018.06
8P 미리보기
A Study on the Change of Contrast Visual Acuity According to the Types of Functional Spectacle Lens for Driving and illumination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시과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시과학회지 / 20권 / 2호
    · 저자명 : Kyeong-Ho Koh, In-Chul Jeon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2. 실험렌즈
    3. 연구방법
    4. 통계처리
    Ⅲ. 결과 및 고찰
    1. 대상렌즈의 광학적 특성
    2. 렌즈 종류에 따른 대비시력
    3. 색각(배열) 검사
    4. 시력회복시간 검사
    Ⅳ. 결 론
    References
    요 약

    초록

    목적: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운전용 기능성 안경렌즈의 종류와 조도변화 따른 대비시력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안질환이나 전신질환 및 과거와 현재 병력이 없는 성인 남녀 30명 (25±2세)으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렌즈는 굴절률이 1.60인 제작방식이 다른 기능성 운전용 렌즈인 황색 계열(A)렌즈, 코팅방식(B, C)렌즈 3종과 일반렌즈(N)렌즈 1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렌즈를 착용 상태에서 대비시력검사, 색각(배열)검사, 시력회복시간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실험에 사용된 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대비시력은 명소시 50%, 30%, 15% 그리고 암소시 100%, 30%, 1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명소시 100%, 암소시 50%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비시력은 명소시 상태의 50%에서 코팅방식(C)렌즈(logMAR 0.003), 30%에서 코팅방식(B)렌즈 (logMAR 0.014), 15%에서 코팅방식(B)렌즈(logMAR 0.053)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암소시 상태의 대비 시력 100%에서 코팅방식(B)렌즈(logMAR 0.003), 50%에서 코팅방식(B)렌즈(logMAR 0.007), 30%에서 코팅방식(C)렌즈(logMAR 0.017), 15%에서 코팅방식(B)렌즈(logMAR 0.050)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색각 (배열)검사결과는 황색계열(A)렌즈에서 가로지르는 선의 개수 평균은 6.05±1.75개이었고, 일반렌즈(N)렌즈, 코팅방식(B)렌즈, 코팅방식(C)렌즈에서는 가로지르는 선은 0개 나타났다. 시력회복시간은 명소시에서 일반렌즈(N)렌즈 > 코팅방식(C)렌즈 > 코팅방식(B)렌즈 > 황색계열(A)렌즈, 암소시에서 일반렌즈(N)렌즈 > 코팅방식(C)렌즈 > 황색계열(A)렌즈 > 코팅방식(B)렌즈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론: 운전용 안경렌즈와 일반 안경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대비시력의 차이가 있었고 시력회복시간의 감소로 인해 시인성 향상이 나타났다. 색각검사에서 황색계열을 착용한 상태에서는 색의 시인성이 매우 감 소함을 알 수 있었고, 시력회복시간도 렌즈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운전자의 환경과 렌즈의 특성을 잘 파악하여 상황별 특성에 맞는 적절한 렌즈를 선택한다면 운전시 시기능 저하로 인한 문제들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visual function under photopic and scotopic condi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functional driving lenses.
    Methods : Thirty patients (mean age 25 ± 2 years) who have no general or ocular disease were recruited. Corrected Visual acuity (VA) of participants who have no ocular surgery history should be 1.0 or better bilaterally. They were asked to wear three different types of functional lenses (A, B, C lens) and one general lens (N lens, refractive index 1.60). Visual acuity (logMAR) was measured using the contrast chart and a trial frame for correction. The contrast VA was measured under 100%, 50%, 30% and 15% contrast under both photopic and scotopic conditions, and color vision test (Compact Magnetic Farnsworth Dichotomous D-15 array test) and vision recovery time with automobile head light were measured. Pre- and post-satisfaction with each functional lens is measured under the same environment.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sample t-test using SPSS (Ver. 22.0 for Windows, SPSS Inc, USA) and ≥95% reliability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 Contrast VA with 3 types of functional len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100%, 50%, 15% contrast under photopic condition, and 100%, 50%, 30%, and 15% contrast under scotopic condition, respectively. However, in 30% contrast under photopic condition it was not shown significant. Contrast VA under photopic condition was the highest with C lenses (logMAR 0.002) at 100% contrast, C lenses (logMAR 0.005) at 50% contrast, B lenses (logMAR 0.015) at 30% contrast, and B lenses (logMAR 0.015) at 15% contrast. Contrast VA in scotopic condition was the highest with B lens (logMAR 0.006) at 100% contrast, B lens (logMAR 0.009) at 50% contrast, C lens (logMAR 0.019) at 30% contrast, and B lens (logMAR 0.052) at 15% contrast. In D-15 test, the mean number of lines crossing with A lens was 6.05 ± 1.7 and no lines crossing with N, B, and C lens was found. Visual recovery tim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order of C lens>B lens>A lens under photopic, and A lens>C lens>B lens under scotopic condition (p<0.05).
    Conclusions : Compared to the normal lens, the driving lens was effective in increasing contrast visual acuity and reducing visual acuity recovery time. However, in the D-15 test color confusion occurred only in the A lens (yellow lens). In order to select a lens that is helpful to the night vision driver's vision, the manufacturer should offer the lens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correct use of each len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시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