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거창군 북상면의 택존재(澤存齋)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7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4.03 최종저작일 2019.12
27P 미리보기
거창군 북상면의 택존재(澤存齋)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문화와 사상 / 7권
    · 저자명 : 김종수

    목차

    논문 초록
    Ⅰ. 드는 말
    Ⅱ. 택존재의 주인공: 덕산(德山) 임진원(林眞源)
    Ⅲ. ‘택존(澤存)’의 실상과 건립연도
    Ⅳ. 택존재의 특징적 기능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1906년에 거창군 북상면 갈계리 묵계에 건립된 택존재는 옛 안의현을 대표 했던 사족층의 일원인 은진임씨 효간공파 문중 소유의 재실에 해당한다. 그런데 택존재의 경우 시조에서 5대 조상까지를 추모하기 위한 재실 본연의 목적 외에도, “3대에 걸친 미덕[三世之美]”을 간직한 효간공파 일문의 기념비적 공간의 성격을 겸하고도 있음이 주목된다. 즉, 택존재는 이 건물이 영건된 직접적인 계기를 제공해준 덕산 임진원과 그 자·손들인 오당 임수양⋅회당 임필희, 이렇게 3대에 걸친 미덕을 표상해 주는 공공의 재실이었던 것이다. 면우 곽종석이 ‘은택이 깃든 재실’이라는 명칭을 부여했던 이유도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였다. 이제 ‘택존(澤存)’의 실상을 간략하게 적시해 두자면, 이른바 ‘5건 8조’로 지칭되었던 종족과 면민들을 대상으로 한 임수양의 적극적인 시혜⋅구휼 활동과 더불어, 또한 그 아들인 임필희가 지역민에게 기여한 다양한 작문 활동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물론 그 이면에는 “종족[族]의 사이가 소원하고 가까운 게 없는 것은, 모두가 한 조상의 후손들이기 때문”임을 지적하는 가운데, 이들에게 경제적인 지원 활동을 펼칠 것을 명한 임진원의 생애 마지막 유언이 결정적인 계기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후손들은 시혜를 베풀 개별적인 품목들인 ‘5건’과 함께, 이 5건을 포함하여 재실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지침이자 절목인 「8조」를 통해서, 임진원의 유언을 가시화하는 활동을 전개하기에 이른다. 물론 「8조」 가운데는 서당 운영을 위한 지침도 포함되어 있는 상태다. 이는 택존재 천장 상단에 가설된 서책을 수납하기 위한 별도의 시설과 더불어, 한때 이 건물이 건실한 수준의 재실형 서당을 운영했음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보다 더 중요한 사실은 ‘5건 8조’를 관류하는 철학적 차원의 처방인 ‘모도 (母道)⋅자도(子道)’라는 두 원리를 아울러 제시해 두었다는 점이다. 택존재가 영원토록 ‘은택이 깃든’ 공간으로 남기를 기약해 보인 두 종류의 원리는, 곽종석이 ‘택존’이라는 가명(嘉名)을 부여했던 진정한 이유를 실감케 해준다.

    영어초록

    Taekjonjae built at Galgye-ri(葛溪里), Buksang-myeon in 1906 is a memorial service site(齋室) owned by Eunjin Lim(恩津林氏)'s Hyogangongpa(孝簡公派). The reason the name meaning 'memorial service site cherished with blessings' was made by Myeonwoo(俛宇) Gwak Jong-seok(郭鍾錫) was because this memorial service site cherished three virtues throughout the three generations. In other words, Taekjonjae was a monumental space with three impressive stories whereby his grandsons Lim Su-yang(林秀養), Lim Pil-hee(林苾熙) fulfilled the last will of Deoksan(德山) Lim Jin-won(林眞源) saying to extend indiscriminate help to people. The real background behind acquiring a beautiful name(嘉名) of 'Taekjon' (Being blessed) might be well explained by the activity of teaching at memorial site-typed village school(齋室型書堂) along with economic assistance (relief, 救 恤) efforts represented by '5 Things(五件) & 8 Articles(八條)' in particular.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덕분에 과제 제출 기한을 맞출 수 있어 정말 감사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문화와 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