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궁통보감』에서 용신의 의미와 — 甲木과 庚金을 중심으로 —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7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4.03 최종저작일 2022.06
27P 미리보기
『궁통보감』에서 용신의 의미와  — 甲木과 庚金을 중심으로 —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문화와 사상 / 12권
    · 저자명 : 진영아, 최정준

    목차

    논문 초록
    Ⅰ. 머리말
    Ⅱ. 명리서의 용신 개념
    1. 용신(用神)의 의미
    2. 용신(用神)의 중요 이론
    Ⅲ. 『窮通寶鑑』 본문에 입각한 <희용제요> 재검토
    1. 7월⋅8월⋅9월 甲木
    2. 1월 庚金
    Ⅳ. 『窮通寶鑑』 용신의 기능적 관점과 활용
    1. 『窮通寶鑑』 용신의 기능적 관점 이론
    2. 『窮通寶鑑』 기능적 관점에서의 용신 활용
    Ⅴ.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사주명리학 이론 중에 용신이론(用神理論)은 몸의 정신에 비유할 정도로 운 명을 추론(推論)하기 위한 가장 핵심이론이다. 용신(用神)은 일간(日干)의 역량 을 저울질하여 음양의 균형을 맞추고 오행의 구성과 조화를 기준으로 구(求) 한다. 이러한 용신(用神)의 종류와 취용법은 다양하다. 대표적 사주명리서 중에서 滴天髓는 중화사상을 근본으로 억부, 통관, 조 후, 병약용신을 취용하며, 또한 강한 기세를 따르는 종화론(從化論)을 원칙으 로 취한다. 子平眞詮은 격국에서 취하는 격국용신을 쓰며 순용용신과 역용 용신을 취한다. 窮通寶鑑은 십간을 12월에 배치하여 주용신과 보좌용신을 두며, 전체적으로 조후용신을 기반으로 하지만, 오행의 기능적 용신(用神)역할 이 스며들어 있다.窮通寶鑑 <희용제요>와 본문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15개 부분 중 가을 甲木과 1월 庚金의 용신을 계절의 관점과 오행의 관점에서 체(體)와 용(用)으로 비교하고, 원문 검증하여 고정(固定)하였다. 비교 검토한 결과 窮通寶鑑은 조 후론을 기반으로 표현하지만, 철저한 오행의 상호기능적 관점이다. 계절의 관점 으로 본다면 가을의 甲木은 추수하는 계절에 결실이 목적이니 庚金을 우선한 다. 그러나 용신의 기능적 관점으로 보면 甲木을 보호하기 위하여, 먼저 丁火를 주용신으로 취하여 예리하게 제련된 庚金으로 수삭(修削)해야 한다. 窮通寶鑑의 용신(用神)은 오행의 역할에 따라 용신(用神)을 구(求)하고 그 용신(用神)은 세트로 짝을 지어 기능적 작용을 한다. 전체의 균형과 안정을 위 하여 필요한 각각의 기능을 상호의존적으로 수행하는 파슨스의 구조기능론과 부합된다. 즉, 甲木이 丁火로 인화(引火)하고, 인화(引火)된 丁火가 庚金을 제 련하고 제련된 庚金이 甲木을 벽갑(劈甲)하여 결실을 얻는다. 木生火, 火剋金, 金剋木의 생극제화 과정이다. 丁⋅庚⋅甲이 세트로 짝을 지어 임무를 수행하 는 상호기능적 관점의 용신(用神)특징을 갖고 있다.

    영어초록

    Among the Saju-myeongli, the Yongsin Theory(用神理論) is the most important theory to infer fate to the extent that it is likened to the mind of the body. Yongsin measures the capabilities of ‘Ilgan(日干)’, balances Yin-Yang, and practices based on the composition and harmony of the Five Elements. There are various types and methods of use of these Yongshin(用神) Among the representative Saju-myeongli books, 'Jeokcheonsu(滴天髓)' uses the Chinese ideology as the basis like ukbu, Tong-Goan, Jo-hoo, and Byung-yak-yong-shin. In principle, It takes the doctrine of Jong-Hwa(從化論) that follows strong momentum. 'Japyeongjinjeon(子平眞詮)' choose Guekgukyongsin that is taken Guekguk. It takes the order yong-shin and the reverse yong-shin. 'Gungtongbogam(窮通寶鑑)' is arranged Shipgan(十干) to 12 months and having a main Yongshin(用神) and assistance Yongshin(用神). Overall, it is based on Cho Hoo Yong-shin, but the functional role of the five elements is permeated. Among the 15 parts that do not match the contents of the text with'Gungtongbogam(窮通寶鑑)' <Huiyongjeyo희용제요> autumn gap mok (甲木) and January kyong gum(庚金)‘s yong-shin were compared Che(體)와 Yong(用) with the perspective of the season and five elements, and the original text was verified and fixed. As a result of comparative review, 'Gungtongbogam(窮通寶鑑)' is expressed based on Jo Hu-ron, but it is a structural and functional perspective of thorough O-hang(五行).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eason, autumn's gap mok(甲木) is aimed at fruit in the harvest season, so kyong gum(庚金) takes precedence. However, from the functional point of view of the O-hang(五行), first, it is necessary to take jeung wha(丁火) as the main yong-shin in order to protect 甲 木and needs to be cut out with kyong gum(庚金). Yongshin(用神) of 'Gungtongbogam(窮寶鑑鑑) is looking for Yongshin(用神) according to the role of the O-hang(五行) and Yongshin(用神) is paired in a set to function. It is consistent with Parsons' structural functional theory, which performs each function necessary for overall balance and stability interdependent. In other words, the gap mok(甲木) is ignited with jeung wha(丁火), and the ignited jeung wha(丁火) is smelteed by the kyong gum(庚金), and the smelted kyong gum(庚金) splits gap mok(甲木) and pays off. It is a process of biotranspiration of mok sang wha(木生火), wha kuk gum(火剋金), gum kuk mok(金剋木). jeung(丁)⋅kyong(庚)⋅gap(甲) has the characteristics of Yongshin (用神) from a structural functional viewpoint in which play a role in pair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문화와 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데터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