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중휘, 『셰익스피어 입문』, 범문사, 1985.
· 김경옥, 「세익스피어 비극의 여성상」, 한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 김경옥, 「셰익스피어 비극에 나타난 여성과 남성 : 『로미오와 줄리엣』 을 중심으로」, 진리논단 제5호(317-336), 2000.
· 김선미, 「성역할과 여성 – 셰익스피어 『멕베스』•『로미오와 줄리엣』 –,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 김태형, 『로미오는 정말 줄리엣을 사랑했을까?』, 교보문고, 2012.
· 박부영, 「『로미오와 줄리엣』에 나타난 줄리엣의 영웅성과 희생양 이미 지」,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 신웅재, 「『로미오와 줄리엣』: 희극과 비극의 대비와 조화」, 셰익스피어 리뷰 제39권 제1호(201-219), 2003.
· 신웅재 주석, Romeo and Juliet,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5.
· 신경옥 옮김, 『로미오와 줄리엣』, 용인 : 전예원, 2009.
· 안나제임슨, 『셰익스피어의 여인들 1, 2』 , 아모르문디, 2007.
· 오다사마 유시, 『셰익스피어 사랑학』 , 말글빛냄, 2011.
· 이경호․신동선, 「셰익스피어 작품에 나타난 비극적 사랑 연구 : 『로미 오와 줄리엣』과 『오셀로』를 중심으로」, 협성논총 제13집 (43-67), 2001.
· 이동춘, 「대조의 미학 : 『로미오와 줄리엣』에 나타난 언어를 통하여」, 셰익스피어 리뷰 제38권 제2호(463-489), 2002.
· 이대석, 『셰익스피어 극의 이해: 비극』,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2.
· 이 민, 「『Romeo and Juliet』 인물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 이영순, 「극적 아이러니로 구성된 『로미오와 줄리엣』의 비극성」, 현대 영어영문학 제56권 제1호(181-200), 2012.
· 이혜경, 『셰익스피어 극의 해석 넓히기』, 동인, 2007.
· 장선영, 「『로미오와 줄리엣』: ‘진리-사건’으로서의 사랑」, 셰익스피어 리뷰 제46권 제4호(889-916), 2010.
· 정아름 옮김, 『셰익스피어 사랑의 대화』, 영림카디널, 2011.
· 진용우 옮김, 『로미오와 줄리엣』, 청목, 2009.
· 최영애, 「『Romeo and Juliet』의 비극적 사랑연구」, 상명여자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 찰스 램, 『쉽게 읽는 셰익스피어 이야기』, 글나눔, 2013.
· 황효식, 「르네상스 시대의 내적 자아와 셰익스피어의 비극적 인물들」, 셰 익스피어 리뷰 제47권 제2호(405-422). 2011.
· Champion, Larry S, Shakespeare’s Tragic Perspective: Romeo and Juliet, Athens: U of Georgia P, 1976.
· Charlton, H. B, Shakespearean Tragedy, Cambridge UP, 1948.
· Dash Irene, Wooing, Wedding, and Power: Women in Shakespeare's Plays, New York : Columbia UP, 1981.
· Evans, Bernard, Shakespeare’s Tragedy Practice, Oxford: Clarendon, 1979.
· Marianne Novy, Love’s Argument: Gender Relations in Shakespeare, U of North Carolina P, 1984.
· Wallace, Nathaniel, “Culture Tropology in Romeo and Juliet.” Studies in Philology 88. No.18, Summer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