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광형·오길록(1997),『퍼지이론 및 응용』, 홍릉과학출판사, 1997
· 김형배(2005), 민법학강의(4판) 채권각론, 박영사, 2005
· 송석주․최호석․이지연․오세만, 지역주택조합 : 이론과 실무. 부연사, 2015
· 이건창, 『퍼지이론』, 경문사, 2004
· 김광수, “지역·직장주택조합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논문, 2014
· 김동빈, “지역주택조합의 실효성 개선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석사 논문, 2016
· 김상희, “지역주택조합의 매도청구 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건국대 학교 석사논문, 2012
· 김성원, “지역주택조합제도 투명화 방안 인식조사”명지대학교 부동산대 학원, 2020.
· 김진수․이정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의 공공관리제도 개선 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한윤기, “지역주택조합제도의 법리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권원석. “주거지재생을 위한 주택협동조합 활성화 방안 연구”, 전주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심상후, “우리나라 주택조합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세종대학교 산업경 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김진희, “지역주택조합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안양시 비산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2014
· 이남근, “주택법상 지역주택조합사업 리스크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김태경, “주택법상 주택조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2009
· 문상철, “주택법상 주택조합 중 지역주택조합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2011
· 서형배, “지역주택조합의 건전성 확보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7
· 김원준, “공유 오피스 구성요소에 대한 중요도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7
· 심상후, “우리나라 주택조합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 논문, 2006
· 김동근, “주택재개발·재건축사업의 개선방안에 관한 법적 연구”, 숭실 대학교 법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최세희 “부동산 담보부 부실채권 투자의사결정 요인의 중요도 분석에 관 한 연구“ 건국대학원 석사논문 2011.
· 하정훈, “비지니스호텔 투자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5
· 장성환, “도시정비사업 추진과정에서의 이해집단 간 갈등 구조 분석 : 주택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연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홍유경, “주택가격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중요도 분석”, 건국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안영민, “주택조합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석사논문, 2017
· 장재일, “민간개발 노후단독주거지 정비방식의 제도적 합리성에 관한 연 구”, 서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윤서준, “사례분석을 통한 민간주택개발사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건 국대학원 석사논문, 2015
· 김동근, “주택재개발·재건축사업의 개선방안에 관한 법적 연구”, 숭실 대학교 법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성중탁,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상 매도청구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 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김란수, “한국형 주택협동조합의 사회·경제적 실행 가능성과 제도 개선 방안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박환용·이상한·이인호·배구희, “지역 및 직장 주택조합제도의 개선 방안연구”, 주택학회,주택연구 제10권 제2호, 2002.
· 강석점, “주택법상 지역주택조합 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동 아법학」 제76집, 2017.
· 강세진·진남영·이상열,“국외 주택협동조합 운영구조의 유형화에 관 한 연구”, 「국토계획」 제49권 2호, 2014.
· 김광수ㅊ조인창, “지역·직장주택조합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 한부동산학회 31, 제2호 2013
· 김동빈․이창석, “지역주택조합 운영상 조합원의 참여행동 영향요인 분 석”, 不動産學報. 제62집 (2015. 8.), 한국부동산학회, 2015.
· 김종보, "지역조합 사업주체의 권한과 책임" 한국지방자치법학회 7, 2007
· 박환용,“지역 및 직장 주택조합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주택학회 10, 2002
· 임종욱·이춘원, “가로주택정비사업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를 중심으로” 대한부동산학회 제37호, 2018
· 이훈병·윤건호, “교육연구에서 계층분석과정의 활용가능성 연구,” 유 아교육·보육행정연구, 제12권 제4호, 2008
· 권원석·전철모, “AHP분석기법을 이용한 소규모블록단위 주택개발 활성 화 방안 연구”2015 한국주거환경학회 통권 제13권 제4호, 2015.
· 박의근, “법인이 아닌 사단과 총유에 대한 민법개정론”, 「재산법연 구」, 제35권 1호, 2018.
· 안현진·박현영, “재생사업지구 내 공가 및 공터 활용을 통한 유연적인 도시재생 방안 연구 '일시적 활용' 및 '전술적 도시론'의 사례 고 찰을 통해,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3.
· 김영문ㆍ채수원, “관광지 선택에 있어서 AHP의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지』, 1996
· 이규녀, “계층적 분석기법(AHP)을 이용한 지식재산 이러닝 콘텐츠의 상 대적 중요도 분석”, 『지식재산연구』제 11권 제 1호, 2016
· 이제희, “주택법상 지역주택조합의 법적 검토”, 제117회 토지공법학회 학술대회 제3주제 발제논문, 2019.
· 홍선기, “주택법상 지역주택조합의 법적 검토”, 제117회 토지공법학회 학술대회 제3주제 발제논문, 2019.
· 이남근·서영천·엄수원, “주택법상 지역주택조합사업 리스크관리 방안 에 관한 연구”, 「부동산경영」, 제16권, 2017.
· 강재중, “복합용도개발에 의한 도심지 활성화를 위한 도시 거버넌스 체 계에 관한 연구”, 주거환경, 통권 제10권 제3호, 2012
· 서동한, “지역주택조합사업의 이해와 위험요인 점검”, KB경영연구소, 2015
· 정연부, “지역주택조합제도의 문제점과 개정 법제의 한계” 성균관법학 제29권 3호, 2017. 09
· 조진희, "지역주택조합사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 14, 2016
· 조진희, 김홍배, “지역주택조합사업에 미치는 핵심요인 도출에 관한 연 구”, 집합건물법학 22, pp.113-131, 2017
· 홍성진, "주택법상 지역주택조합 개선방안 연구" 한국부동산연구원 25, 제 3호 2015
· 이춘원. “지역주택조합과 법률관계 구성”, 「집합건물법학」제21집, 한 국집합건물법학회, 2017.
· 전광섭․김정하, “지역주택조합 사업 활성화를 위한 자금조달 방안연구” 건설경제산업연구, Vol.4 No.2, 2013.
· 전광섭, “지역주택조합사업을 위한 주택금융 연구 : PF대출지원 방안을 중심으로”, 부동산경영, 제9집, 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14.
· 국민권익위원회, “서민 주거안정을 위한 지역주택조합제도 개선방안”, 2015. 12.
· 국토교통부, “지역·직장주택조합제도 해설서”, 2016.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