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정만, 『명나라 역대 황제 평전』, 서울: 주류성, 2017.
· 단죠 히로시, 『영락제: 화이질서의 완성』, 완주군: 아이필드, 2017.
· 데라다 다카노부, 『중국의 역사: 대명제국』, 서울: 혜안, 2006.
· 르언홍, 『중국 고대의 환관』, 울산: UUP: 울산대학교출판부, 2009.
· 미야자키 마사카쓰, 『정화의 남해 원정』, 서울: 밀빛, 1999.
· 박인수, 『황제의 비서실장 환관』, 서울: 석필, 2003.
· 範文瀾, 박종일 역, 『중국통사: 20세기 중국 사학 명저 下』, 고양: 인간사랑, 2009.
· 上杉 千年, 『1421 세계 최초의 항해가 정화』, 서울: 이치, 2007.
· 안진, 『천추흥망 : 명나라, 대항해의 선구자』, 서울: 따뜻한손, 2010.
· 정성환, 『인물로 보는 중국역사』, 서울: 신원문화사, 1994.
· 정수일, 『씰크로드학』, 서울: 창작비평사, 2001.
· 조관희, 『한 권으로 정리한 이야기 중국사』, 서울: 청아, 2013.
· 화강·장국호, 『아주 특별한 중국사 이야기』, 서울: 신서원, 2008.
· 강희정, 「中國人의 南洋 移住와 近代 東南亞의 中國系 美術」, 중국사학회, 중국사연구 83권 0호, 2013, pp. 37-61.
· 김광수, 「정허(Zheng He)의 항해를 통해 바라본 중국과 아프리카의 역사적 관계에 대한 고찰」, 한국아시아학회, 아시아연구 제16권 1호, 2013, pp. 29-75.
· 에릭 밀런츠, 柳翰秀 역, 「유럽과 중국의 비교사」, 창비, 창작과비평 120호, 2003, pp. 280-301.
· 이준태, 「중국의 전통적 해양인식과 海禁政策의 의미」,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아태연구 제17권 2호, 2010, pp. 241-253.
· 전순동, 「명초(明初) 환관(宦官)의 외교(外交) 활동(活動) 실태(實態)와 그 특성(特性)」, 중국사학회, 중국사연구 77권 0호, 2012, pp. 109-155.
· 전순동, 「명조(明朝) 전기(前期) 환관(宦官) 세력(勢力)의 추이(推移)와 기능(機能)」, 중국사학회, 중국사연구 61권 0호, 2009, pp. 39-82.
· 정유선, 「15세기 초 명(明) 제국의 ‘세계’ 인식과 재현 ―명 정화(鄭和) 원정대 출신 작자의 해외견문록을 중심으로―」, 한국중문학회, 중국문학연구 72권 0호, 2018, pp. 71-102.
· 조원일·김종규, 「명대 후기의 해상무역 정책에 관한 연구 -남중국해를 중심으로-」,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동양문화연구 18권 0호, 2014, pp. 131-152.
· 최소자, 「中國에서 본 西洋」, 동양사학회, 동양사학연구 제80권 0호, 2002, pp. 97-126.
· 최형록, 「정화(鄭和) 대항해와 해양 국가 및 해양 도시와의 교류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해항도시문화교섭학 (5), 2011, pp. 133-161.
· 한지선, 「鄭和의 出使와 인도양 네트워크」, 명청사학회, 명청사연구 제49집, 2018, pp. 4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