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승정원일기》
· 《조선왕조실록 - 인조실록》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2002
· 계승범, 『조선시대 해외파병과 한중관계 : 조선 지배층의 중국 인식』, 푸른역사, 2009
· 김은정 외 2인, 『소현동궁일기』, 민속원, 2008
· 정옥자, 『우리가 정말 알아야할 우리 선비』, 현암사, 2002,
· 정하영 외 6인, 『심양장계 : 심양에서 온 편지』, 창비, 2008
· 한명기, 『정묘·병자호란과 동아시아』, 푸른역사, 2009
· 한명기, 『병자호란』, 푸른역사, 2013
· 계승범, 『16-17세기 명·조선 관계의 성격과 조선의 역할』, 「현대사회와 정치평론」 10권, 한국 정치평론학회, 2012
· 김경미, 『한국인의 해외체험과 문화 수용 : 소현세자의 ‘청’체험과 문화수용』, 「한국문화연구 원논총」 10권,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2006
· 김남기, 『소현 동궁일기 - 교육의 실제와 도서 정비 과정』, 「규장각」 29,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6
· 김남윤, 『심양일기와 소현세자의 볼모살이』, 「규장각」 29,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6
· 김문식, 『과거의 역사 현재의 역사 ; 소현세자의 외교활동』, 「선비문화」 4, 남명학연구원, 2004
· 김용덕, 『소현세자연구』, 「사학연구」 18, 한국사학회, 1964
· 김윤순, 『누르하치의 호륜 4부 통합과 후금의 건국』, 「강원사학」 26, 강원대학교 사학회, 2014
· 김윤정, 『17세기 소현세자 상례의 성격과 의미』, 「한국학연구」 40,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 남은경, 『심양일기연구 - 소현세자, 봉림대군의 심양체험을 중심으로』, 「동양고전연구」 22권, 동양연구학회, 2005
· 남의현, 『16~17세기 두만강 변경지대 여진의 성장과 국제질서의 변화 - 와이객 등 여진족 통 합과정을 중심으로』, 「명청사연구」 41, 명청사학회, 2014
· 신명호, 『승정원일기를 통해본 소현세자의 병증과 사인』, 「사학연구」 100, 한국사학회, 2010
· 안유림, 『명청교체기 심양관의 역할』, 「한국문화」 50, 한국학연구원, 2010
· 한명기, 『명청교체기 동북아 질서와 조선 지배층의 대응』, 「역사와 현실」 37, 한국역사연구회, 2000
· 한명기, 『병자호란 무렵 조선의 대일정책과 인식』, 「동북아역사논총」 17, 동북아역사재단, 2007
· 한명기, 『병자호란 시기 조선인 포로 문제에 대한 재론』, 「역사비평」, 역사비평사, 2008
· 한명기, 『17세기 초·중반 조청관계와 이신』, 「동북아역사논총」 8, 동북가역사재단, 2005
· 허태구, 『소현세자의 심양억류와 인질체험』, 「한국사상사학」 40, 한국사상사학회, 2012
· 황정욱, 『소현세자와 아담 샬』, 「신학논단」 69,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