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교육포럼, 모발학, 청구문화사, p18 p31, 2004
· 김한식, 모발생리학, 현문사. p29, 1997
· 김용수, 한눈에 보이는 미용용어 사전, 드림 북, p13-285, 2006
· 김창식 외. 성인 남녀의 가마와 앞머리선의 형태에 관한 연구. 대한피부과학회지. 43권 8호, 2005
· 김혜진. 아토피성 피부염에 효과적인 주거 공간의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30평형 신축 아파트의 자연친화적 재료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p40-47, 2007
· 농림부, 농림부통계연보, 농림부, p 38-40, 2007
· 대한미용교수협의회, Trichology scalp & Hair Care,
· 청구문화사, p29-30, 2007
· 두산동아, 새국어사전. 두산동아, p217, 2005
· 대한모발학회, 毛난사람이 되자, 무한. p27, 2008
· 류은주, 모발학, 광문각, p62, 2002
· 맹원재, 최신현대인의 식생활과 건강, 건국대학교출판부, p71-86, 2005
· 박선수. 최근 우리나라 기후변화에 따른 凍結指數의 변화추이.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p151, 2003
· 박영심 외. 도시주부들의 웰빙에 대한 인식과 식생활 유형에 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05
· 박상도. 우리나라 주요 기상관측소에 나타난 기온과 강수변화 특성(1904년 이후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p32-48,2003
· 배연숙, 박경민. 도시농촌 지역 초등학생의 가족환경, 건강행위 및 건강상태에 관한 비교. 지역사회간호학회지, 9권 2호, 1998
· 손영찬. 환경오염의 실태와 대책. 경상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최고관리자과정논문집. p911-919, 2000
· 안철호, 도시성장에 따른 산업구조 변동에 관한 연구.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p14, 1987이형우 외, 현대피부학, 광문각, p39, 2008
· 오점섭. 입지유형과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도시의 인구성장, 홍익대학교 대학원. p61-121, 2008
· 오수연. 수유형태에 따른 영유아의 성장 발육과 어머니의 체중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p21-71, 2003.
· 오병금. 탈모인과 비탈모인의 일반적인 특성에 관한 연구(서울경기지역 30~40대를 중심으로),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p11-36, 2007
· 유넵(UNEP) 한국위원회. 지구온난화 관련 정책 및 대응 방안. 국제 심포지움. p4, 2004
· 임윤정.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환경NGO의 초국적 협력(동북아사례를중심으로). 경희대학교 NGO대학원. p7-52, 2005
· 이영주. 한국가족의 구조변화와 대응방안. 한영신학대학교 기독상담대학원. p43-81, 2006
· 이연상, 쉽게 풀어보는 기후협약, 한울 출판사, p20-301, 2008
· 이희경. 탈모증에 대한 통계학적 고찰 및 실태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향장산업대학원, p53, 2005
· 이옥화. 건강한 주거공간의 환경 친화적 실내디자인요소 적용방안.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p21-26, 2004
· 정태봉, 모발대전과, 광문각, p7, 2000
· 정용삼 외. 인체보건환경평가를 위한 모발의 중성자방사화분석. 한국분석과학학회지, 14권 2호, 2001
· 전정애. 미용관련학과 학생들의 두피모발관리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p51, 2008
· 정영화. 한국의 환경오염 실태와 환경오염 방지 정책.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p4-36, 1999
· 조찬래. 한국의 환경문제와 환경정책. 청주대학교 국제개발연구원. 국제문화연구. 1999: 17: 52-70.
· 조성일, 두피&탈모관리학, 리그라인, p44-47, 2004
· 조수헌, 김선미. 환경오염에 의한 건강피해 보도 사례.
· 서울대학교 의학 대학 예방의학학회지, 26권 1호, 1993
· 임영. 대기오염의 건강위해도 평가(분자생물학, 분자역학, 통계학적 접근). 한국과학기술정보원보고서. p9-20, 2002
· 최은선. 기후변화에 대한 보건 부분의 적응대책. 한국보건사회원구원보고서, p49, 2007.
· 황미애. 이유식에 대한 주부들의 인식 및 이용실태조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p3-5, 2002
· 한영숙 외, 피부학, 정담미디어, p56, 2005
· Amar J.S, Klar. Human handedness and scalp
· hair-whorl direction develop form a common genetic mechanism. Genetics society of America. 2003: 165: 269-276.
· Amar J.S., Klar. Excess of counterclockwise scalp hair whorl rotation in homosexual men. Journal of Genetics. 2004: 83(3): 251-255.
· Clark C.G. The Cnditions of Ecnmics Prgress. London : MacMillan. 1940. p.75
· Ziering C, Krenitsky G. The Ziering whorl classification of scalp hair. Dermatol Surg. 2003. p818.
· Beaton A.A, Mellor G. Direction of hair whorl and
· handedness. Taylor & Francis Journal. 2007: 12(4):295-301.
· やほもと りょいち, 지구온난화 충격리포트, 미디어월, p72, 2007
· http://nso.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