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종석, (2018), 돈이 보이는 빅데이터, 김영사.
· 김동완, (2013), 빅데이터의 분야별 활용사례, 경영논총, 34, 39-52.
· 김윤정, 유병은, (2016), 인공지능 기술 발전이 가져올 미래 사회 변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57-62.
· 김은희, 조상덕, (2017), 드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 한
· 국항공경영학회지, 15(6), 17-31.
· 김진하, (2016),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방안 모색,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5), 45-58
· 박석지, (2017), ICT, IoT, 빅데이터 기술발전에 따른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및 대응방안 연구,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 박세환, (2014), 사물인터넷 핵심기술 및 시장성 분석, 정보통신산업진흥원, 14-24.
· 박원준, (2012), 빅데이터(Big Data) 활용에 대한 기대와 우려,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28-47.
· 배세하, 김상희, (2016), 무엇이 승객으로 하여금 플랫폼에 출근하도록 만드는가?, 45(4), 1243-1278
· 서경완, (2015), 드론 부상이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산업은행경제연구소, 35-37.
· 신윤성, 김원규, 최광훈, (2014), Big Data 기술 도입의 파급효과와 미래산업으로의 발전방안, Kiet산업연구원.
· 원동규, 이상필, (2016), 인공지능과 제4차 산업혁명의 함의, ie 매거진, 23(2), 13-22.
· 유재흥, 조원영, (2018), 디지털 전환 시대의 플랫폼 역량 특성과 기업 대응 전략, 정보과학회지, 36(9), 34-43.
· 이건영, (2016), 드론, 우리 곁으로 성큼 다가온다,, 전기의세계, 65(1), 17-24.
· 이승준, (2017), 세상을 연결하는 플랫폼의 가치, Issue insight, 22-25.
· 이승철, (2017), 4차 산업혁명과 기업 조직의 변화 : 조직운영 및 인적자원관리 대응과제, 임금연구, 25(1), 4-32.
· 장석인, (2017),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산업구조 변화 방향과 정책과제, 국토, 424, 22-30.
· 장병탁, (2016), 인공지능의 경제 · 산업적 파급효과, 지식의 지평, (21), 1-14.
· 장필성, (2016), [EU] 2016 다보스포럼: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우리의 전략은?, 과학기술정책, 26(2), 12-15.
· 전수용, 안상진, (2018), 4차 산업혁명 기술경쟁력 분석 및 시사점: 사물인터넷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전홍배, (2015), 사물인터넷 기술의 개념, 특징 및 전망,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4(1), 7-19.
· 정지훈, (2015), 드론의 발전역사와 향후 시장 전망, 한국인터넷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