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자균(1973),『춘향전』, 민중서관, 1973.
· 우한용(1999), 『문학교육과 문화론』, 서울대출판부.
· 황혜진(2007),『춘향전의 수용문화』, 월인.
· 曹雪芹(1992), 高號 著,國藝術硏究院, 紅樓夢 硏究所 校注,『홍루몽』4회, 中國人民出版社.
· 윤여탁(2007), 『외국어로서의 한국문학 교육』, 한국문화사.
· 신주철(2006),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문학 교육의 이론과 실제』, 커뮤니케이션북스.
· 강혜민(2006),「고전소설을 통한 한국어교육」,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고인덕(2007),「중국에서의 한국문학 수용 사례에 관한 연구: 최근에 소개된 『무녀도』,『남녘사람, 북녘사람』,『마이너리그』를 중심으로」, 中國語文學論集 제 43호.
· 권순희(1996), 「언어 문학적 특성을 고려한 한국어 교육의 교재 편성 방안」, 『국어교육연구 3』,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 김정숙(1997),「한국어 숙달도 배양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방안」,『교육한글』제 10호, 한글학회, 1997.
· 김정우(2001),「시를 통한 한국 문화 교육의 가능성과 방법」, 『선청어문』제 29집, 서울대학교 국어교육학과.
· 김지영(2006), 「韓․中名節 文化比較硏究-言語, 由來, 風俗, 飮食 中心」, 경기대교육대학원.
· 김종철(1976),「한국어교육에서 문학제재 활용의 전통」,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 김종철(2002),「한국 고전문학과 한국어교육」,『한국어교육』1.
· 김하지(2006),「외국인을 위한 古典文學敎育 방안-설화(說話)를 중심으로」,아주대학교교육대학원.
· 남연(2005),「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학 작품 읽기교육연구- ‘韓國文學作品選讀’ 과목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제 23집.
· 나정선(2008),「외국인을 위한 문학 교육 방법 연구」, 단국대학교.
· 신주철(2006),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문학 교육의 이론과 실제』,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6.
· 안미영(2005),「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 문화와 한국어 교수-이청준의 단편 소설<눈길>을 중심으로」, 선문대학교교육대학원.
· 양민정(2003),「고전소설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법」, 『국제지역연구 제 7권 제 2호』, 2003.
· 양민정(2005),「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연구 -한국고전문학을 중심으로」,국제지역연구 제 9권 제4호.
· 윤여탁(1999),「문학을 활용한 한국어교육방법」,『국어교육연구』6집, 서울대국어교육연구소, 1999.
· 이명주(2003),「영화 <춘향전>을 통한 한국 문화 교육 방법」, 부산외국어교육대학원.
· 이선이(2003),「문학을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방법」,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이성희(1999),「설화를 통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한국어 교육 10권 2호』, 한국어교육학회.
· 郁菁(2005)『紅樓夢』과의 比較를 통한 『春香傳』 敎育 硏究 : 中國人 韓國語 學習者를 對象으로, 서울대학교.
· 정진영(2005),「영상매체를 활용한 고전소설 교육 방법 연구-<춘향전>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 정은화(2001),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시 교육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 조항록(1998), 한국어 고급 과정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방안,『한국어교육』9권 2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홍혜준, 「고전작품을 통한 한국 문화교육」, 『국어교육학연구 제 21집』.
· 황인교,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교육 - 기초단계의 문학작품 읽기를 중심으로-」,『이화어문논집』 16집, 이화어문학회.
· 황인교,「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학교육」,『이화어문논집』 16 , 이화여자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