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뇌졸중은 전 세계적으로 성인사망의 수위를 차지하는 질환으로 단일 장기질환 으로는 암을 제치고 인구 10만 명당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자는 50.3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사망률 1위를 차지했다(통계청, 2013). 뇌졸중은 매우 응급한 질환으로 2가지 형태가 있고, 뇌로 가는 혈관이 터지면서 출혈이 발생하는 ‘출혈성 뇌졸중’과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면서 발생하는 ‘허혈성 뇌졸중’ 이 있다. 현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성인 사망의 주된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뇌졸중 후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손상 중 하나는 바로 한쪽에만 우세하게 나타나는 근력의 약화이다(Wade 등, 1985). 이러한 근력의 약화는 체간에서도 마비 측으로 나타난다(Bohannon, 1991). 이러한 근력의 불균형에 의하여 편마비 환자들은 비대칭적인 자세를 갖게 된다. 따라서 일상생활동작의 기본이 되는 자세조절에서 체간의 무게중심을 체중 지지면 위에 유지하는 능력과 대칭적인 자세유지에 필요한 정위반응, 평형반응이 감소하여 심각한 장애를 야기하게 된다.
뇌졸중 환자의 대부분은 왼쪽이나 오른쪽의 손상된 마비형태를 보이며, 자세를 조절하지 못하여 갑작스런 요동(perturbations)에 마비된 쪽으로 넘어지기가 쉽다(Ikai 등, 2003). 일반적으로 기립과 보행에 장애를 보이는데 이것은 균형 및 자세조절에 어려움을 지니고 있는 편마비 환자들은 비대칭적인 자세, 비정상적인 신체의 균형, 체중을 이동하는 능력의 결함 및 섬세한 기능을 수행하는 특수한 운동요소의 상실이 중요 원인이다(Carr 등, 1985).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향상에 관련한 이전의 연구들은 균형조절을 행하는 근력 증진운동, 마비측 체중이동훈련(Laufer, 2003), 체성 감각 자극을 위해 기계적인 진동자극하기(Priplata 등, 2006), 과제 지향적인 훈련(Dean과 Shepherd, 1997), 힘판을 이용한 시각적, 청각적 피드백(Nichols, 1997) 등 여러 방법이 사용되었다.
· 고대식, 김찬규, 정대인(2011). 스위스볼 요부안정화운동에 따른 뇌졸중 환자하지의 경직도와 균형 분석. 한국콘텐츠학회지, 11(3), 262-270.
· 김미선(2005). 체간하부 안정성 강화 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상지 관절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선엽, 권재확(2001). 슬링시스템을 이용한 요부 안정화 운동. 대한정형물리치료학회지, 7(2), 23-39.
· 김은자, 황병용, 김재현(2009). 뇌졸중 환자의 체간하부 안정성 강화운동이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1(4), 17-22.
· 배성수, 김한수, 이현옥 등(1992). 인체의 운동. 서울, 현문사.
· 전호영(2010). 교각운동이 체형의 변화와 족압 분포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최혜정, 정진욱(2008). 6주간의 집중 Core Stability Training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활동체력 및 자세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지, 17(4), 505-514.
· 통계청(2006). 2006년 사망 원인 통계결과.
· Bohannon RW(1991). Strength deficits also predict gait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stroke. Perceptual Motor Skill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73(1) 31-51.
· Borg FG, Laxåback G(2010). Entropy of balance some recent results. J Neuroeng Rehabil, 7(38), 1-11.
· Carr JH, Shepherd RB, Nordholm L, et al(1985). Investigation of a new motor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hys Ther, 65(2), 175-180.
· Dean CM, Shepherd RB(1997). Task-related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seated reaching task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8(4), 722-728.
· D'Hondt E, Deforche B, Bourdeaudhuij ID, et al(2001). Postural balance under normal and altered sensory condition in normal-weight and overweight children. Clin Biomech, 26, 84-89.
· Ikai T, Kamikubo T, Takenhara I, et al(2003). Dynamic postural control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Am J Phys Med Rehabil, 82(6), 463-469.
· Jadelis K, Miller ME, Ettinger WH, et al(2001). Strength, balance, and the modifying effects of obesity and knee pain: Results from the observational arthritis study in seniors(OASIS). J Am Geriatr Soc, 49, 884-891.
· Jarmo MP, Janne A, Niina S, et al(2010). Age dependency of neuromuscular function and dynamic balance control. Eur J Sport Sci, 10(1), 69-79.
· Jespersen M, Potvin AN(2000). The great body ball handbook. Productive Fitness Products Inc.
· Laufer Y, Dickstein R(2007). Tens to the lateral aspect of the knees during stance attenuates postural sway in young adults. Scientific World Journal, 7, 1904-1911.
· Magee DJ(1999). Instability and stabilization: Theory and treatment. 2(1), Seminar Workbook.
· Marshall PW, Murphy BA(2005). Core stability exercises on and off a Swiss ball. Arch Phys Med Rehabil, 86(2), 242-249.
· Miller R(2006). Foam rollers show no increase in the flexibility of the hamstring muscle group. UW-L Journal of Undergraduate Research IX
· Nichols DS(1997). Balance retraining after stroke using force platform biofeedback. Phys Ther, 77(5), 553-558.
· Piirainen JM, Avela J, Sippola N, et al(2010). Age dependency of neuromuscular function and dynamic balance control. Euro J Sport Sci, 10(1), 69-79.
· Priplata AA, Patritti BL, Niemi JB, et al(2006). Noise-enhanced balance control in patients with diabetes and patients with stroke. Ann Neurol, 59(1), 4-12.
· Vera-Garcia FJ, Grenier SG, McGill SM(2000). Abdominal muscle response during curl-ups on both stable and labile surfaces. Phys Ther, 80(6), 564-569.
· Wade DT, Hewer RI, Skillbeek C.E, et al(1985). A critical approach to diagnosis treatment and management. Chicago Medial.
· Norris CM(1994) Back stability. IL, Human Kine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