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Trauma를 경험한 유아의 모래상자치료 사례연구 -안정감 회복을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6.14 최종저작일 2016.02
24P 미리보기
Trauma를 경험한 유아의 모래상자치료 사례연구 -안정감 회복을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모래상자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모래상자치료연구 / 6권 / 1호
    · 저자명 : 이리다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Trauma를 경험한 유아를 대상으로 모래상자치료를 실시한 사례연구이다. 유아
    는 가족과 함께 하는 나들이 길에서 부의 차가 전복되는 사고로 인해 할머니와 엄마, 남동생을
    잃은 Trauma를 겪게 되었고, 병원 이송당시 대상유아도 골절로 인해 다리에 깁스를 하게 되
    어, 가족과 분리되어 치료를 받게 되었고, 그 후 극도의 불안과 공포를 경험한 아동은 부를 떨
    어지려 하지 않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일상생활의 어려움으로 나타난 문제는 Trauma(외상)에
    서 나타나는 심리적 증세로 불안, 짜증냄, 놀람,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하고, 자다가도 일어나 울
    고, 문을 닫지 못하게 하며, 잦은 짜증과 음식을 잘 먹지 않으려 하고, 언제나 아버지를 떨어지
    려 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총 18회기의 모래상자치료를 실시하
    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래상자치료를 실시하여 유아의 심리적 안정감을 회복해가는 과정과
    부정적 정서표현이 모래상자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유아는 모래상자치료를 진행하면서 심리적 안정감을 얻게 되었고, 부정적인 정서표현이 긍정적
    으로 변화되었다. 모래상자에서 나타난 변화는 치료초기에는 혼돈과 혼란, 치료중기에는 투쟁과
    대극들이 나타났으며, 치료 후기에는 집단적응의 시작을 보였다.

    영어초록

    The study is a case study of sandtray therapy for infants who experienced
    trauma. The infant was suffering from a trauma that lost his grandmother, mother
    and younger brother due to an accident in which the father's car was overturned
    on the way to go with the family, at the time of the transfer to the hospital, the
    infant also had a cast on the leg due to the fracture, after that, a child with
    experienced extreme anxiety and fear reported that he was not trying to fall away
    from his father. The problem that appeared as the difficulty of everyday life is
    the psychological symptom that appears in the trauma, which causes anxiety,
    irritation, surprise, he cries when sleeping, not let the door shut, frequent
    irritations and not eat food, and he always would not want to drop his father. To
    solve these problems, a total of 18 sandtray therapy were perform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psychological stability of
    the infant and th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in the sand box.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s the infant progressed to the sandtray therapy, he got a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and th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changed
    positively. The first changes in the sand box were chaos and confusion, during
    the middle of the treatment, struggles and major acts appeared, at the end of
    treatment, group adaptation bega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모래상자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