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부 정서와 환상의 역동적 관계성에 관한 정신분석학적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2.01 최종저작일 2015.05
16P 미리보기
부부 정서와 환상의 역동적 관계성에 관한 정신분석학적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에니어그램심리역동학회
    · 수록지 정보 : 에니어그램 심리역동연구 / 2권 / 1호
    · 저자명 : 김병훈

    목차

    Ⅰ. 서 론
    Ⅱ. 역기능적 방어환상
    Ⅲ. 환상의 정서적 토대
    Ⅳ. 긍정적인 대상표상
    Ⅴ. 결 론

    초록

    부부관계는 다양한 감정들이 충돌하면서 천국과 지옥을 오고가는 역동적인 경험의 공간이다. 거기서 개인은 비로소 대상과 더불어 가장 긴밀하고 진실한 감정과 충동 그리고 환상을 주고받는다. 이런 과정은 그 자체로 상처와 고통일 수 있지만 동시에 기쁨과 성장이 된다. 비록 우리는 저마다 아직 미완성인 인격체로서 결혼이나 동거라는 관계 속으로 들어가지만, 거기에 머무는 동안 우리는 마치 금의 원석이 용광로에 들어가서 처리되고 재처리되는 반복의 과정을 통해 순도가 높은 황금으로 변화되는 것처럼 부부관계라는 역동적 체험현장을 통해 우리의 인격도 새롭게 성장한다. 긍정적인 환상과 그 이면에 존재하는 긍정적인 정서는 부부간에 사랑과 기쁨의 토대가 된다. 하지만 부정적인 환상과 그 뒤에 있는 실체인 부정적인 환상은 부부간에 갈등과 미움 그리고 해체와 증상의 원인이 된다. 정서적인 변화에 따라 환상과 인지의 내용과 색깔이 달라진다. 그리고 환상과 인지의 흐름에 따러 정서적인 물결도 달라진다. 이것은 부부관계의 문제는 정서나 환상 둘 중의 어느 한 쪽의 변화에 의해서 해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정신분석 치료자들은 정서적인 긍정 경험이나 인지적인 긍정 환상을 통해서 내담자가 갖고 있는 부부관계의 어려움을 극복하도록 돕는다. 이 작업을 위해 본 논문은 다양한 정신분석학자들과 철학자들의 연구결과들을 참조한다. 프로이트, 멜라니 클라인, 페어베언, 위니캇, 마가렛 말러, 오토 컨버그, 자크 라캉, 슬라보예 지젝, 줄라이 크리스테바, 등의 전통적인 관점의 정신분석적 이해가 집약적으로 소개되기도 하지만, 하이즈 코핫과 로버트 스톨로로우, 브랜샤프트와 아트우드 등의 현대적인 정신분석학자들의 문헌자료들도 인용된다. 목적은 전통과 현대의 통합의 시도이면서 동시에 임상현장에서 치료자들이 보다 더 정교하고 확신 있게 환자의 필요에 반응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세우는데 있다.

    영어초록

    It is well known that the life of marital Relation is not easy but complicated. Most couple are not confident about their capacity for maintaining happy marriage and overcoming interpersonal conflicts. This paper points out the fact that the capacity does not come from one’s fragile conscious and behavioristic will but from one’s inner affective and representational power.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the affective and evocative power if one wants to improve one-on-one relationship, let alone the marital one. The dynamics of affective experiences and evocative memory are the basic ground on which one can build up specific relationship skills necessary in the emotionally intensive environment. Hence this paper examines the clinical insights from the psychoanalysts like Freud, Klein, Bolas, Kernberg, Lacan, Kristeva, Zizek, who represents the school of traditional psychoanalysis. They consider conflicts as the main issue for diagnoses and treatment. On the other hand, psychoanalysts like Kohut, Winnicott, Fairbahn, Bion, Stolorow, Atwood, Brandchaft believe that issues like void and absence have more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inner suffering of the clients. With their theoretical help, I would propose the two different categories of human feelings. The one category includes the five negative feelings such as anger, fear, despair, guilt and shame. The other one contain the positive feelings of trust, gratitude, joy, courage and generosity. The classification of human feelings like this would help one to have cognitive articulation about one inner affective dynamics. And I believe it is what Decartes tried to say in his word, “Cogito.” Couples need to survive during the hardship of marital conflicts and also not to revenge against the partner as well explained in Winnicott’s writings. For this to happen, like Kohut emphasizes, the marital partner needs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of having positive feelings and positive imaginations. Whether it is feeling first or the other way around, that does not matter. Either way would help the improvement of not only the marital relationship but also of the inner psychological pro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정보가 풍부하고, 내용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어 과제를 작성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에니어그램 심리역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