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교적 교회의 내적 동력으로서의 공동체성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1.04 최종저작일 2016.11
35P 미리보기
선교적 교회의 내적 동력으로서의 공동체성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교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선교신학 / 44권
    · 저자명 : 최동규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오늘의 교회 현실과 선교적 교회의 공동체적 과제
    1. 오늘의 교회 현실
    2. 선교적 교회와 공동체
    Ⅲ. 공동체성의 본질과 교회 내 작용 방식
    1. 공동체성을 규정하는 요소들
    2. 교회의 공동체성과 작용 방식
    Ⅳ. 선교적 교회의 공동체성 함양을 위한 실천적 방안
    1. 신앙의 공동체성 회복
    2. 선교적 공동체의 육성
    3. 진정한 교제공동체의 의미와 실천
    Ⅴ. 나가는 글
    참고 문헌

    초록

    본 논문은 공동체성이 상실된 오늘의 교회 현실을 분석하고 교회의 본질을 추구하는 선교적 교회가 어떤 공동체를 지향하며 어떻게 그리스 도 안에서 공동체적 삶을 체험하고 누릴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 근대주의와 자본주의의 영향 아래에 있는 교회 는 점차 공동체성을 잃어가고 있다. 그러나 선교적 교회는 근본적으로 공동체를 중시하며, 구성원들이 공동체성을 경험한 만큼 선교적일 수 있다.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공동체를 규정하는 대표적인 요소로 일반적 으로는 동질성, 정서적 유대관계, 지역성을 꼽는다. 반면에 신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공동체는 제도적인 차원 곧 신앙, 성례전, 직무의 차원에 서 이해되기도 하고 집단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삶의 차원에서 이해되기 도 한다. 진정한 신앙공동체를 이루기 위해서는 이 두 가지가 모두 필요하지만 한국교회의 현실에서는 내적인 삶의 요소가 더 중요하다.
    필자는 선교적 교회의 공동체성 함양을 위해서 몇 가지 현실적인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첫째는 신앙의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것이다. 이는 구성원들이 신앙에 기초한 동일한 가치와 비전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설교와 제자훈련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서 신앙의 공동체성에 관해서 분명하게 가르쳐야 한다.
    둘째로는 선교적 교회의 정체성을 뚜렷하게 드러내는 실천적 과정을 통해서 공동체를 육성하는 것이다. 교회 조직 안에서 이루어지 는 다양한 신앙의 과정들 곧 세례, 성만찬, 예배, 훈련, 교제, 증언 등은 새로운 삶의 방식에 대한 이런 공동의 인식 아래에서만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셋째로 필자는 신자들 사이의 공동체성을 함양하기 위한 코이노니 아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1) 선교적 공동체 안에서 신자들은 서로를 진정한 형제자매로 생각해야 한다. (2) 식탁 교제, 상호 견책과 용서는 하나님의 가족공동체 안에서 구체적으로 공동체 의식을 높이는 방법이 된다. (3) 공허한 말보다는 서로를 돌보고 섬기는 실제적인 봉사가 요구된다. (4) 교회 안에 상호부조를 실천하는 구체적인 구조가 마련되 어야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ality of today’s church where the community is collapsed and to study what kind of community the missional church pursuing the essence of the church is and how to experience and enjoy the community life in Jesus Christ. Today, under the influence of modernism and capitalism, the church is gradually losing community spirit. However, the missional church is fundamentally focused on the community, and it can be as missional as the members have experienced communality.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necessary elements that define the community generally include homogeneity, emotional ties, and locality. On the other hand, from a theological point of view, the community is understood in terms of institutional dimension, that is, in the level of faith, sacrament, and office, and also in the level of life within the group. Whereas we need both of these to be true the community of faith, the element of inner life is more important in the reality of the Korean church.
    I have suggested several practical ways to cultivate communality in the missional church. Firstly, we must restore the community of faith. It means that members have the same values and visions based on faith. To do this, we must clearly teach what the community of faith is through various means such as preaching and discipleship training.
    Secondly, we must foster communality through practical processes that clearly demonstrate the identity of the missional church. The processes of faith in the church organization−baptism, the Lord’s Supper, worship, training, fellowship, and testimony−can only be meaningful under this communal understanding of the new way of life.
    Lastly, I have presented several plan of koinonia to cultivate communality among believers: (1) In a missional community, believers should consider each other a true brother or sister; (2) table fellowship, mutual reprimand, and mutual forgiveness are ways to increase communality specifically in God’s households; (3) actually, it is necessary to serve and care for each other rather than empty words; and (4) there must be concrete structures in the church to practice mutual assist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교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3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