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俛宇 郭鍾錫의 修身과 學問 자세 一考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8.09 최종저작일 2016.06
45P 미리보기
俛宇 郭鍾錫의 修身과 學問 자세 一考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명학연구 / 50권
    · 저자명 : 金鍾進

    목차

    Ⅰ. 머리말
    Ⅱ. 엄정한 修身 태도
    1. 修己 지향 철저
    2. 行身의 절제 강조
    Ⅲ. 學問 방법과 자세
    1. 爲己의 학문과 비판적 思考
    2. 독서법의 독특한 전형 제시
    Ⅴ. 맺음말
    참 고 문 헌
    abstract

    초록

    俛宇 郭鍾錫은 조선 말기의 유학자로 대 변혁의 시대를 살았다. 위태로운 나 라를 구하라고 임금이 불러도 벼슬에 나가지 않았고, 의병 봉기에는 실효성이 없다며 동참을 거절하였다. 그러면서 임금에게 상소나 독대를 통해 끊임없이 나라의 위기 극복을 꾀하였고, 파리장서 의거를 주도하고 생을 마감했다. 그런 면우의 처신을 비난하는 사람도 있었지만 자신의 판단대로 흔들림 없이 자기 갈 길을 갔다. 그의 처신이 옳았건 아니건 간에 조선말의 가장 전형적 유학자로서 한 시대를 풍미한 경륜은 우리 근대사에 뚜렷하게 드러나 있다.
    따라서 한 사람의 인간으로서 면우의 진면목은 흥미롭고 연구해 볼 가치가 있어 보인다. 그래서 면우가 그렇게 온 나라의 촉망을 받는 인물이 되기까지 그 玉 成의 과정을 엿볼 수 있는 수신과 학문 자세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면우에게 수 신과 학문에 대한 견해를 밝힌 저술이 유난히 많은 것에 주목했다. 면우의 저술 「晦窩三圖」·「言難」·「行難」·「爲勿說」·「染解」·「靜坐說」·「知難」·「讀書說」·「學賊」 등이 그것이다.
    본고는 면우의 수신과 학문에 대한 견해가 응집되어 있는 이런 저술들을 통하 여 그의 수신관과 학문에 임하는 자세가 그의 操行과 인간상에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저술을 통하여 면우는 자신의 몸을 닦는 수신이야 말 로 儒者의 기본 바탕임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말과 행동을 신중히 해야 하며, 말은 오직 天命에 순응하여 人事에 달통한 사람만이 쉽게 할 수 있는 것임을 잘 알고 있었다. 면우는 또 ‘利慾에 물드는 것’ 등 나쁜 것에 물드는 5가지로 자신 을 경계하고, 고요히 정좌하여 겸허한 자세로 내면의 원기를 기르며, ‘爲己의 학 문’을 실천하려고 노력했다. 또, 공부를 해치는[學賊] 5가지를 들어 경계하였 고, 특히 유례가 없는 그의 독서설 4편은 3가지 독서의 형태, 5가지 독서의 요령 등 독특한 기준과 분석 기법을 적용한 논리적 체계였다.
    이렇게 면우는 수기치인을 위한 爲己의 학문을 실천하는데 남다른 발상과 방 법으로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한 면우의 학문을 이루어 가는 과정이 그 자신의 말 대로 옥의 조탁과정에 비견되는 것이었고, 면우가 한 시대를 풍미한 큰 학자로서 설 수 있었던 바탕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Myeonwu(俛宇) Gwak Jongseok(郭鍾錫)’s underwent an unprecedentedly revolutionary era as a confucian during the decay of Chosun (朝鮮) dynasty. He mostly denied a recommendation call from king to join a governmental position dedicated for saving various crisis of the dynasty, and also refused to participate righteous army based on his claim of its uselessness. However, he continuously attempted to overcome the given crisis of the dynasty in terms of appealing opinions and direct meeting with king, and also organized a righteous strike in Paris, but passed away thereafter. He encountered a certain amount of criticisms due to such a attitude, but maintained his life with strong commitment. Irrespective of any kind of evaluation for his activities, his life was clearly able to represent a typical confucian in the end of Chosun dynasty with high level of knowledge. Therefore, it could be a meaningful and interesting study to investigate various essential aspects of Myeonwu’s scholarly works. In this regard, this paper elaborated Myeonwu’s life to identify how he became a erudite and promising personnel in the whole country with self-control and serious attitude for scholarliness. The paper also focused that there were many noteworthy writing of Myeonwu to highlight his self-control and attitude for scholarliness. Among his writings, the followings are the most representative and relevant in such perspective : Hoewa-triple Image(晦窩三圖), Difficulty for address(言難), Difficulty for action(行難), Theory of things not to do(爲勿說), Exposure to badness(染解), Theory of silent sit(靜坐說), Difficulty for knowledge (知難), Theory of book reading(讀書說), Betrayal for learning(學賊). Throughout above writings where Myeonwu’s self-control and attitude for scholarliness were well established, this paper capitalized how they were projected to his activities and character. Myeonwu emphasized that the self-control would be a fundamental basis for confucian. In addition, he clearly addressed that wording and action should be taken with a careful manner, and he outlined such wording to be inevitably followed by absolute willness, which could be easily conducted by a human-being who is well familar with human nature. Myeonwu’s strong willness as a confucian was properly reflected to his activities. Thus He has never went through difficulties due to his undeliberated wordings, but has been very strict to even provide direct opinions to king with no hesitation. Myeonwu properly controled himself by not being exposed to badness such as occupied by selfness, and silently trained himself with humble attitude to raise potentials in his mind, and endeavored himself to follow and act accordingly with ‘Self-awareness scholarship(爲己之學)’. Collectively it was obvious that Myeonwu had endeavored himself with unusual thoughts and approaches in terms of following ‘Self-awareness scholarship’ for ‘cultivating himself and governing others(修己治人)’. The process of Myeonwu’s developing his scholarliness could be compared to refining a jade, which became a rigorous fundamental for him to be a well-recognized scholar in his era.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었고, 과제를 를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명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