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인간의 감정과 미디어 장르 사이의 선호도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8.09 최종저작일 2015.03
8P 미리보기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인간의 감정과 미디어 장르 사이의 선호도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감성과학회
    · 수록지 정보 : 감성과학 / 18권 / 1호
    · 저자명 : 이종식, 신동희

    목차

    1. 서 론
    1.1 연구목적
    1.2 미디어 콘텐츠 심리학적 측면
    1.3 기분관리와 기분조절
    1.4 사용자 개별 감정에 따른 콘텐츠 선호도분석절차
    2. 연구 가설
    3. 실험 방법론
    4. 감정과 콘텐츠상관 관계 실험결과
    4.1 이용자 별 감정 인식 분석 결과
    4.2 스마트 TV 환경의 경험도
    4.3 스마트 TV 경험적 친밀도
    4.4 감정과 콘텐츠의 상관관계 분석
    4.5 콘텐츠의 선호도의 분석
    5.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초록

    지금까지 멀티미디어 기기들의 대 부분의 콘텐츠 접근성은 사용자 중심으로 특화되어 있지 않고 제작자의 의 도에 집중 하였다. 이런 이유에서 실제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생기는 문제점과 이용자의 요구를 분석하기란 쉽지 않다. 물론 일부에서는 사용자 중심에서 UT, UI 연구를 진행 해 오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일부 많은 혁신을 가 져오지만 아직 기대만큼 많은 효과를 거두지는 못하고 있다. 이유는 개별적인 인간 본연의 욕구와 정서를 해석 하고 적용하기란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인간 본연의 심리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하였으며 스마트 디바이스 의 접근성의 문제점은 단순히 기술, 기능을 향상 시키는 것 이 아니라 인간의 본연의 내면을 얼마만큼 분석 하는지 와 얼마만큼 이해하는지에 따라 사용성에 도움이 될 것 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사용자가 중심에서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좀 더 나은 접 근성에 도움 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특히 인간의 내면의 감정과 성향에 따라서 어떤 장르의 콘텐츠를 선호 하며 소비하는지를 분석하고 인간과 콘텐츠의 상호작용을 집중적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감정과 콘텐츠 사이의 관계에서 일부 유효한 결과는 기쁜(HAPPY) 감정의 정도에 따라 더욱 더COMEDY 프로그램을 선 호함을 알 수 있었으며 남자가 여자 보다 더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슬픈 감정(SAD)일 때는 유효 한 결과 값은 나오지 않았지만 흥겨운 콘텐츠를 미미하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자 보다 남자가 좀 더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은 Zilinman의mood based management 이론인 슬픈 감정의 소유자는 그 감정을 감쇠하기 위해서 흥겨운 콘텐츠를 더 선호하며 추가적으로 Oliver 2009따르면 콘텐츠의 쾌락적인 요소 보다는 통찰(insight), 의미(meaningfulness), 이해(understanding)및 반응(reflection)에 모두 충족이 되어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 이러한 사용자 감정과 성향에 따른 콘텐츠의 연구는 향후 새로운 스마트 디바이스 콘 텐츠 접근성 측면에서 좀 더 만족도와 방향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o date, contents’ usability of most multimedia devices has been focused on developer not on user, which made difficult in solving the problems or fulfilling the needs while people using real system. Although user-centered UX and UI researches have been studied and have resulted in innovation in some part, it does not show great effect on usability as it is not easy to interpret human emotions and needs and to apply those to system. Usability is the matter on how deeply smart devices can interpret and analyze human mind not on how much functions and technologies are improved. This study aims to help with usability improvement based on user when people use smart devices in multimedia environment. We studied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contents by analyzing the effect of human emotions and personalities on preference and consumption of contents’ type. This study was done by assuming that proper analysis on human emotions may increase user satisfaction on multimedia environment. We analyzed contents preference by gender and emo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Happy’ emotion and ‘Comedy Program’ preference and men are more prefer it than women. However, it does not reveal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ad’ emotion and contents preferences but women are slightly more prefer ‘Comedy Program’ than men. This result supports the Zillmann’s ‘mood based management’, which suggests that the needs for pleasant contents are revealed to relieve sadness when people are in a sad mood. In addition, our finding corresponds with Oliver’s insistence on meeting all four factors, insight, meaningfulness, understanding and reflection, rather than just pleasure for more satisfaction. This study focused on temporary emotional factors and contents and additionally on effect of users’ emotion, personality and preference on type of contents consumption. This relationship between emotions and contents study would suggest the better direction for developing smart devices with great contents usability and user satisfaction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최신 정보를 반영하고 있어 믿을 수 있습니다. 특히, 각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 덕분에 복잡한 개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에게도 강력히 추천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감성과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