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절감정의 원인 및 극복행동과 제품선택에서 디자인의 심미성 선호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감성과학회
ㆍ수록지정보 : 감성과학 / 17권 / 4호
ㆍ저자명 : 임아영, 최낙환
ㆍ저자명 : 임아영, 최낙환
목차
1. 서론2. 이론적 배경
2.1. 개별부정감정 연구의 중요성
2.2. 현대의 중요한 부정감정으로서의 ‘좌절’
2.3. 좌절의 극복
2.4. 감정과 디자인 심미성
3. 실험설계 및 변수의 측정
3.1. 실험설계
3.2. 변수의 측정
3.3. 사전조사와 본 설문을 위한 자료의 수집
4. 분석결과
4.1. 구성개념의 신뢰성과 타당성 평가
4.2. 가설검증
5. 결론
REFERENCES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부정감정인 좌절에 주목하고, 좌절감정을 유발시키는 원인을 탐색하였으며, 좌절한 소비자가 좌절 을 극복하는 과정을 식별하고, 또 제품을 선택하는 경우에 디자인의 심미성 선호도의 제품선택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좌절은, 실패의 원인이 소비자가 통제할 수 있을 때 느껴지는 분노와 다르게, 목적달성의 실패가 확실하 고 실패의 원인이 소비자가 통제할 수 없는 환경요인에 있을 때 느끼는 것으로 탐색되었다. 둘째, 좌절을 느낀 소비자는, 재도전을 통해 실패상황을 적극적으로 극복하기 보다는, 자신의 실패상황에 대한 감정적 지지와 위로를 가까운 지인으로부터 받아서 실패상황을 감정적으로 극복하려 한다. 셋째, 좌절을 느낀 소비자는 제품의 선택 에서 제품의 디자인이 강조심미성 보다는 조화 심미성을 느끼게 할 때에 더 선호한다. 따라서 마케팅관리자가 좌절을 느낀 소비자에게 자신의 제품을 소구할 때에 제품 디자인에서 강조원리보다 조화의 원리에 의한 접근이 필요하다.
영어 초록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frustration emotion investigated the variables evoking frustration and the process in which sense of frustration would be overcome, and explored the principle of aesthetics the consumers under the frustration might prefer in choosing go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consumers usually felt frustration rather than anger when it became obvious that their objectives could not be met and that they failed to achieve their objectives due to uncontrollable cause. Second, consumers who felt frustration wanted to receive emotional support and comfort from close acquaintances rather than to cope actively with the unsuccessful situation by renewed challenges. Third, consumers, once frustrated, preferred harmony principle rather than emphasis principle in terms of esthetics in choosing design of goods.
Therefore, marketing managers are advised to approach to the consumers who felt frustration on the basis of harmony principle in design of goods.
참고 자료
없음"감성과학"의 다른 논문
소유와 유인가의 득과 실이 경쟁할 때 자기조절초점이 손실회피에 미치는 효과8페이지
감각 중심의 컨셉 도출을 위한 아이디어 워크숍 방법론12페이지
스마트 폰 잠금 해제 과정에서의 감성적 UX 요소가 전반적 기기 사용 경험과 향후 사용 의도에 미치..10페이지
중공 복합사 특성이 고감성 의류용 직물의 쾌적성에 미치는 영향8페이지
감성적 인터랙션 디자인 요소로서의 표정 요소에 관한 연구10페이지
An exploratory study for an evidence of electroencephal..10페이지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 평가에 있어 상대가치 작용 반응 패턴10페이지
고령운전자의 접근/회피동기와 삶의 만족 사이의 관계: 이동성과 정서성의 매개효과12페이지
인터넷 오픈마켓 사용자 선호요인 연구: 주요 4사 웹 메인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10페이지
2D와 3D 디스플레이로 구현된 운전 시뮬레이션에서 운전자의 종적 차량통제 수행, 주관적 피로감 및..1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