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PHR기반 맞춤형 식이운동 적합률 추천서비스 개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6.06.12 최종저작일 2013.07
11P 미리보기
PHR기반 맞춤형 식이운동 적합률 추천서비스 개발
  • 미리보기

    목차

    I. 서 론

    II. 관련 연구
    1. 질환자를 위한 식이·운동 추천
    2. 스마트폰 기반 유헬스 프로그램
    3. PHR (Personal Health Record)

    III. PHR 기반 맞춤형 식이·운동 관리 시스템
    1. PHR 정보 연동 시스템
    2. 사용자 질환 정보에 따른 식이·운동 적합률 도출 시스템

    IV. 시스템 구현
    1. 시스템 구성도
    2. 개발 환경
    3. 서비스화면

    V.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 론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만성질환 관리 및 합병증예방을 위한 수단으로 유헬스가 등장하였고, 언제 어디서나 건강증진콘텐츠를 제공하고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1].
    유헬스 개념의 확대로 다수의 사용자에게 획일적인 서비스가 아닌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콘텐츠들이 제공되고 있지만, 맞춤형서비스에는 여러 가지 한계가 있고, 맞춤형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정보의 범위와 입력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많은 서비스는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와 정보를 직접 입력하여야 하고, 이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에 의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지만 환자가 작성하는 정보의 범위는 한계가 있으며, 정확한 정보의 입력이 검증 되지 않아 적정한 콘텐츠와 서비스가 적용되기 어려운 현실에 있다. 또한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웹기반, IPTV기반, 홈모니터링 등 많은 유헬스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지만 사용자의 절실한 의지와 동기가 부여되지 않는 한 지속적인 건강관리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PHR(Personal Health Records)을 직접 식이·운동 콘텐츠 제공 서비스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병원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신속하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언제 어디서나 이용 가능한 스마트폰이 최근 유헬스 분야 디바이스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에[2][3]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병원 정보를 연동한 개인 맞춤형 식이·운동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II. 관련 연구
    1. 질환자를 위한 식이·운동 추천
    식단 추천 서비스란 개인의 영양섭취 상태를 분석하여 영양적 불균형 상태를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음식들을 추천하는 서비스이다[4]. 기존의 식단 추천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로 병원서비스, 웹, IPTV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참고자료

    · Jung Hoon Park, Taegkeun Whangbo, "IT convergence Healthcare technology", kore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ociety. Vol.28, No5, pp.21-27, 2011.
    · Terry M, "Medical apps for smartphones.", Telemed J E Health, 16(1):17-22, 2010.
    · Sarasohn-Kahn J, "How smartphones are changing health care for consumers and providers", California HealthCare Foundation, 2010.
    · Jong-Hun Kim, Jee-Song Park, Eun-Young Jung, Dong-Kyun Park, Young-Ho Lee, “A Diet Prescription System for U-Healthcare Personalized Service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0, No.2, 2009.
    · Chan-Soon Jeong, Jun-Seok Ham, Il-Ju Ko, Jun-Soo Hur, "Smart Exercise Prescription of Elderly Users using Visual Path Map.", Korea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16(10), 2011.
    · Welltizen, http://neps.welltizen.com/home/index.asp
    · Dreamcare TV, http://iptv.dreamcare.co.kr/
    · Young-Ho Lee, Jong-Hun Kim,, Jae-Kwon Kim, Kyoung-Pil Min, Eun-Young Jung, Dong-Kyun Park. "Smart Phone based Personalized Menu Management System for Diabetes Patien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12): 1-9, 2010.
    · Nike Plus, http://www.nike.co.kr
    · Adidas miCoach, http://www.adidas.com/kr/miCoach
    · Korea National Diabetes Program, http://itunes.apple.com/kr/app/id388616483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hl=ko&id=kr.connect.touch.khmc
    · Q-care, http://qcare.gg.go.kr
    · Aid Health, http://sites.google.com/site/minolasoft/aidhealth
    · My Medical, http://www.mymedicalapp.com/about.html
    · Polka Health, http://itunes.apple.com/us/app/polka-health/id300156700?mt=8
    · Britain G., "Computerisation of personal health records." Health Visit, 51: 227, 1978.
    · HIMSS, "Personal Health Records Definition and Position Statement", 2007. http://www.himss.org/content/files/PHR-Definition071707.pdf.
    · Soo-Yong Shin, Chun Kee Chung, "A Future of Medical Information System: Establishment of Hospital-oriented Personal Health Record.", J Korean Med Assoc, 52(11): 1115-1121, 2009.
    · Ji-won Lee. “comparative study on eating habits and nutrients intake of depressed and normal subjects : Base on 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ungnam National University Master's Degree Dissertation, 2011.
    · Park Kui-Sun, Lee Kyoung-Ae, “A Case Study en the Effect of Ca Intake on Depression and Anxiety.”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35(1) : 45-52, 2002.
    · Benton D., "Selenium supplementation improves mood in a double-blind crossover trial.", Psychopharmacology (Berl). 102(4) : 549-550, 1990.
    · Carroll D, Cook R, Suter M, Willemsen G, “The effect of an oral multivitamins combination with calcium, magnesium and Zinc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health young male volunteers: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Psychoparmacology, 150 : 220-225, 2000.
    · Eun-Mi Choi, Seong-Ja Gu, “Mood disorders and depression adjusting possibility by Food.”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34, No.4, pp.53-69, ISSN 0257-2397, 2001.
    · Harold H, Broomfield, Peter Mack Williams.. “Methods of 92 kinds for depression out of the way BOOK”
    · Darren, E., "Prescribing exercise as preventive therapy.",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74(7) : 961-974, 2006.
    · Patients Like Me, http://www.patientslikeme.com/about
    · Jung-Hyun kim, Mi-Young Park others 2 people. “Ecological Analysis of Food Behavior and Life-Style Affecting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korea, korea J Nutrition 26(9) : 1129~1137, 1993
    · korea J Nutrition,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s) 2010.
    · korea Dietitians Association, Manual of Medical Nutritional Therapy BOOK 3rd 2010.
    · jong-gil Kim, “A study of depression”, 2009.
    · jae-uk Gwak, “Nutritional therapy of depression”, Pharmaceutical newspaper, 2005.
    · Korean Association for Vitamin research, http://www.vitaminlab.co.kr
    · Ahtoboohru. “How to treat the disease for Enhance immunity”, 2006.
    · yong-jin Jwa. “Vitamin Revolution”, Woongjin Wings, 2006
    · J.R. Hibbeln, N.Salem, "Dietary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Depression: When Cholesterol Does Not Satisfy?," Am J Nutr 62(1995):1-9
    · jun-nam Lee. “Supplements known to eat”, Health Newspaper, 2009
    · Sherry ribereuman. “The Peal Vitamin and Mineral BOOK 3rd Edition”, 2003
    · Sung-Kil Hong, Bong-Joo Kang. yoon-jin Kim, Dong-wook jo “Enhancement effect of brain tissue antioxidantBy administered selenium”, korea J Nutrition, pp.112, 2000.
    · won-jun Hwang. “Mastering the treatment of depression BOOK, 2009.
    · gwi-seon Park. “The Effect of calicium Supplementtation and Supplementarty Duration with Depression at Korean Home-Maker”, pp59-68, 2003.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전문 지식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 많아, 과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