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덕경』에 있어서 지각의 지위에 관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7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6.07 최종저작일 2016.02
27P 미리보기
『도덕경』에 있어서 지각의 지위에 관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집 / 44권
    · 저자명 : 송성섭

    목차

    I. 들어가기
    II. 소박한 세계에 대한 소묘
    III. 소박한 세계와 지각
    V. 나가기
    참고문헌

    초록

    일부 학자들은 노자는 일체의 미적 감각을 부정하고 있다고 말한다. 『도덕경』에서는 “오음은 사람의 귀를 멀게 한다.”고 말할 뿐만 아니라, “대음에는 소리가 없다.”고 말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언급들은 미적 감각을 부정하는 징표라는 것이다. 이 세상에는 규정할 수 있는 소리(聲)와 규정할 수 없는 음(音)이 공존하고
    있으며, 규정할 수 있는 소리(聲)는 규정할 수 없는 음(音)과의 관계 속에서 규정된
    다는 것이 노자의 견해이다. 또한 궁宮‧상商‧각角‧치徵‧우羽로 규정되는 오성(五聲)
    은 그 자체로 항상성을 지니고 있는 것은 아니며, 어떤 경우에는 음(音)이 되기도
    한다고 노자는 말한다. 그래서 우리가 경우에 따라 소리(聲)이기도 하고 음(音)이기
    도 한 오음(五音)으로 꾸며진 아름다움을 아름답다고 여긴다면, 이는 마치 귀머거리
    의 아름다움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또한 우리가 파도 소리를 들을 때, 그 속에는
    들리지 않는 미세 지각, 즉 작은 물방울들이 부딪히는 소리가 있는 것처럼, 우리의
    지각에는 들리는 것 속에 들리지 않는 것이 있다고 노자는 말한다. 이처럼 한편으
    로는 명석하되 혼잡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판명하되 애매한 것이 우리의 지각이라
    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노자가 말하는 ‘대음희성(大音希聲)’은 일체의 미적 감각
    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지각을 통해서 이 소박한 세계에 접근할 수 있다
    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능력을 노자는 ‘명(明)’이라고 일컫는데, 이는 유무(有無)가
    새끼줄처럼 꼬여있는 소박한 세계를 알아채는 능력이라고 말할 수 있다.

    영어초록

    Some scholars insist that Lao-tzu denies all kinds of aesthetic senses. They
    indicate the passages in <<Tao Te Ching(道德經)>>, “The five tones make
    your ear deaf” or “A great sound is faint” And they say that these passages
    are the mark to deny aesthetic senses.
    According to Lao-tzu’s opinion, definable tones coexist with indefinable
    sounds in the world and the former are define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latter. Futhermore he says that the five tones defined as Gong(宮)․Shang(商)․
    Jue(角)․Zhi(徵)․Yu(羽) don’t keep homeostasis in themselves and they can
    change into notes in some circumstances. The beauty can become tones in
    some cases or can become sounds in other cases. If we consider that beauty as
    the beautiful thing, it’s just like a deaf’s beauty.
    Lao-tzu says that inaudible things exist in audible things in our sense, just
    as there are inaudible minute sense like the tiny water-drop colliding sound
    when we hear the sound of waves. This way our sense is defined as on the
    one hand what is clear and confused, on the other hand what is obvious and
    vague.
    Therefore what Lao-tzu means in “A great sound is faint” cannot be
    interpreted as he denies all kinds of aesthetic senses, but as senses make us
    approach this native world. Such ability is called ‘Ming(明)’ by Lao-tzu and it
    is ability to perceive this native world where being and non-being is twisted
    like a straw rop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