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파괴성을 활용한 연극치료적 개입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6.07 최종저작일 2015.12
42P 미리보기
파괴성을 활용한 연극치료적 개입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연극예술치료연구 / 5권
    · 저자명 : 정은선

    목차

    Ⅰ. 서론
    Ⅱ. 파괴성과 연극치료
    1. 파괴성이란
    2. 파괴성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 - 멜라니 클라인 이론을 중심으로 -
    3. 파괴성과 연극치료
    Ⅲ. 자기파괴성향의 파괴성을 활용한 연극치료적 개입
    1. 자기파괴성향의 참여자 사례
    2. 자기 파괴 성향의 변형을 위한 치료적 과정
    Ⅳ. 결론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연극과 심리학적 이론에 내포된 파괴성의 의미를 바탕으로,
    연극치료 치료적 과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파괴성의 치료적 의의와 파괴
    성을 활용한 개입으로 참여자의 긍정적 변형을 가져오는 작동 방식을
    자기파괴성향 참여자의 연극치료사례를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인간은 사회적 관계와 적응상의 문제로 인하여 발생한 파괴성의 결
    과인 갈등, 고통의 원인과 책임 소재를 외부에서 찾게 되면 그 대상에
    대하여 의심하고 분노하는 등의 감정적 역동이 일어나며, 그 결과 외
    부의 대상에 대하여 심리적이거나 물리적인 공격을 가할 수 있다. 또
    한 이러한 파괴의 방향이 자기 내부를 향하는 경우는 여러 가지 심리
    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데, 수치심과 죄책감을 동반하는 우울이나
    자해, 자살시도, 극심한 불안에 의한 강박행동, 약물 과다복용, 섭식 장
    애 등에서 볼 수 있는 자기파괴적 행동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와 관
    련하여 멜라니 클라인의 이론을 비롯한 대상관계 심리학 이론은 초기
    유아기에 경험하는 대상과의 관계불안을 기초로 이러한 병리적 현상
    즉, 과도한 공격성과 관계적 회피를 포함한 자기파괴적 성향의 발생근거를 잘 설명해준다.
    선과 악이 고정되어 있거나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이며, 사회
    에 의해 조건화된 것과 마찬가지로 ‘파괴성’ 또한 개인의 도덕적 완고
    함, 비타협성, 관계의 회복과 변화의 여지를 외면하는 경직된 비합리적
    사고를 무너뜨리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견고함이 주는 억
    압적 ‘폭력성’을 ‘파괴’한다거나 상징적으로 ‘죽음’을 ‘죽이는’ 행동을 통
    하여 결과적으로 파국으로의 방향에서 돌이켜 ‘삶’과 ‘자유’를 향한 가
    치의 전도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가치의 전도 즉, 파괴성의 긍정적
    활용성은 인간의 심리적 건강과 사회적 적응을 지향하는 연극치료의
    작업과정에서도 치료적 개입으로 작동할 수 있다. 연극치료 작업 과정
    중에 나타나는 ‘파괴성’은 현실 생활 속에서 파괴의 결과가 야기할지도
    모르는 두려움과 고통스러운 결과의 실제적 감내 없이, 극적 공간에서
    필요성(치료적 목표)에 따라 계획된 의도적인 과정으로 충분히 경험함
    으로써 참여자로 하여금 이러한 파괴가 주는 긍정적 측면을 안전하게
    통합할 수 있도록 한다.
    자기 파괴 성향의 변형을 위한 치료적 과정은 자기 안에 억압되어
    있던 파괴적 감정과 그 대상에 대한 파괴적 욕구의 명확한 인식으로부
    터 출발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참여자는 자기 안의 파괴성을 인정할
    수 있게 되고 파괴적 에너지가 의식 안에 허용되며, 통제되고,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은 대부분의 경우 행동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파괴적 행동화 과정은 대상과 감정을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 것과 더불어 행동을 통하여 파괴의 방향을 내부에서 외부
    로 바꾸어 내는 기능을 한다. 극적 공간은 마치 유아가 엄마에게 의존
    해 있는 공간처럼 우리가 무엇을 하거나 성취해서가 아니라 우리 자신
    으로서 수용 받는 공간이다. 파괴적인 힘을, 다른 사람이나 우리 자신
    에게 미치게 될 부정적 영향(처벌이나 완전한 파괴)을 걱정하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추구하는 충분한 욕망으로 경험한다. 그 과정을 통해서 문제적 감정과의 지나친 밀착에서 벗어나 문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그 해결 방법을 모색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파괴 욕구의 충
    분한 성취는 비로소 자기와 타인사이의 욕망의 간극을 인정할 수 있는
    여유를 제공하며, 참여자로 하여금 자신과 타인의 감정적 진실에 눈을
    뜨게 하고 과잉 불안에서 벗어나 실존적 대상과의 신뢰에 기초를 둔
    건강한 관계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독려한다.
    요컨대 연극치료 과정 안에서의 파괴성은 물리적 폭력에 관련된 측
    면보다는 견고한 이미지의 고착과 억압을 흐트러뜨려 재구성할 수 있
    도록 작용하는 데 초점이 있다. 이는 특히 경직된 신체 움직임과 투사
    적 이미지, 고착된 역할 인식에 구체적으로 개입하여 변화를 이끌어내
    고 파괴성의 방향을 바꾸어 냄으로서, 참여자로 하여금 유동적인 사회
    적 갈등 안에서 자기 안에 잠재된 파괴적 에너지를 통제, 활용할 수 있
    게 한다. 그리하여 적대적 관계를 공감과 소통이 가능한 관계로 재인식
    하게 하고, 불필요한 방어와 부정적 파괴에 낭비되었던 에너지를 창조
    와 재건 에너지로 바꾸어 사용하여 참여자가 보다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다.

    영어초록

    Based on the meaning of the destructiveness implicit in theatre and
    psychological theory, this research is carried out on the therapeutic
    significance of the destructiveness made within the therapeutic process of
    dramatherapy and works to bring positive variation of the participants in
    utilizing the destructiveness through the dramatherapy cases of the
    participants having self-destructive tendencies.
    Once searching for the caus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conflict and
    pain arising from the destructiveness from the outside, the emotional
    dynamics of doubt and anger against a subject occurs, and, as a result, it
    can be subjected to psychological or physical attack against it. Furthermore,
    if the direction of the destruction turns inwards, it can be caused severe
    psychological problems. Also, it can be appeared in a self-destructive
    behaviors seen in various somatoform disorders, including
    obsessive-compulsive behavior, drug overdose, eating disorders caused by
    depression or self-harm, suicide attempts, severe anxiety accompanied by
    shame and guilt..
    Like good and evil are relative and conditioned, the destructiveness can
    provid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break down the individual moral
    stubbornness, flatfootedness, rigid and irrational thinking evading the
    recovery of the relationship and the possibility of change. The positive utilization of the destructiveness can work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in
    the course of the dramatherapy aiming treatment of human mental health
    and social adjustment. That is, destructiveness may make the participants
    securely integrate the positive side of destruction by experiencing the
    planned process for the treatment purpose.
    Treatment process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self-destructive
    tendencies start from a clear recognition of the destructive emotions
    repressed in own's inner and the destructive desire against it.
    Through this process, participants are able to recognize the
    self-destructiveness, allow the destructive energy to stay in their
    consciousness, control and modify it. Therefore, the destructive process of
    action helps to clearly recognize the target and emotions and functions as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destruction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Dramatic space is the place where we can be accepted as our own like
    where an infant is received by his/her mother. Thus, without worrying
    about negative affect of destructive power, the participants can experience
    sufficient desire to pursue what they want. Through this process, away
    from excessive adhesion, they can understand objectively their problems and
    seek their solutions.
    Furthermore, sufficient fulfillment of the destructive desire can provide
    room to admit the gap between the desire of themselves and others, and
    it helps them open their eyes to the emotional truth of themselves and
    others, escape from excessive anxiety, and encourage to recover a healthy
    relationship based on trust with real person. In brief, the destructiveness in
    the process of dramatherapy can act to reconstruct by breaking up
    suppression and sticking of solid images.
    Consequently, it makes the participants recognize by switching over from the hostile relationship to the empathic and communicational and helps
    them healthily live by changing over from the energy wasted on
    unnecessary defenses and the negative destruction to the energy of the
    creation and reconstru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매우 유익하고, 주제가 잘 정리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자료의 품질이 높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극예술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