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통일신라시대 山寺의 정착과 보살주처신앙의 성립*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6.04 최종저작일 2016.03
26P 미리보기
삼국·통일신라시대 山寺의 정착과 보살주처신앙의 성립*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명학연구 / 49권
    · 저자명 : 이종수

    목차

    1. 머리말
    2. 삼국시대 山寺의 확산
    3. 山神信仰과의 갈등 및 극복
    4. 통일신라시대 菩薩住處信仰의 전래와 영향
    5. 맺음말
    參考文獻

    초록

    우리나라 불교수용에 따른 토속신앙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 학자들에 의 해 연구되어 왔지만, 山寺의 확산으로 인한 보살주처신앙의 성립 및 그 연관성 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삼국시대 산지 사찰이 정착하는 과정에서 겪었던 토속적 산신신앙과의 갈등 및 극복, 그 리고 통일 이후 화엄 신앙의 정착과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보살주처신앙이 우리 나라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삼국시대 불교 전래 이후 불교신앙이 대중화됨에 따라 왕경 근처의 평지에 사 찰이 세워졌을 뿐만 아니라 山地에도 사찰이 건립되었고, 이 현상은 지방으로 까지 번져갔다. 그 과정에서 山寺의 승려와 토속의 산신 숭배자 사이에 갈등이 일어났다. 갈등의 양상은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대체로 불교신앙이 산신신앙을 압도하였고, 산은 불교신앙 공간으로 탈바꿈해갔다.
    통일 이후에도 왕실에 의한 山神祭는 계속되었고, 전국의 名山을 三山‧五岳‧二十四山으로 나누어 大祀‧中祀‧小祀를 지내기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제사가 불 교신앙을 약화시키지는 못했다. 오히려 그 名山에 사찰을 세움으로써 불교의 기도처를 전국에 확대하였다. 이는 왕경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던 신라불국토 의 염원이 전국으로 확대되는 것이기도 했다. 그 과정에서 중국으로부터 전래 된 화엄신앙의 한 형태인 보살주처신앙을 수용하여 우리나라의 오대산, 천관산, 낙산 등에 보살이 상주한다는 믿음이 생겨났다.
    이는 불국토를 실현하고자 했던 신라인의 염원이 발현된 것이기도 했다. 그리 고 그러한 염원이 더욱 확대되면서 산에는 磨崖佛이 새겨지고 새로운 불교설화 가 만들어졌으며, 더 많은 산에 사찰들이 세워졌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세월 이 흐르면서 산 이름이 사찰명으로 변화되기도 하고 사찰명이 산 이름으로 바 뀌기도 하면서 산에 불교적 신비성이 가미되어왔다.

    영어초록

    While the relations between Buddhism and folk religions in ancient Korea, when Buddhism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has been discussed by many researchers, but how the diffusion of Buddhist temples in the mountains affected the establishment of the belief in Boddhisatva's residence has not been analyzed profoundly.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process of Buddhist temples' settlement in mountains during the age of Three Kingdoms, the conflict between Buddhism and mountain worshippers, and the influence of the introduction of Avatamska Buddhism after the Unification and of the belief in Boddhisatva's residence.
    Sinc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during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numbers of temples were built on flatland surrounding royal district and in the mountains of the capital and provinces. This diffusion of Buddhist temples caused conflict between Buddhist and mountain worshippers. Even though there were local differences, Buddhism generally was predominant and so mountains became the stage of Buddhist belief.
    After the Unification, mountain worshipping rituals have been conducted continuously, and famous mountains of the country such as Samsan (three mountains) 三山, O-ak (five great mountains) 五岳, and Yisipsasan (twenty four mountains) 二十四山 have three different scale of rituals, large, medium, and small, conducted for them. But such rituals did not weaken Buddhism. As more Buddhist temples were built in famous mountains, more places of Buddhist prayer provided for people. This diffusion also means that the thought of Buddha's land in royal district have been spread domestically. During the process, the belief in Boddhisatva's residence, as a form of Avatamska Buddhism introduced from China to Korea, has been accepted and the Silla people came to believe that Boddhisatva dwells in Mt. Odae, Mt. Cheongwan, Mt. Naksan and others.
    This belief is another form of the Silla people's wish to realize Buddha's land in their kingdom. Consequently, Buddhist statues were engraved on mountain rocks, Buddhist legends were made, and more temples were built in the mountains. As the temples take their names from the mountains or the mountains take temples' names, the mountains consequently have Buddhist signific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질이 매우 높고,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인상적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활용하기 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명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