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로 노래한 학문의 세계 : 老柏軒 鄭載圭論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0.06
44P 미리보기
시로 노래한 학문의 세계 : 老柏軒 鄭載圭論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명학연구 / 29권
    · 저자명 : 정우락

    목차

    Ⅰ. 논의의 출발
    Ⅱ. 정재규의 삶과 호학정신
    Ⅲ. 정재규 시문학에 나타난 학문 세계
    1. 학문적 연대와 작시활동
    2. 존현을 통한 전통의 계승
    3. 자연에 대한 이념적 인식
    4. 위기적 현실의 시적 대응
    Ⅳ. 정재규 시문학의 의미구조
    Ⅴ. 남은 문제들

    초록

    본 연구는 鄭載圭(老柏軒, 1843-1911) 시세계에 나타난 학문정신을 탐구하 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전반에 이르는 영 남 기호학파의 문학세계, 그 일단을 이해할 수 있었다. 정재규의 삶과 문학에 저류하고 있는 것은 강한 호학정신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활발한 저술활동과 강학활동은 모두 여기에 기반한 것이라 하겠다. 정재규의 시세계에는 수많은 사람이 등장한다. 이것은 그의 시세계가 학문적 연대를 통해 구성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동시에 창작활동은 학문을 위해서 필요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재규의 학문 내용은 그 중심에 율곡학이 있었고, 그 주변에 남명학과 퇴계학 이 있었다. 이것은 그의 학문이 기호학에 연원을 두면서도 영남학으로 열려 있 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재규의 시세계에 등장하는 자연은 성리학적 이념과 굳건히 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그의 시세계는 자연과 문학과 성리학이 일체를 이루며 작품군을 형 성할 수 있었다. 사물에 대한 이념적 인식과 그것의 시적 형상은 정재규의 시작 법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그러나 그의 작품이 관념성으로 편향되어 있 다고 하기는 어렵다. 유례없는 위난의 시대를 맞아 위기의식에 입각하여 작품 을 창작하고 있기 때문이다. 변복령과 단발령이라는 심각한 문화적 위기를 경 험하면서 明末 절의를 지키며 죽어간 중국 선비들을 시로 칭송하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그는 위정척사의 의지를 더욱 강하게 나타내고자 했던 것이다. 정재규 시세계의 의미구조는 단순하지가 않다. 호학정신에 바탕하여 학문적 연대를 통해 작시활동을 전개하면서 선현의 도학을 계승하고자 했고, 또한 다 양한 사물에서 이치를 발견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것이 관념으로 흐를 수 있다 는 자각 하에 당대를 극도의 위기적 현실로 인식하면서 사회적 실천을 추구하 고자 했다. 그러나 정재규의 시는 실천정신과 결합되어 있다기 보다 성리학적 이념이 강하게 나타나는 작품이 우세하다. 이것은 그의 시세계가 전통적인 세 계관에 입각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자 성리학을 묵수하면서 현실대응을 시도한 당연한 결과라 아니할 수 없는데, 그의 시세계에 이러한 점이 확연히 드 러나 하나의 특징과 한계를 이룬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ademic spirit of Jeong Jae-gyu(Noh Baek-heon, 1843~1911) in his poetic world. The research efforts shed light onto the literary world of Yeongnam Giho School and its aspects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to the former half of the 20th century. At the root of Jeong's life and literature was his strong love for study, based on which he engaged in active writing and academic activities. There are many figures appearing in his poetic world, which suggests that his poetic world was formed through academic bonds and that he needed creative activities for his study. There was Yulgok School at the center of his study and Nammyeong School and Toigye School around it, which means that his study was open to Yeongnam School, having its origin in Giho School. The nature in his poetic world was firmly connected to the ideas of Sung Confucianism, which is why the nature, literature and Sung Confucianism were able to build one common body of works in his poetic world. His ideological perceptions and poetic embodiments of objects take a critical position in the method of his poetry writ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his works are inclined toward ideality since he created his works feeling such an urgent sense of crisis in an unprecedented era of jeopardy. Going through a serious cultural crisis caused by the dress code reform and the 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he praised the Chinese scholars that sacrificed their lives for integrity in the late Ming Dynasty in his poems and thus demonstrated his further reinforced determination to preserve the right and dispel the wrong. The meaning structure of his poetic world is far from simple. Writing poems based on his loving spirit of study and through his academic connections, he tried to inherit the moral philosophy of ancient sages and discover principles in various matters. Realizing that his efforts could lead to ideology, he saw the contemporary times as the reality of extreme crisis and attempted to pursue social practice. His poems, however, are not combined with the spirit of practice. Rather those works that strongly display the ideas of Sung Confucianism are dominating, which indicates that his poetic world was built around the traditional views of the world. It is the natural result of his attempts to react to the reality while adhering to Neo-Confucianism, which is clearly observable in his poetic world, being a characteristic and limitation at the sam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었고, 과제를 를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명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