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경상도 지역에서 제작된 觀經十六觀變相圖와 念佛禪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3.06
30P 미리보기
조선 후기 경상도 지역에서 제작된 觀經十六觀變相圖와 念佛禪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美術史論壇 / 36권
    · 저자명 : 이용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conographic development and transmission, and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llustrations of the Sixteen Contemplations of the Sutra of the Contemplation on the Buddha of Immeasurable Life (觀無量壽經十六觀變相圖) produced in the Gyeongsang province region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late 17th century Wooden Reliefs of the Nine Grades of Rebirth in the Amitabha Pure Land (木刻阿彌陀九品會圖, hereafter The Relief of the Nine Grades) from Daeseungsa temple (1675) and Yongmunsa temple (1684) are composed both Buddha Amitabha’s preaching and the nine grades of rebirth. This iconography originated from the woodblock print of The Shortcut Rebirth in the Pure Land by Encouraging to Practice the Pure Karma (勸修淨業往生捷徑圖, hereafter The Shortcut by Pure Karma) first-printed in the early Joseon period at a monastery in Bulmyeongsan mountain. The late 18th century Pure Land paintings, The Painting of the Shortcut to the Rebirth in the Pure Land by Chanting Buddha Mindfulness (念佛往生捷徑圖, 1750, hereafter The Shortcut to the Rebirth by Chanting ) at Eunhae sa temple and The Painting of the Nine Grades of Rebirth in the Land of Ultimate Bliss (極樂世界九品會圖, 1778, hereafter The Painting of the Nine Grades) from of Jikjisa temple, represented more complete illustrations of the Sixteen Contemplations than the 17th century The Reliefs of the Nine Grades. The new pictorial form and iconography have their origin in the Frontispiece of the Sutra of the Contemplation on the Buddha of Immeasurable Life of the Ming dynasty, China. The Shortcut by Chanting at Eunhae-sa incorporated the illustrations of the fourth, seventh, twelfth, and fourteenth contemplations of the Ming Frontispiece into the traditional iconography of the Illustration of the sixteen contemplations. It also introduced the iconography of the ‘Welcoming Dragon Boat’ and the new illustration of the fourteenth contemplation, ‘Upper Class and Upper Life’. The Painting of the Nine Grades of Jikjisa temple adopted the illustrations of first, fourth, seventh, eighth, ninth, tenth, eleventh, twelfth, fourteenth, fifteenth, and sixteenth comtemplation from the Ming Frontispiece and constructed a new composition of the painting.
    The thriving production of The Illustrations of the Sixteen Contemplations at Gyeongsang province in the late Joseon period is related to the religious practice of a monk lineage active in the region. Soyeong Singyeong, who practiced around Gyeongsang province in the late 17th and was a disciple of Hwanjeok Uicheon from the famous Cheongheo Hyujeong is believed to have commissioned the sculptor-monks Daneung and Takmil to produce The Relief of the Nine Grades for Ssanggyesa temple in Gyeongsangnam-do modeled on The Woodblock Print of the Shortcut to the Rebirth by Pure Karma which was removed from Yeongwonsa temple to the collection of Ssanggyesa temple. Following his master’s practice of mind contemplation. His practical concentration on meditation leads to assume that the Ssanggyesa temple The Relief of the Nine Grades was produced to aid the practice of chanting Buddha mindfulness while meditating (yeombul seon), which was a popular practice in the late Joseon Buddhism, as The Reliefs of the Nine Grades of Rebirth in Daeseungsa temple and Yongmunsa temple were for the practice of pure karma. The tradition of the combined practice of chanting and meditation continued through the late Joseon dynasty by means of The Universal Recommendation for Chanting Buddha Mindfulness, a well-received Pure Land writing that was re-printed four times during the 18th century in the Gyeongsang region. The reprints of the book in the region were made by Sangbong Jeongwon and his disciples, Giseong Kwaeseon and Hoeun Yugi.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자료의 품질이 높고, 전문적인 내용이 많아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지식판매자에게 감사드리며, 계속해서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