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명학 연구 성과의 회고와 전망: 외국의 연구 사례에 대하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2.12
28P 미리보기
남명학 연구 성과의 회고와 전망: 외국의 연구 사례에 대하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명학연구 / 36권
    · 저자명 : 장원철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외국에서의 유학 연구 경향 : 중국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Ⅲ. 주제별 분류를 통해 본 외국 연구자의 남명학 연구 동향
    Ⅵ. 마무리 :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한 제언을 겸하여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1980년대 이후 최근까지 이루어진 남명 및 남명학에 대한 외국 연구자의 업적과 성과들을 회고하고 정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연구사의 검토와 정리에 앞서 외국 연구자의 연구는 방법론적으로 자국의 연구 동향을 일정 정도 반영하기 마련이라는 전제에 입각해 외국인 연구자의 대다수를 점하는 중국과 일본에 있어서의 유교 내지 유학에 대한 인식과 연구 동향에 대해 개략적으로 검토해보았다. 다음으로 본론에서는 다섯 분야로 나눈 주제별 분류를 통해 외국 연구자의 연구 동향을 비교ㆍ검토하는 방법을 취하였는데, 실천 유학자로서의 남명과 남명학의 실천성 문제, 실천 철학으로서의 남명학이 지니는 실학사상과의 연관성 문제, 성리학자로서의 남명의 정체성과 주자학과의 거리, 남명 사상과 도가 사상과의 상관성, 남명학의 연관 분야 및 남명학파와 남명학의 계승 양상 등이 그것이다. 이들 주제 가운데 남명학의 실천성 문제는 외국 연구자가 일찍이 주목하던 바로서 지속적인 관심을 끌면서 논의의 대상이 되어 왔다. 아울러 외국 연구자에게 있어서도 이러한 실천 철학으로서의 남명학에 대한 관심은 이후 실학사상과의 연관성에 있어서 더욱 강화된 형태로 나타났다. 남명학과 주자학의 관계에 대해서는 영향 관계를 강조하는 입장과 양자 사이의 거리를 강조하는 입장으로 나누어지는데, 후자의 입장은 남명학이 원시유학의 정신을 수용하였다는 절충적 관점에서 도가 사상과의 관계를 주목하는 견해로 발전하기도 하였다. 이렇듯 기존에 외국인 연구자에 의해 이루어진 남명학 관련 연구는 자국의 연구 동향을 반영하는 한편으로 국내의 연구 동향과도 영향 관계를 맺으면서 그 질량에 있어서 일정 정도 성과를 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향후 연구의 심화를 위해서는 연구자의 국제화를 위한 체계적 대책의 수립 및 연구 활성화를 위한 시급한 대책, 예를 들어 관련 자료의 정리 및 번역 출판 등의 과제가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국내의 남명학 연구가 기존의 남명 사상의 언설을 반복 진술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현실 사회에 공헌하는 길을 찾기 위해 현대 중국에서의 유학 연구 사례를 모색해 볼 것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trospect and summarize foreign researchers’ achievements and performance on Nammyong and Nammyonghak study that they had performed until a recent data since the 1980s. First, prior to the review and summary of the foreign researchers, the study on the foreign researchers methodologically began with the premise that they reflected the research trends of their country to some extent. In this respect, this study examines foreign researchers’ awareness and research trends of Confucianism in both China and Japan where most of them live. Next, the body of this study takes measures to compare and review the research trends of foreign researchers through the theme-specific classification into five fields: practical issue of Nammyong as a practical Confucian and Nammyonghak study, association with Silhak thought that Nammyonghak study has as practical philosophy, identity of Nammyong as a neo-Confucian and his distance to Zhuism, correlation between Nammyong thought and Taoist thought, and Nammyonghak study-related fields and Nammyonghak school and Nammyonghak study’s succession patterns. Of these five themes, the practical issue of Nammyonghak study was early noted by foreign researchers and has been the subject of discussion, constantly receiving attention. At the same time, foreign researcher’s interests in this Nammyonghak study as a practical philosophy appeared in a more reinforced form in association with Silhak thought later. The relationship between Nammyonghak study and neo-Confucianism is divided into the position that focuses on the impact relation and the position that focuses o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s. The latter’s position developed into the view that the Nammyonghak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with Taoist thought from an eclectic perspective that Nammyonghak study accepted the spirit of primary Confucianism. Like this,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Nammyonghak study-related researches that’d been conducted by the existing foreign researchers reflected the research trends of their country, and on the other hand, achieved good results to some extent entering into a relation with our domestic research trends. However, to improve the level of the future researches, some urgent measures to establish systematic measures and activate researches fo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researchers, for example, the imp0rtance of summarizing relevant data and translation and publication is suggested. At the same time, it is also suggested that domestic researches on Nammyonghak study should search for research cases of Confucianism in modern China in order to look for a way to contribute to the real society without remaining in the stage of repeating and stating the discourse of the existing Nammyong though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명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