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漢文科 교원양성교육과정의 基本履修科目 구성과 운영 방안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5.05
39P 미리보기
漢文科 교원양성교육과정의 基本履修科目 구성과 운영 방안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漢字漢文敎育 / 37권
    · 저자명 : 李東宰

    목차

    ▮ 국문초록
    Ⅰ. 緖論
    Ⅱ. 기본 이수과목의 내용
    Ⅲ. 교육과정의 현황과 특징
    Ⅳ. 구성과 운영방안의 모색
    Ⅴ. 結論
    ▮ 參考文獻
    ▮中文摘要
    ▮ Abstract

    초록

    본고는 우리나라의 한문교사를 양성하는 10개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각 대학의 교육과정을 교육부에서 제시한 한문교사 양성을 위한 기본이수과목을 중심으로 그 운영 실태를 살펴보고, 개선점을 찾아보았다.
    중등 한문교사의 자격 기준은 대범주로 한문문화의식, 교과지식, 학습자의 이해, 수업능력, 학습평가 능력 등이 있고, 그 세부기준이 20가지가 있으며, 이에 필요한 기본이수과목인 한문교육론, 경서강독, 한문문법, 문자학개론, 한문학개론, 한문학 사, 한문국역연습, 한시선독, 한문소설선독, 역대산문선독 등 10개 과목이 있다.
    먼저,우리나라의 10개 사범대학 한문교육과의 교육과정 운영 현황을 기본이수과 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교과교육학과 관련된 한문교육론이나 교재연구 및 지도법은 거의 모든 대학이 강좌를 개설하고 있으나 평가와 관련된 강좌의 개설이 거의 없었다. 교과 내용학에 있어서도 경전강독은 학교마다 편차가 매우 심하여 2개 강좌 에서 7개 강좌까지 다양하였고, 한문문법과 문자학개론, 한문학개론은 10개 대학이 1강좌씩을 개설하고 있었다. 한문학사는 7개 대학이 2강좌를 개설하고 1개 대학은 4강좌를 개설하기도 하였고, 한문국역연습은 5개 대학이 1강좌를 2개 대학이 2강좌 를 개설하였으며, 2개 대학은 1강좌도 개설하지 않았다. 한시선독은 2강좌에서 5강 좌를 개설한 대학이 있었으며, 한문소설선독은 8개 대학이 1강좌를 개설하고 있었 으며, 산문선독은 3강좌에서 7강좌까지 다양하게 개설하고 있었다. 그러나 한문문화 의식과 관련된 교과는 교과목의 명칭 상으로는 살펴볼 수가 없었다.
    다음으로,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첫째, 교과지식의 내 용에 대한 재편이다. 한문지식에 있어서도 경서강독과 문자학개론 등, 일부 강좌 는 그 내용의 중요도, 난이도, 범위 등으로 강좌를 더 많이 확보하여야 한다. 그리 고 한문의 특성상 文·史·哲 비중의 하한선을 두어 최소한의 이수가 이루어지도록 재편하여야한다. 둘째, 일상의 언어생활에 활용하고, 도구교과적 성격을 구현하기 위한 교과목의 개설이 필요하다. 셋째, 한문과의 목표 가운데 하나인 한자문화권 의 문화를 이해하고 상호협력하며 이해를 증진하기 위한 강좌의 개설이 필요하다. 넷째, 한문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교과의 신설이 필요하다. 다섯째, 전통문화를 이 해할 수 있는 교과의 개설이 필요하다. 여섯째, 교수·학습 계획-실행-평가라는 교 육학의 원론적인 이해를 위해서라도 평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평가관련 교과를 개설하여야 한다.
    나아가 교사는 전문직이므로 엄격한 자격과 자질을 갖추어야 한다. 전문인인 교 사를 만들기 위해 교사의 책무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의 운영이 필요하 다. 그리고 교육과정의 운영에 있어서 교과명과 내용요소가 일치하는가에 대한 문 제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있어야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surveyed curriculum operation in each of 10 colleges of education training Chinese classics teachers in Korea, focusing on the basic required courses for Chinese classics teacher education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looked for related problems and solutions.
    Qualifications for secondary Chinese classics teachers include general qualities such as cultural consciousness of Chinese classics, subject knowledge, understanding of learners, teaching ability, assessment ability, etc., and 20 practical qualities. In addition, there are 10 basic required subjects, which are Teaching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ology of Sino‐Korean Classics, Readings in the Confucian Classics, Chinese Classics and Grammar, Introduction to Chinese Characters, Introduction to Chinese Classic Literature, History of Chinese Classic Texts, Translation Practice of Chinese Classics, Selective Readings in Sino‐ Korean Poetry, Selective Reading in Chinese Classic Novels, and Selective Readings in Prose.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curriculum operation of the Chinese Classics Education Department at 10 colleges of education in Korea, focusing on the basic required subjects. Courses related to subject pedagogics such as Teaching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ology of Sino‐Korean Classics and Materials and Methods in Teaching Chinese Classics were offered in almost every college, but courses related to assessment were hardly found. With regard to subject contents as well, the number of courses for Confucian classic reading varied from 2 to 7, and all the 10 colleges opened Chinese Classics and Grammar, Introduction to Chinese Characters, and Introduction to Chinese Classic Literature. With regard to History of Chinese Classic Texts, 7 colleges offered 2 courses each, and 1 college offered 4 courses. For Translation Practice of Chinese Classics, 5 colleges offered 1 course each, 2 colleges offered 2 courses each, and 2 colleges did not offer at all. For Selective Readings in Sino‐Korean Poetry, some colleges offered 2‐5 courses each, and for Selective Reading in Chinese Classic Novels, 8 colleges offered 1 course each. For Selective Readings in Prose, the colleges offered 3‐7 courses each. Based on subject name, however, no subject related to Cultural Consciousness of Chinese Classics was found.
    Next, this study looked for strategies for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curriculum. First, the contents of subject knowledge need to be restructured. With regard to the knowledge of Chinese classics as well, some subjects including Readings in the Confucian Classics and Introduction to Chinese Characters need to offer a larger number of course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scope of content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Chinese classics, there should be a lower limit in the percentage of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so that the students may complete at least the minimum require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open courses for utilizing Chinese classics in daily language life and to implement the nature of tool subject. Third, it is necessary to open courses for understanding culture in the cultural region of Chinese character, which is one of the goals of Chinese classics education, and to promote mutual cooperation and understanding. Fourth, new subjects need to be developed for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Chinese classics. Fifth, subjects for understanding traditional culture should be opened. Sixth, for understanding the basics of education, which are planning, executing, and assessing teaching‐learning, assessment related subjects need to be offered so that the students may understand assessment systematically. Because teachers are professionals, they should be equipped strictly with required qualifications and qualities. Therefore, the curriculum should be operated in a way of training professional teachers and enhancing their accountability as a teacher. Moreover, serious discussions should be made on agreement between the name and contents of courses in curriculum op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字漢文敎育”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