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레슬리 뉴비긴(Lesslie Newbigin)의 에큐메니칼 교회론: 교회의 선교적 소명으로서의 교회일치와 연합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5.02
28P 미리보기
레슬리 뉴비긴(Lesslie Newbigin)의 에큐메니칼 교회론: 교회의 선교적 소명으로서의 교회일치와 연합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교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선교신학 / 38권
    · 저자명 : 조해룡

    초록

    레슬리 뉴비긴은 20세기 후반 복음의 진정성을 위협하는 모더니즘 과 진리를 상대화시키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끊임없는 도전 가운데 선교 의 성서적, 신학적 근거를 구축한 위대한 선교사이고 학자였으며 교회 연합 운동가였다. 그는 자신의 생애 동안 서구교회와 문화를 휩쓴 후기 계몽주의 문화 가운데 교회의 본질과 과제에 대한 상호 비판적인 분석을 끊임없이 찾으려고 노력했던 학자이다. 필자는 이런 정신에 입각하여 그의 에큐메니칼 교회론을 탐구했다. 그의 에큐메니칼 교회론 은 인도의 칸치푸람(Kanchipuram)에서 선교사로 일하면서 신학적인 문제에 봉착한 인도교회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도전으로부터 시작 되었다. 그리고 IMC 총무와 WCC 서기로 6년에 걸쳐 에큐메니칼 운동의 지도자로 섬기는 동안 보다 발전되었다. 그러나 그의 에큐메니 칼 교회론은 두 가지 교회론적 배경 하에서 형성되었는데, 1940년대 초반 교회는 단지 성경이 증명하고 있는 진리에 대해 응답하는 개인적인 믿음을 가진 자들의 모임이라는 그의 생각이 1950년대 서구 기독교 전통의 몰락과 함께 찾아 온 교회의 위기를 직시하고 교회회복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에큐메니칼 대화들에 있음을 깨닫게 되면서 바뀌게 된다. 그의 이런 변화들은 마침내 다양한 에큐메니칼 모임들을 참석하 게 하는 동기부여가 되었으며 에큐메니칼 학자로 거듭나는 중요한 초석이 된다. 그의 에큐메니칼 교회론의 방향은 교회의 선교적 소명으 로서 교회일치와 연합에 있었는데, 에큐메니칼 교회론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뉴비긴은 교회일치와 선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20세기 현대선교운동의 주요 주제가 되어왔던 세계선교와 교회일치 분야에 주도적인 역할을 감당하면서 세계선교는 교회일치로부터 시작됨을 직시하고 교회는 일치와 연합을 통해 그리스도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에 게 그리스도를 증거해야 하고, 복음을 말과 행위로 증거하기 위해 교회의 에큐메니칼 연합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교회가 세계선교에 헌신하며 진정한 에큐메니칼 정신을 실천하기 위해 교회 간의 교파주의를 지양하고 그리스도 안에서 보편주 의로 나아가야 함을 뉴비긴은 주장한다. 교회는 다양한 교파를 가지고 있지만 결코 배척이나 대립관계가 아니라 보편적 입장에서 다양한 은사를 인정하고 은사들을 통해 하나님께서 보내신 선교적 소명을 감당해야 할 책임이 있음을 제시한다. 셋째, 뉴비긴은 세계선교와 교회일치의 구심점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있음을 제시한다. 그는 세계역사에 연합된 교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일치와 선교에 대한 교회의 부르심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에 있다고 보았다. 뉴비긴은 인간의 죄는 이웃을 기만하는 자기사랑, 시기, 미움에 의해 야기된 불일치에 있음을 지적하면서 모든 불일치를 해소하고 하나 될 수 있는 중심은 예수의 십자가에 있음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뉴비긴은 세계 일치를 강조하면서 에큐메니칼 운동의 진정한 의미는 교회일치의 차원을 넘어 세계역사 가운데로 나아가야 함을 제시한다. 교회는 지엽적인 태도를 버리고 일치와 연합을 모색해 야 하고 가시적 공동체 간의 일치를 통해 복음증거의 참된 증인으로 살아야 함을 제시한다. 나아가 하나님은 교회 안에만 계시는 분이 아니라 세계역사 가운데 계시는 분으로 이 세계역사 속에서 구속의 역사를 펼치시는 분임을 깨닫고 교회는 선교적 소명으로서 일치와 연합을 위한 에큐메니칼 교회로 나아가야함을 강조한다.

    영어초록

    Lesslie Newbigin was the great missionary, scholar, and activist for church unity in the late 20th century. He established missions’ biblical and theological evidence despite continual challenges from the Modernism, which threatened authenticity of the Gospel, and Postmodernism, which posed skeptical doubt on the Truth of the Gospel. During his life, he assiduously and persistently attempted to find the critical analysis of the essence and commission of the church from the culture of Post-Enlightenment, which swept Western Churches and Western cultures. With the basis of this spirit, the author analyzed Newbigin’s Ecumenical Ecclesiology. Newbigin’s Ecumenical Ecclesiology first originated as he tried to solve theological problems of churches in India during his years as missionaries in Kanchipuram, India. Then, his roles as the director of IMC and the secretary of WCC, and 6 years of experience as the leader of Ecumenical Movement helped him to bring further improvement on his Ecclesiology. Although his Ecumenical Ecclesiology was originally formed by two different Ecclesiology, it eventually changed as he changed his thought. At first, He believed that early churches in 1940s were the gatherings of believers who merely respond to the Truth in the Bible and have personal faiths. However, his thought began to change when he witnessed the fall of tradition of Western Churches and faced further crisis of churches. Then, he realized that the most significant factor of the Church’s recovery was ecumenical conversations. Such changes finally motivated him to attend various ecumenical gatherings and laid a strong foundation for him to become the ecumenical scholar. The focus of Newbigin’s Ecumenical Ecclesiology was Church’s accord and unity in the Church’s missional callings. Here are summaries of his Ecumenical Ecclesiology: First, Newbigin emphasized Church’s accord and the significance of Mission. Playing the leading role in the world’s mission and accordance, which is the main theme of 20th century’s modern mission movement, the Church should realize that world mission starts from the accordance of the Church. Also, the Church should preach Gospel to those who do not know Christ through the accord and unity of the Church. Lastly, in order to preach the Gospel through both words and actions, the Church’s ecumenical unity is especially important. Second, Newbigin asserts that in order for Church to devote herself in Mission and practice the Ecumenical spirit, the Church should eradicate denominationalism and form universalism in Christ. He suggests that the Church may have various denominations, but insists that such denominations must not cause any rejections or confrontations. Instead, denominations should universally work together to accept various gifts and to use those gifts to pursue their callings in Mission. Third, Newbigin contends that the center of World Mission and Church’s accordance is the Cross of Jesus Christ. H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united Church throughout the history of this world and insists that accordance and Church’s missional callings are from Jesus Christ. Furthermore, He points out that selfish love for oneself, jealousy, and hatred eventually lead to sins and causes discordance. Then, he adds that the one and only solution for all these discordance is Jesus Christ. Lastly, as he emphasizes the accordance in the World, Newbigin proposes that the true meaning of Ecumenical Movement is to explore ways toward Church’s accordance and unity and to live as the true witnesses of the Gospel for the accordance of the community. Furthermore, God does not simply exist inside the Church, but He is at the center of history of this world. Therefore, the Church should understand that God works throughout the history. Moreover, the Church must work its ways toward accordance and unity in Church’s missional callings and become ecumenical church.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덕분에 과제 제출 기한을 맞출 수 있어 정말 감사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교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