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韓國 漢文文法의 音韻論 敎育論 硏究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5.01
42P 미리보기
韓國 漢文文法의 音韻論 敎育論 硏究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漢字漢文敎育 / 36권
    · 저자명 : 안재철

    목차

    Ⅰ. 緖 論
    Ⅱ. 音韻論 敎育論
    1. 音韻論敎育論의 目標
    2. 音韻論 敎育論의 內容
    1) 同字異音異義字
    2) 同字同音多義字
    3) 異字同音同義字
    4) 合音字
    5) 頭音法則 및 받침 脫落 現象
    3. 音韻論 敎育論 敎授法
    4. 音韻論 敎育論 評價法
    Ⅲ. 結 論

    초록

    이 논문은 한국에서 한문문법 중, 한 갈래인 음운론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연구 방향과 그 내용을 제시한 논문이다. 또한 이 논문은 필자의 이미 발표한 ‘한국 한문문법 교육론의 연구 방향’이란 논문 중,‘음운론 교육론의 연구 방향’의 내용을 실제적으로 구체화한 논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이 한문의 음운론적인 지식을 통해, 흥미를 가지고 한문 원전의 해석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연구하는 것과, 교수자 입장에서 학습자에게 음운론적으로 한문을 교육시킬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하였다.
    이 논문에서 주로 살펴 본 분야는 음운론 교육론의 목표, 음운론 교육론의 내용(同字異音異義字연구, 同字同音多義字 연구, 古今字 연구) 음운론 교수법 연구, 음운론 평가법 연구 등이다.
    1. 音韻論 敎育論의 目標
    1) 한자의 字源을 안다.
    2) 同字異音異義字의 개념과 유형을 안다.
    3) 同字同音多義字의 개념과 유형을 안다.
    4) 異字同音同義字(古今字) 및 異體字의 개념과 유형을 안다.
    5) 合音字의 개념과 유형을 안다.
    6) 한자 字體의 변천과정을 안다.
    2. 음운론 교육론의 내용
    1) 同字異音異義字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내에 있는 한자 중의 ‘동자이음이의자(한자가 같은 형태이지만 음도 다르고, 의미도 다른 한자)’들은 降(강, 내릴 : 항, 항복할), 更(갱, 다시 : 경, 고칠),車(거, 수레 : 차, 수레), 見(견, 볼 : 현, 뵈올) 등의 한자를 비롯하여 44개 정도의 한자가 있다.
    2) 同字同音多義字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내에 있는 한자 중의 ‘동자동음다의자(한자가 같은 형태이고 음도 같은데, 뜻이 여러 가지가 있는 한자)’들은 可, 經, 道 , 說, 등의 한자를 비롯하여 85개 정도의 한자가 있다.
    3) 異字同音同義字(古今字)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내에 있는 한자 중의 ‘이자동음동의자(고금자: 한자가 다른 형태이지만 음과 뜻이 같은 한자)’는 ‘舍 -捨’‘云 -雲’ ‘然 -燃’ ‘見 -現’‘昏- 婚’, 등을 비롯하여 27개 정도의 한자가 있다.
    4) 合音字
    어떤 한자들 중에는 변화과정에서 두 음절이 합쳐져서 한 음절로 된 한자를, 合音字라고 한다. 합음자에 해당하는 한자들은 ‘耳(而 + 已:<이>, ~뿐이다)’ ‘盍(何 +不:<합>, 어찌아니할)’ 諸(之+ 於:<저>, 그것을~에서)’등이 있다.
    5) 頭音法則 및 받침 脫落 현상
    한국에서 한자 어휘를 바르게 발음하기 위해서는 해당 한자의 발음이 다른 한자의 발음과 결합할 때의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음운론적 규칙이 있다. 이런 규칙에는 두음법칙(예:良藥<량약 →양약>)과, 받침 탈락현상(예:不當<불당 →부당>) 두 가지가 있다.
    3. 音韻論 敎育論 敎授法
    음운론의 교수-학습법은 음운론의 내용들을 학습자들이 쉽고 재미있게 체계적으로 그 원리를 터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먼저 ‘음운론’의 개념을 이해시켜야 하고, 다음에 한자의 3요소와 字源의 원리, 古今字와 異體字, 동자이음이의자 및 동자동음다의자의 개념 및 유형, 한자의 변천과정 등을 스스로 파악할 수 있도록 문제를 제시하여 이해를 돕게 한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직접적으로 한자의 자원 원리, 고금자, 한자의 다양한 음과 뜻을 이해하고 체계를 세워보도록 지도 한다.
    주로 한국에서 한자의 형태와 음과 뜻과 관련된 음운론 교육론 교수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한자의 형태와 뜻과 관련된 지도법으로는 ‘구조 분석법’ ‘자원(字源)활용법’ 등이 있고, 한자의 음과 뜻과 관련된 지도법으로는 ‘한자 카드 활용법’ ‘言語活用法’ ‘索出法’ ‘比較學習法’‘ 웹기반학습법’등이 효과적이다 할 수 있다.
    4. 音韻論 敎育論 評價法
    한국 한문문법 교육론에서 음운론은 주로 한자의 形과 義를 중심으로 하고, 音은 뜻을 구별하는 측면에서 취급하여야 할 것이다. 한자가 한문을 구성하는 字素로서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기 때문에,해석을 할 때 한자의 字源 및 古今字와 同字異音異義字 및 同字同音多義字 등의 원리를 알아야 하는 것과 암기해야 하는 것 등을 나누어 가르치고 평가해야 한다. 또 한자들의 짜임원리와 어휘의 자료를 통해 학습자 스스로 짜임 원리와 한자의 여러 가지 음과 뜻을 발견하게 하고, 그 과정에서 관찰력, 판단력, 분석력, 종합력 등을 평가하여야 할 것이다.
    한국에서 음운론 교육론 평가법은 중 ・ 고등학교 한문교과에, 현행 2009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한문과 成就基準 및 成就水準이 개발이 되어 있어 우선 이를 따르기로 한다. 본고에서는 2009년 개정 중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의 ‘한자’영역에 따른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의 내용을 중심으로, 학급단위 중, 중학교에 관한 것만 음운론(한자영역) 교육론 평가법에 대하여서만 살펴보았다.
    1) 中學校 漢文 漢字領域의 成就 基準 및 成就 水準
    중학교 한문교과의 한자영역의 성취기준 및 단위 성취수준의 記述은 각 성취기준에 따라 성취 수준을 다시 ‘상, 중, 하’의 3단계로 설정하였다. 또한, 성취수준 (상, 중, 하)간에 質的인 차이를 낼 때, ‘상’수준은 ‘설명할 수 있다’, ‘중’수준은 ‘말할 수 있다’, ‘하’수준은 ‘조사할 수 있다’라는 行動動詞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수준에서는 ‘구별하다’, ‘활용하다’ 등의 어휘를 사용하여 ‘중’ 수준과 도달한 정도에 차이를 두어 구별하였다. 용어사용에 있어서는 성취기준에서 사용한 구분이 ‘나눔’ ‘분류’에 구분을 두었다면, 단위 성취수준에서 사용한 ‘구별’은 분류한 각각의 특징, 차이를 이해하는 데 강조점을 두었다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suggests the research direction of educating Phonemics of Classical Chinese Grammar in Korea. This Thesis mainly focuses on two things. First, developing Korean’s interpretation ability to the original text through the knowledge about Phonemics of Classical Chinese Grammar. Second, studying the way instructors teach Classical Chinese in Phonemic
    methods. In other words, we will look through the objects, content(study of ‘same-words-different-sounds-different-meanings’, ‘same-words-same-sounds-different-meanings’, ‘different-words-same-sounds-same-meanings’), instruct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of educating Phonemics.
    1. The objects of educating Phonemics
    1) Know the letter origin of Classical Chinese
    2) Know the concepts and types of ‘same-words-different-sounds-different-meanings’ letters
    3) Know the concepts and types of ‘same-words-same-sounds-different-meanings’ letters
    4) Know the concepts and types of ‘different-words-same-sounds-same-meanings’ letters
    5) Know the concepts and types of ‘Syllable-combined’ letters
    6) Know the transition of letter shape
    2. The contents of educating Phonemics
    1) ‘same-words-different-sounds-different-meanings’ letters Among the basic 1800 letters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re are about 44 ‘same-words-different-sounds-different meanings’ letters including 降, 更, 車, 見.
    2) ‘same-words-same-sounds-different-meanings’ letters Among the basic 1800 letters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re are about 84 ‘same-words-same-sounds-different-meanings’ letters including 可, 經, 道, 說.
    3) ‘different-words-same-sounds-same-meanings’ letters Among the basic 1800 letters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re are about 27 ‘different-words-same-sounds-same-meanings’ letters including ‘舍 - 捨’ ‘云 -雲’ ‘然 -燃’ ‘見 -現’ ‘昏 -婚’.
    4) ‘Syllable-combined’ letters When two syllables combined and became one syllable, this letter is called ‘Syllable-combined’ letter. For example, there are ‘耳’ ‘盍’ ‘諸’
    5) ‘Head-sound’ rule and ‘base-omission’ phenomenon In Korea, there are Phonemic rules in which one letter’s sound changes according to its environment in order for people to sound that letter better. These rules include ‘Head-sound’, ‘base-omission’ rules.
    3. Instructing method of Phonemics It is recommend that students learn the principles and contents of Phonemics easy and systematically in the point of ‘instructing-learning method’. In Korea, there are some instructing methods related to letter shape, sound, meaning. For instructing methods related to letter shape and meaning, there are ‘structure analysis method’ and ‘letter-origin using method’. For instucting methods related to letter sound and meaning, there are ‘letter card using method’, ‘language using method’, ‘finding method’, ‘comparison learning method’ and ‘wed-based method’.
    4. Evaluation method of instructing Phonemics Evaluation of instructing Phonemics about Classical Chinese should be done as an extension of ‘teaching and learning Phonemics’. And while evaluation should be mainly done with letter shape and meaning, letter sound should be evaluated in the aspect of distinguishing meanings.
    Specifically, instructors should classify Classical Chinese letters to two classes. In first class, students should know letters’ principles, and in second class, students should memorize those letters. Instructor should teach students according to these categories. Also, through letters’ composition principles and vocabularies, learners should find letters’ various meanings and sounds, and understand composition principles on their own. In this process, instructors should evaluate learners’ observation, judgement, analysis and synthesis abilities.
    In Korea, achievement levels and standards are developed, which are based on current 2009 revised curriculum of Classical Chinese subject in middle·high school. In this thesis, among these achievement levels and standards evaluation methods, I especially studied about evaluation method of instructing phonemics in middle school.
    1) Achievement levels and standards in middle school related to Classical Chinese : Chinese letter domain
    Achievement levels and standards in middle school related to Classical Chinese : Chinese letter domain describes achievement levels as ‘high, middle, low’ three levels. Also, when making qualitative difference, this standard uses words ‘explainable’ to high level, ‘talkable’ to middle level and ‘researchable’ to low level. Moreover, this standard differentiates high level from middle level using words ‘distinguish’, ‘apply’ to high level.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었고, 과제를 를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字漢文敎育”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