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근대도자의 개항단계 기점 시론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4.12
25P 미리보기
한국 근대도자의 개항단계 기점 시론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문화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문화비평 / 5권
    · 저자명 : 엄승희

    목차

    Ⅰ. 머리말
    Ⅱ. 근대 도자사의 기점 요인 분석
    1. 제작배경의 전환 : 조선 말기부터 20세기 초기
    2. 분원(分院) 민영화와 근대성
    Ⅲ. 한국 근대도자 기점 연구현황과 개항단계 기점 시론
    1. 근대도자 기점 연구의 현황
    2. 개항단계 기점 시론
    Ⅳ. 맺음말

    영어초록

    In the domain of Korean arts history, the studies on the beginning of the Korean modern arts have been insufficient so far. But there have been attempted to deal with this issue in the various fields of Korean arts. But the field of crafts, compared to the fields of painting or architecture hasn't given us good results about this.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beginning of modernization and the modernity of the ceramic crafts that appeared since the period of transition into modern era.
    In the late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various ceramics used by royal class were intensively produced especially in Bunwon(分院) that was operated by government and the ceramics for the general public's daily life were produced actively in local kilns. But various foreign ceramics that were imported due to the opening of ports after the Treaty of Ganghwa-Island(江華島) in 1876 and the privatization of Bunwon in 1884 caused the traditional way of making ceramics to change a lot. And modern techniques of producing ceramics were imported from the West and experts from various countries were invited. Especially,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morden system of ceramic production was imported from Japan.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the ceramic process and the distribution changed much, these aspects indicate the modernity of the Korean ceramics.
    This paper examined the progression of the aspects of the Korean ceramics that had undergone change since the late period of the Chosun in order to determine the period, the modernity of Korean ceramics began and established. The period of emerging modern ceramics were divided into two period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the system of manufacturing ceramics and the government policy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first period began when the Chosun opened her ports to foreign powers. After the reformation of systemin the late period of the Chosun, the opening of ports conclusively led to the different framework of the manufacture system that was new to the Chosun. And, in the period of the Great Korean Empire that succeeded the Chosun dynasty around the time of the privatization of Bunwon, modern factories research and education institute for ceramics were established foreign experts with technical skills came into Korea. However, Japan occupied Korea forcedly 5 years after they set up resident-general office in Korea, this caused the modernization. Japan adopted various policies in favor of them and made the manufacturing of the Chosun white porcelain declined fast. Partially the modern technique was adopted making vessels which changed the supply and demand of ceramics. Therefore,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when Korea faced the new modernization without voluntary agreement, can be classified as the second period of modernization. Especially in the period of about 40 years since 1910, the year when Japan began to occupy Korea, there were a lot of changes in the ceramic industry. So this period can be considered as a very important period of modernization.
    In the period of the opening of ports, the aspects of manufacture and the supply and demand of Korean modern ceramics began to change and the privatization of Bunwon caused the manufacture system to change rapidly. And through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after the period of the Great Korean Empire, the modernization was pushed ahead forcedly without voluntary agreement.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ity of this period be analyz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change of situation and system of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었고, 과제를 를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