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영남지역 鄕戰의 분석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4.09
44P 미리보기
조선후기 영남지역 鄕戰의 분석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명학연구 / 43권
    · 저자명 : 김준형

    목차

    Ⅰ. 머리말
    Ⅱ. 영남 향전의 분석을 위한 전제
    Ⅲ. 영남 향전의 주체
    1. 기존 사족층 간의 갈등
    2. 신구향 간의 대립
    Ⅳ. 영남 향전의 매개물(배경) 또는 대상
    1. 향안과 관련된 향전
    2. 향교․서원을 둘러싼 향전
    3. 향임을 둘러싼 향전
    Ⅴ. 맺음말

    초록

    향전은 英祖대 이전부터 기존 사족간의 당파적 대립에서 시작된다. 이런 갈등으로 인해 사족층의 지배질서가 균열을 보이자, 그 틈새를 비집고 신흥세력들이 鄕權에 참여하면서, 향전이 점차 신․구세력간의 갈등의 모습까지 덧씌워진다. 영남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사족층의 지배질서가 비교적 안정되어 있었지만, 고을에 따라 사족층의 지배질서의 강약이 달랐다. 지배질서가 약한 고을에서는 일찍부터 새로운 세력이 新鄕으로 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컸다. 또 영남을 좌․우도로 나누어 볼 때, 좌도보다는 우도가 향전이 더 심했다.영남지역 중 우도, 특히 경남 서부지역을 근거지로 하고 있던 南冥學派는 원래 大北의 입장을 취하다가 仁祖反正 이후 침체하면서 대거 南人화해 갔다. 게다가 南冥集판본 훼손사건 등 여러 사건을 거치면서 발생한 소외그룹이 西人化하면서, 남명학파 내부에 서인(老論)․남인의 당파적 대립양상이 점차 확산되었다. 이런 갈등은 진주 인근의 고을에도 영향을 미쳤고, 좌도의 여러 고을에서도 당파적 갈등으로 인한 향전이 전개되었다. 18세기 중반 이후 영남에서도 新鄕․舊鄕의 대립으로 인한 향전이 나타난다. 그러나 이때의 신향은 鄕案에 새로 진입하려는 같은 사족층이었던 것 같다. 그런데 이후 영남에서는 수적으로 열세에 있던 신향들이 중앙의 老論세력의 지원 하에 자기 세력을 확장하기 위해 다른 계층의 세력을 끌어들이면서 서얼층이나 다른 계층의 진입도 점차 확산된다.17세기 말 18세기 중엽 향안을 둘러싼 대립과 파치 현상은 이전부터 향촌사회 내의 재지사족간의 당파적 대립이 격화되면서 일어난 것이었다. 이런 와중에 같은 사족반열에 있으면서도 향안에 입록되지 못한 인물들은 점차 중앙의 서인․노론세력의 지원에 힘입어 향안에 들어오게 되고, 이에 따른 분란이 신․구향의 향전으로 발전한 것이다.영남에서의 교원을 둘러싼 갈등도 일찍부터 기존 사족간의 당파적 대립 양상으로 전개되어 왔지만, 영조대부터는 신․구향간의 대립이 점차 부각되기 시작한다. 신향도 향교․서원에 대해서도 똑같은 참여를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通淸운동을 전개하던 서얼들도 교원에 참여하게 되면서 영남 각 고을에서도 기존 사족과 서얼간의 갈등이 격화된다.향임을 둘러싼 향전에서도 처음에는 기존 사족간의 당파적 대립으로 향전이 일어났다. 그러나 후대로 가면서 영남에서도 향임을 둘러싼 신․구향간의 향전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런 향전은 19세기 말에는 사족층뿐만 아니라 향리층까지도 노골적으로 파벌을 형성하여 향전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인다.

    영어초록

    Hyangjeon started from confrontation between existing nobilities from before King Yeongjo. As there was some crack in ruling order of nobility groups due to such conflict, emerging powers participated in Hyangjeon, using such gap so that there also appeared conflict between existing power and emerging power. In Yeongnam area, ruling order of nobility groups was comparatively stable than other areas but according to village, strength of ruling order of nobility groups was different. There was high possibility for a new power to appear as a new local power in the village with weak ruling order. And from two areas of Yeongnam such as left and right Yeongnam, right Yeongnam showed severe Hyangjeon than left one. Nammyeong school(南冥學派) in right area out of Yeongnam areas, especially, in western area of Gyeongnam had originally a position of Daebuk(大北) but as they fell after Injo coup, they became near Namin(南人) in large scale. Furthermore, as several events like damage on woodblock-printed book of Nammyeong collection(南冥集)happened, neglected group by this became near Seoin(西人) so that confrontation between Seoin and Namin within Nammyeong school gradually expanded. Such conflict affected villages around Jinju. And Hyangjeon developed in several villages of Jwado due to conflict between nobility groups.After the 18th century, Hyangjeon due to confrontation between new local power and existing local power appeared in Yeongnam. But it seems that the new local power of then times was same nobility group who tried to be listed on nobility record newly. Since then, in Yeongnam, as inferior new local power won power in other class over to expand their power under central Noron(老論), entry of concubine sons or other class gradually expanded.The phenomenon of confrontation and abrogation surrounding nobility record in the end of the 17th century through middle of the 18th century was caused by confrontation between nobilities in local society. In this midst, figures in the nobility class but were not listed on nobility record were supported by central Seoin and Noron. As a result, they were listed on the record so that this developed to Hyangjeon between new power and existing power. The conflict surrounding Confucian school and Confucian academy in Yeongnam had developed to confrontation between existing nobilities from early time. From reign of King Yeongjo, confrontation between new local power and existing local power began clearly. New local power asked for equal participation about Confucian school and Confucian academy. As concubines sons who did Tongcheong(通淸, abolition of social discrimination) movement participated in Confucian school and Confucian academy, conflict between existing nobility and concubines sons became severe in each village in Yeongnam.There was Hyangjeon surrounding Hyangim(鄕任, post in local community) due to confrontation between existing nobilities in the beginning. But in the late period, Hyangjeon began to appear between new local power and existing local power surrounding Hyangim in Yeongnam. In the 19th century, not only the nobility but also lower official group formed faction plainly and then, participated in Hyangjeon in proactive wa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명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