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일본의 '바우하우스 사진' 수용과 국가 선전: 야마와키 아와오의 '포토몽타주'에 대한 재조명을 통하여

3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0.06
33P 미리보기
근대일본의 '바우하우스 사진' 수용과 국가 선전: 야마와키 아와오의 '포토몽타주'에 대한 재조명을 통하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이론과 현장 / 9권
    · 저자명 : 서희정

    목차

    I. 문제제기
    II. 일본의 바우하우스 수용과 영향력
    1. 일본의 바우하우스 교육의 수용
    2. 야마와키 이와오의 바우하우스 유학과 ‘포토몽타주’의 수용
    III. 제2차 세계대전과 야마와키 이와오의 사진벽화
    1. 1939년, 1940년의 뉴욕 만국박람회의 사진벽화
    2. 1943 년, 일본극장빌딩의 사진벽화
    IV. 고찰: 야마와키 이와오의 ‘포토몽타주’의 재조명과 ‘바우하우스 사진’의 용어
    참고문헌
    Abstract

    영어초록

    The Bauhaus educational method gave the strong influences on Modern Japanese art and design education. In the 1920s and 1930s, Japan allied with Germany and Italy politically and tried to receive German system to be modernized. The reception of the Bauhaus and Moholy-Nagy's photographic theory was one of those activities at that time. Japanese intellectual class went to the Bauhaus and studied there; Ishimoto Kikuchi, Nakata Sadanosuke, Mijutani Takehiko, Yamawaki Iwao and Yamawaki Michiko(Yamawaki Iwao's wife). Especially, Yamawaki Iwao studied about the architecture at the Bauhaus, but his interest moved toward the photography and the photomontage based on Moholy-Nagy's theory. He studied at the photography workshop of the Bauhaus presented by Peterhans irregularly. Even though Yamawaki Iwao was an architect, he wanted to be admitted as an expert for the photomontage that he particularly studied at the Bauahus as a Bauhaus member. He had presented many articles about the photomontage at the photography magazines in Japan in order to introduce it to Japan since he returned in 1933. Thus, Yamawaki Iwao is the important person when we look back the Modern Japanese design and art history. In Japan, the art and design systems are managed by the Bauhaus educational system until now, and it has become a kind of cultural legacy in Modern Japan; The university of Tama and The university of Tsukuba are the representative educational systems which are based on the Bauhaus legacy. However, Yamawaki Iwao had been concealed as a photographer in Japanese design and photography history until the retrospective discuss named by ‘Bauhaus syashin(Bauhaus Photographies)’ at the photography magazine, Deja-vu in 1995 and the retrospective exhibition titled as ‘Bauhaus syashin(bauahustofografie)’ in 1997. This study rethinks of Yamawaki Iwao's historical position while looking at the term as ‘Bauhaus Syashin(Bauhaus Photographies)’ used in Japan. It is very important to bear in mind Moholy-Nagy's wide variety of approaches to photography at the Bauhaus, but it is impossible to name it ‘Bauhaus style’. ‘Bauhaus style’ is the international style in architecture, but that was never a Bauhaus style in photography. Eugene J. Prakapas indicated that the vague term of ‘Bauhaus Photographies’ in his article in 1985 as well. This study considers the historical background for the mistake of the term of ‘Bauhaus Syashin(Bauhaus Photographies)’ in Modern Japanese history, while looking at Yamawaki Iwao's photomontage faintly entering on the historical stage again to discuss the reception of the photomontage from him. In particular, Some of Yamawaki Iwao's photomontage presented as the wall photography in Japan during the Second World War, that was related to the propaganda of Japanese government. It had not been known well in the modern Japanese art and design history because it was related to a declaration of the Second World War by Japan. However, the historical position of his photomontage is very important for Japanese history when we rethink of the reception of the Bauhaus and Moholy-Nagys' photographic theory to build up the Japanese modern history. In the result, this study wants to discuss that the mistake of the term of ‘Bauhaus syashin(Bauhaus Photographies)’ in Japan is related to the interpretation for the the historical position for Yamawaki Iwao's photomontage in the reception of Bauhaus and Moholy-Nagy's photography in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질이 매우 높고,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인상적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활용하기 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