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에드 루샤(Ed Ruscha): LA 팝아트와 할리우드 이미지의 수용과 확장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2.12
29P 미리보기
에드 루샤(Ed Ruscha): LA 팝아트와 할리우드 이미지의 수용과 확장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문화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문화비평 / 3권
    · 저자명 : 김용선

    목차

    Ⅰ. 머리말
    Ⅱ. 루샤와 LA
    1. 페러스 갤러리
    2. LA 팝아트의 수용
    Ⅲ. 루샤의 작품에 나타난 서부 이미지
    1. 작품<할리우드 사인 Hollywood sign>
    2. 페러스 스터드의 확장
    Ⅳ. 맺음말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work of Ed Ruscha (1937-present) and his relationship with the Ferus Gallery that vigorously promoted pop art in the western parts of the US throughout the 1960s and 1970s. Ruscha is a conceptual artist and recognized as an iconic figure in the history of LA pop art. His earlier works formed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southern Californian area. He chose objects from the elements of pop culture, and worked on a wide array of media including painting, photography, artist books and film. By the 1960s, Ruscha has acquired a status as a significant, influential figure as a pop artist, photographer and conceptual artist. In the 1970s, he exhibited his works at the Leo Castelli Gallery in New York, expanding his influence to the east coast. But it was not until 2004 that his retrospective was held at the New York Whitney Museum. Before that, he was mostly known as an artist based in LA both geographically and in terms of his work. Indeed his better known work was created in LA, especially in the early days. Raised in Oklahoma, Ruscha moved to LA in 1956 to attend an art college at age 19. Seven years later, he had his first solo exhibition at the Ferus Gallery. Familiar with pop art elements of Hollywood, beach scenes, palm trees, film and automobiles, artists from LA established their own identity and art world, set apart from east coast-based artists. In particular, artists that worked with the Ferus Gallery were often associated with masculine images, and they adopted this as their persona. The group of them came to be called the Studs. Meanwhile, Ruscha took a slightly different approach. While blending in with other members of the Studs, he expanded or even overcome the macho image through humor and irony. Alexandra Schwartz did extensive in-depth research on Ed Ruscha, and noted that Ruscha could be understood as a mediating figure of the Ferus Gallery, as he was accepted in both the west and the east coast. Schwartz argued that although Ruscha widely used images of the west, he could take a more neutral perspective than other LA-based artists at the time. To him, LA was home and workplace, but Ruscha refused to play along with the cliché of the macho images. As a representative artist of the Ferus Gallery, Ruscha twisted the meaning of the Ferus Studs, intentionally and strategically, and expressed them in his work. With Jerry McMillan, Ruscha actively engaged in opinion-exchanges and image-creating. He augmente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s, which evolved to be a part of various public images that Ruscha experimented with. Ruscha added a new facet of artistic persona to the Studs. The masculine and aggressive images of the Studs members were reproduced in many photos. While connecting to them for solidarity, Ruscha humorously twisted the images, and moved away from the stereotype. Ruscha was a leading artist for the gallery, and widely experimented with the images of the Studs in his 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 덕분에 ,복잡했던 과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질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완벽한 자료였습니다. 매우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