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해안 항포구의 자연환경 및 GIS 분석을 통한 우산국 정복의 출항지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0.12
40P 미리보기
동해안 항포구의 자연환경 및 GIS 분석을 통한 우산국 정복의 출항지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이사부학회
    · 수록지 정보 : 이사부와 동해 / 2권
    · 저자명 : 장동호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6세기경 동해안의 해수면 복원
    Ⅲ. 연구지역의 자연환경
    Ⅳ. 과거 및 현재의 항포구 현황
    Ⅴ. GIS를 이용한 출항지 입지 분석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영동지방은 삼국시대 때 신라와 고구려 사이에 분쟁이 자주 발생하였던 지역으로 동해안에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요충지였다. 동해안 지역의 고고학적 기록에 의하면, 영동지방은 5세기까지 고구려와 신라의 접경지로 남아 있다가, 6세기에 들어 완전히 신라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이는 신라가 바다 건너 우산국의 복속을 추진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2012년은 신라의 이사부가 한반도 동해안 지역에서 출항하여 우산국을 한반도의 역사로 편입한지 1,500년이 되는 해로, 역사서에 기록된 문자의 기록을 학술적이고 과학적인 접근 방법으로 그 실체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라의 이사부가 우산국을 정복하기 위해 출항하였던 출항지를 분석하기 위해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 울진군의 과거 및 현재의 항포구를 대상으로 자연환경 및 GIS 입지분석을 통해 객관적인 출항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항지의 정확한 항만입지를 분석하기 위해 기존 연구자들의 해수면 복원 자료를 중심으로 6세기(512년)경의 해수면을 복원하였다. 연구자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복원결과 6세기경의 해수면은 현재의 해수면보다 약 1.1m 높았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GIS를 이용한 출항지 입지분석을 위해 삼척 지역의 일반적인 지질·지형 관련 자연환경을 조사하였다. 또한 한국수산지 및 고문헌에 나타난 과거 군사관련 진(津)과 포구가 입지하였던 곳을 지도화하였으며, 최근의 항포구 등도 지도화하여 GIS 분석의 기초자료로 이용하였다. 특히, 항포구의 자연환경 분석을 통해 항 포구의 자연환경 특색을 분석하였다. 셋째, 출항지가 위치할 수 있는 입지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GIS기법을 이용하여 울릉도와 동해안의 실거리 최단거리 및 동위도상 최단거리 분석을 실시 하고 버퍼링 분석 및 중첩분석, 지형경사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덕산항, 궁촌항, 장호항, 임원항, 삼척항, 초곡항, 신남항, 호산항, 작진항, 노곡항, 비화항, 고포항, 광진항, 후진항, 월천항, 용화항, 갈남항 등 총 17개소의 항구가 최단거리 및 동위 도상 최단거리 분석에 의한 입지요인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문헌에 기록된 진·포구는 정라진, 오분진, 후진, 광진, 고포, 노곡진, 월천진, 재산, 부호 진, 작진, 임원진, 덕산진, 부남, 대진, 신남진, 장호진, 갈산진, 초곡진, 원평, 추천 진, 분토진 등 총 21개소의 진·포구가 최단거리 및 동위도상 최단거리 분석에 의한 입지요인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항포구를 대상으로 경사분 석한 결과, 정라진, 오분진, 고포, 월천진, 임원진, 부남, 신남진, 장호진, 갈산진, 원평, 분토진 등 11개소가 경사 5°미만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배후지의 면적이 100ha 이상인 곳은 부남, 월천진, 정라진, 오분진, 원평 등 5개 소였으며, 100ha에 육박하는 곳은 임원진과 고포 2개소로 분석되었다. 넷째, GIS기법에 의해 분석되어진 출항지 후보지와 강릉지역에 위치한 안인진에 대한 3차원 정보 분석을 통하여 가시권 분석을 실시하였다. 3차원 정보 분석을 통한 가시권 분석은 고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후보지의 배후산지 중 가장 높은 봉우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봉우리는 안인진 월대산 (해발고도 68m), 정라진 봉황산(148.8m), 오분진 고산성(90m), 고포 태봉산(150m), 부남 무명봉(163m), 월천진 무명봉(160.3m), 원평 무명봉(99m), 임원진 무명봉 (141.1m) 등 8개소이다. 분석결과 안인진의 월대산을 제외하고 모든 지역에서 울릉도의 육안관측이 산술적으로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이사부 출항지 규명을 위한 종합분석결과, 울릉도의 육안관측이 가 능하고, 경사가 완만한 넓은 배후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울릉도와의 거리가 가까운 곳은 거의 대부분 삼척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출항지는 이러한 요인들을 포함하여 대규모 군진이나 행정관청이 위치한 지역적 요인과 피항 및 방어에 유리한 지형적 요인이 더 크게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조선시대 수군진이 위치하였던 정라·오분진 지역이 6세기 울릉도를 복속하기 위 해 이사부 장군이 출항했을 가능성이 높은 출항지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e Yeongdong area was a very important and strategic region. According to archaeological archives, the area was a border between Silla and Goguryeo until 5th century and was later declared as belonging to Silla territory. There where many and frequent conflicts her between Silla and Goguryeo. In 6th century, it completely became Silla territory, which led Silla to subjugate Usanguk (Ullung Island) across the sea. 2012 marks the 1,500th year since Silla’s general, General Isabu, left a port the east coast and incorporated Usanguk into Korean Peninsula. This research introduces an academic and scientific approach in investigating the identity of Usanguk by examining records and letters from historical books. In addition, this research looks more closely at the port from where General Isabu left to conquer Usanguk.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past and current ports and harbors located in Gangneung City, Donghae City, Samcheok City, and Uijin-gun were selected to objectively analyze the general’s outport. Existing ports and harbors will be examined using their natural environments and a GIS location analysis system. First, to locate the general’s outport, the sea level during the 6th century was restored based on data from existing research studies. As a result of the restoration, the sea level during the 6th century was determined to be higher by 1.1 m than it is at present. Second, to locate the general’s outport using a GIS location system, the natural environment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general geology and geomorphology of the Samcheok City. In addition, “Hangooksusanji” and Jins (military bases) as recorded in ancient documents were drawn on a mapping to further understand the situation during those times. This study analyzed the natural environments and characteristics of harbors and ports. Third, to objectively locate the outport,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Ullung Island and the east coast was determined using a GIS system on the same latitud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sing a Buffering Analysis, Overlay Analysis and Geomorphological Slope Analysis, 17 port were identified, which include the Doeksan port, Gungchon port, Jangho port, Imwon port, Samcheok port, Chogok port, Sinnam port, Hosan port, Jakjin port, Nogok port, Bihwa port, Gopo port, Gwangjin port, Hujin port, Wolcheon port, Yonghwa port and Galnam port. These ports were located with the shortest distance as analyzed on the same latitude. In addition, the following relevant areas were identified: 21 Jin and port, Jeonglajin, Obunjin, Hujin, Gwangjin, Gopo, Nogokjin, Wolcheonjin, Jaesan, Buhojin, Jakjin, Imwonjin, Doeksanjin, Bunam, Daejin, Sinnamjin, Janghojin, Galsanjin, Chogokjin, Wonpyeong, Chucheonjin and Buntojin, which are located at less than 5°in slope; 11 port, Jeonglajin, Obunjin, Gopo, Wolcheonjin, Imwonjin, Bunam, Sinnamjin, Janghojin, Galsanjin, Wonpyeong and Buntojin, which all are 100ha in the hinterland area; and 5 port, Bunam, Wolcheonjin, Jeonglajin, Obunjin, and Wonpyeong, which roughly reach 100ha. Fourth, this research uses a visibility analysis through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the proposed outport examined through the GIS system and on Aninjin located in the Gangneung area. The visibility analysis through three dimensional analysis used DEM data, analyzing the proposed rear mountains, the 8 highest peaks were selected, which were Mt. Woldae(68m) in Aninjin, Mt. Bonghwang(148.8m) in Jeonglajin, Gosan walls(90m) in Obunjin, Mt. Taebong(150m) in Gopo, Mt. Mumyeong(160.3m) in Wolcheonjin, Mt. Mumyeong(99m) in Wonpyeong and Mt. Mumyeong (141.1m) in Imwonji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arithmetically observe Ullung Island with the naked eyes in all the said regions except for Mt. Woldae in Aninjin. Lastly, as a result of a general analysis in determining the port from where General Isabu supposedly departed, it was possible to observe Ullung Island with naked eyes, and the proposed outport had rear mountains with a low slope. The said ports were located very near the Samcheok area, close from Ullung Island in the distance. This suggests that General Isabu selected one of these ports as his outport, which had a large-scaled military base and an administrative office. These ports were also known as defense areas or a place to search for boats in case of an emergency. Thus, it seems that to subjugate Ullung Island, General Isabu left Jeonglajin or Obunjin where naval station were based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사부와 동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