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나님 백성의 선교적 사명과 책무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4.07
39P 미리보기
하나님 백성의 선교적 사명과 책무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교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선교신학 / 36권
    · 저자명 : 이상훈

    목차

    한글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본론
    1. 선교적 해석학
    2.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3. 하나님 백성의 선교적 책무
    4. 선교적 존재로서 백성의 삶
    Ⅲ. 나가는 말
    Abstract
    참고 문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하나님 백성의 선교적 사명과 정체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교회의 본질회복에 대한 원리를 발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소고는 신학적 관점에서 선교의 주체로서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에 대해 살펴보고, 선교적 해석학의 관점에서 하나님 백성의 존재됨과 사명을 성서적으로 규명해 보는 시도를 기울였다. 먼저 필자는 선교적 해석학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비교적 최근에 발전하기 시작한 선교적 해석학은 성경을 선교적 맥락으로 이해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 결과 하나님의 선교가 삼위일체 하나님의 역학 안에서 어떻게 이루어 졌으며 그의 백성에게 어떻게 위임되었는지를 이해하는 근거가 되었다. 특히 선교적 해석학이 발전하게 된 중요한 계기에는 20세기 이후 하나님의 선교라는 신학적 개념 정리가 큰 역할을 했는데, 이로 인해 삼위일체 하나님은 선교의 하나님으로서 성자와 성령을 보내실 뿐 아니라 다시 교회를 사역의 대리자로 파송하게 됨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런 관점에서 하나님 백성의 선교는 특권이며 동시에 책무임을 알게 되었다. 그 비밀은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택과 언약을 통해 계시되었다. 특히 아브라함과 그의 자손들, 그리고 이스라엘 백성을 선택하시고 그들에게 맺으신 언약은 그들이 세상을 향한 축복의 통로가 되며 하나님 통치의 가시적 상징과 구원의 도구가 됨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들은 자신의 사명을 수행하는 일에 실패했고, 하나님의 계획은 예수의 십자가와 부활을 통해 그리스도를 믿고 따르는 계승된 이스라엘, 즉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위임된 것임을 발견하게 되었다. 하나님의 백성은 그 분의 선교사로서 세상에 보냄을 받았다. 그들은 하나님과의 특별한 관계 속에서 특권을 누리는 존재가 되었지만 동시에 모든 민족을 위한 축복의 통로로서 열방의 빛이 되고(사 42:6) 하나님의 통치가 가시화될 수 있도록 존재해야 했으며, 이를 통해 모든 민족이 주께 돌아오는 사명이 위임되어 있었다. 필자는 선교적 존재로서 하나님의 백성의 삶을 두 가지 관점, 즉 존재(being)로서의 선교와 행함(doing)으로서의 선교로 고찰해 보았다. 먼저 하나님의 백성은 존재적인 측면에서 하나님의 선교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은 세상과 구별되는 탁월한 하나님 나라의 기준에 의해 살아갈 때만 주어지는 특권이었다. 이를 위해 그들은 거류민으로서, 빛과 소금으로서, 대조사회로서, 대안 공동체로서 존재해야 했다. 그러나 이러한 삶이 세상을 거부하거나 회피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세상 한 가운데서 세상과 함께 하며, 세상을 위해 존재하는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사는 것을 의미했다. 이를 통해 하나님의 백성은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가시적 증표와 상징으로서 역할을 감당할 수 있게 된다. 둘째는 보냄 받은 사도적 공동체로서, 선포와 섬김을 통해 예수의 증인됨을 실천하는 일이었다. 그들은 말로만 복음을 증거하는 것이 아니라 선행과 행함을 통해 사회 변혁을 위해 노력하고, 공의와 정의가 넘쳐흐를 수 있는 사회가 되도록 헌신하는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상황화된 유연성과 성육신적인 자세를 통해 세상으로 들어가 선교적 삶을 살아내는 것이 백성의 책무 임을 또한 발견하게 되었다.결국, 선교적 교회는 그 구성원 하나하나가 하나님의 부름 받은 백성으로서 자기 존재됨을 발견하고, 보냄 받은 백성으로서 선교적 정체성을 실현하게 될 때 역동성을 가지게 된다. 세상을 위해 존재하고 섬기는 사역을 감당하게 될 때만 교회는 갱신되고 새로워 질 수 있음을 기억하고 한국교회가 끊임없는 회심과 헌신을 통해 하나님 나라의 귀한 도구로 지속적으로 쓰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principles for restoring the essence of Korean church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missional calling and identity of the people of God. To achieve the purpose, this brief study examines the missio Dei of the Triune God as the principal agent in the theological perspective. Moreover, it attempts to biblically define the character and tasks of the people of God through the perspective of missional hermeneutics. First, the author studies the meaning and role of the missional hermeneutics. Recently developed missional hermeneutics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the bible in the context of mission. As a result, God’s mission has become the basis for understanding how mission has been formed within the dynamics of the Triune God and how mission has been entrusted to God’s people. The theological concept of the “missio Dei”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missional hermeneutics after the 20th century. Through this development, Triune God was found to be the God of mission who not only sent the Son and the Holy Spirit, but also who is sending church as the representative for the ministry. In such perspective, we find that the mission is both privilege and responsibility. This secret was revealed through the revelation of God’s choice and promises in the Old Testament of the people of God. Especially by choosing and making promises to Abraham, his descendants, and Israelites meant that they are to be the channel of blessing and the tangible symbol of God’s reign and becoming the tool for salvation. However, they have failed to carry on their tasks and it was found that God’s plan was to be entrusted to the Israel that was succeeded by believing and following Jesus through the cross and resurrection. God’s people have been sent to the world as His missionaries. They have become those who enjoy the privileges of having special relationship with God, but at the same time, exist as the light of the world (Isa 42:6) and the channel of blessing for all ethnicities so that God’s reign can become tangible, and through this, the call has been entrusted for all nations to return back to God. The author considers the life of the people of God as a missional being in two perspectives; mission of being, and mission of doing. First, in the aspect of being the people of God, we must be able to carry out the mission. This is a privilege given only to those who live by the standard of God’s Kingdom that is set apart from the world. For this, they existed as resident aliens, salt and light, contrast society, and an alternative community.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such life has to deny or avoid the world. Rather, coexist in the middle of the world and to exist for the world as the people of God. Through this, God’s people can carry out the role of being the tangible proof and symbol of God’s love for the world. Secondly, as an apostolic community that has been sent, they were to proclaim and serve as the witnesses of Jesus. They not only must preach the gospel with their word, but also try to transform the society by doing good works and become a community that is dedicated in bringing righteousness and justice in the society. Through the contextualized flexibility and incarnational attitude they are to find the tasks of the people of God who goes into the world and live out the missional life.Ultimately, missional church becomes dynamic when each member of the church finds their identity as people called and sent by God as their missional identity is fulfilled. I wish Korean church would remember that she can only be renewed when she exist to serve and minister to the world in order for her to continuously be used as a tool for the Kingdom of Go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최신 정보를 반영하고 있어 믿을 수 있습니다. 특히, 각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 덕분에 복잡한 개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에게도 강력히 추천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교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