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교적 교회와 에큐메니칼 역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4.07
30P 미리보기
선교적 교회와 에큐메니칼 역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교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선교신학 / 36권
    · 저자명 : 김은수

    목차

    한글 초록
    Ⅰ. 시작하는 말
    Ⅱ. 선교적 교회를 위한 기구적 일치의 역사
    Ⅲ. 선교적 교회를 위한 에큐메니칼 연구의 역사
    1. 서유럽 연구그룹: 타자를 위한 교회
    2. 북미 연구그룹: 세계를 위한 교회
    3. 아시아 연구그룹: 선교적 교회를 위한 구조
    Ⅳ. 결론
    Abstract
    참고 문헌

    초록

    에큐메니칼 역사에서 선교적 교회를 위한 토론은 계속되어 왔다. 국제선교협의회가 1921년 창립된 이래 교회의 선교적 의무가 주요 토론의제였고, 1948년 암스테르담에서 세계교회협의회가 창설되면서 이 두 기구의 통합을 위해서 더욱 구체화되었다. 따라서 이 논문은 1961년 뉴델리에서 IMC로 대변되는 ‘선교’와 WCC로 대표되는 ‘교회’가 기구적 일치를 이루는 역사를 먼저 다루고, 선교적 구조를 위한 토론의 역사를 살펴봄으로써 선교적 교회의 신학적 근거와 그 핵심 내용을 밝혀서 오늘날 선교적 교회 논의에 기여하고자 한다.WCC 중앙위원회는 두 기구의 일치에 대한 재평가를 실시하여 ‘선교와 일치를 위한 교회의 소명’이라는 ‘롤(Rolle)선언문’을 채택하고, 일치를 위한 초안을 1957년에 제안하였다. 이를 WCC 중앙위원회는 1957년, IMC는 1958년 가나 총회에서 각각 수용함으로써 두 기구의 일치가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교회의 선교적 구조’에 대한 에큐메니칼 토론은 각 대륙별로 진행되었다. 먼저 ‘서유럽연구그룹’은 1965년 1차 연구를 마무리하여『구조원리로서의 선교』라는 보고서를 내었고, 이를 바탕으로『선교적 교회구조를 위한 투쟁 안에 있는 타자를 위한 교회』(Die Kirche für andere im Ringen um Strukturen missionarischer Gemeinden)를, 북미에서는『세계를 위한 교회』(Die Kirche für die Welt)를 출간하였다. 아시아 교회는 플레밍과 라이트가 각 지역에서 보내온 일부자료를 토대로 『선교적 교회를 위한 구조』를 1964년 공동집필하였다.선교적 교회를 위한 에큐메니칼 토론의 신학적 기여는『구조원리로서의 선교』이며, 교회론의 핵심인 ‘타자를 위한’ 명제는 본회퍼(D. Bonhoeffer)에서 비롯되었다.『타자를 위한 교회』는 샬롬(Schalom)이라는 성서적 개념으로 집약되며 이것은 후켄다이크(J. C. Hoekendijk)에 의해 발전되어 전통적인 ‘하나님-교회-세계’의 구조가 ‘하나님-세계-교회’로 바뀌게 되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o examine a short history of how both the missionary work representing as IMC(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in 1961, New Delhi and the churches representing as WCC(World Council of Churches) were integrated into one organization, and a short history of discussion for the Missional Church since the integration of both organizations. The discussion for Missional Churches in ecumenical history have been raised ceaselessly. Specially, the missionary duty of churches has been a main issue for discussion since IMC was instituted in 1921. And it has materialized as bringing the issue for integration with IMC steadily after the conference was held by ‘Faith and Order’ and ‘Life and Work’ together in 1938, Utrecht.Although the ecumenical history was started concretely after WCC was instituted in 1948, Amsterdam, there were not any tangible results of integration with the churches and missionary work. Also, they still existed separately in two organizations because there were many different viewpoints between them. Even if IMC was closely connected with WCC, there were some problems to make it difficult and not to be solved for the integration before the Whitby’s general meeting in 1948, Canada. As a result, IMC could not formally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WCC in 1948. However, both WCC and IMC were integrated completely in 1956, Herrenalb.This integration was positively regarded as both the missionary work and churches symbolically became one, but there was a criticism of opponents insisting that the missionary work will be a secondary issue of churches. With regard to the integration of IMC and WCC, Lesslie Newbigin emphasized the necessity of new paradigm for missionary work and the combination of churches, saying “the whole Church, with one Gospel of reconciliation for the whole world.”The missionary structure of churches, which is based on missio Dei in the Bible, should be ‘the whole life of the Church’ as well as ‘the Life of the whole Church’ as a disciplinant of missio Dei. The ultimate contribution about ecumenical studies for Missional Churches is the missionary work as a structural principle, and it is from the ecclesiology by D. Bonhoeffer, who presented an important issue for theological discussion. That issue is ‘the church for others.’ D. Bonhoeffer tried to understand pro me(for me), which is a slogan of religious reformation into pro nobis(for us) and pro nobis into pro aliis(for others). His understanding for churches was taken as the meaning of Shalom in a biblical notion. J. C. Hoekendijk made its notion much clearer. Shalom to him was because of a social matter for human communities transcending the individual salvation. Consequently he insisted that the churches should not be separated from the world, which is with God, and should aim at ‘ecumenical,’ that is, oikoumene. So the focal point of God’s plan is found in the world, not in the church, for the church is defined as a part of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제가 필요로 하는 지식을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과제 제출일이 얼마 남지 않아 시간이 부족했는데, 이 자료 덕분에 과제를 제출 할 수 있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교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