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진주는 주었으나>, <남편의 책임>을 통해 본 1920년대 염상섭의 젠더의식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2.06
31P 미리보기
<진주는 주었으나>, <남편의 책임>을 통해 본 1920년대 염상섭의 젠더의식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논집 / 23권
    · 저자명 : 조미숙

    목차

    1. 조선의 신여성과 남성, 그리고 작가 염상섭
    2. <진주>, <남편>을 통해 본 여성과 남성에 대한 염상섭의 젠더의식
    3. <진주>, <남편>을 통해 본 이성관과 사회활동에 관한염상섭의 젠더의식
    4. 신여성 계도를 위한 남성 주체 강조, 비분강개의 글쓰기
    5. 결론 : 젠더의식과 비분강개, 의미와 한계

    초록

    염상섭은 신여성을 다룸에 있어 부정적인 시선으로만 일관하던 동시대 많은 작가들에 비하여 조금은 객관적인 시선을 견지하고 있다고 보였다. 신여성에 대한 극도의 혐오를 보인 남성 작가들이 신여성들의 역사적, 사회적 무지를 강조하여 신여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심어주되 그들에게 아무런 변론의 기회를 주지 않았던 것과 달리 염상섭은 신여성들을 주동인물로 다루면서 오류의 삶에 대한 자기변호의 기회를 주고 있으며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묘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거리가 가까워졌다고는 하나 신여성에 대한 작가의 시선이나 이해의 정도는 그렇지 않았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염상섭은 남성의 근대성은 긍정하면서도 여성의 근대성에 관하여 매우 소극적이거나 부정적인 태도였다. 그는 여성의 주체적 행보를 주시하기보다 전통적인 여성성을 공고히 견지하며 여성을 극단적으로 이분화하려 하였다. 전통적 아비투스를 답습하고 그 안에 안주하는 여성들을 긍정적으로 보는가 하면 전통적 여성관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여성들을 부정, 그들의 존재를 위기로 담지하였던 것이다. 염상섭의 이런 위기의식은 작품 내에서 작중인물로 하여금 감상적인 토로와 한탄을 빈번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연설 장면의 빈번한 활용이나 인물의 비분강개식 토로를 통하여 작가는 당시 사회에 대하여, 또 신여성에 대하여 하고자 하는 말을 지나칠 정도로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다소 미숙한 방식의 글쓰기 방식을 무릅쓰더라도 일제하의 경박한 근대성에 대한 경계 등 작가의 주제의식을 뚜렷이 하고자 하는 의도 때문이라 판단된다. 하지만 염상섭은 당시 부정하고자 하는 모든 부정적 가치를 신여성에게 전가함으로써 이율배반적 근대의식을 보이고 있다. 그의 이러한 극단적 젠더의식은 당시 사회에 진출하려는 여성 지식인을 배제하고자 한 남성 지식인들의 그것에 다름 아니다.

    영어초록

    Yeum Sang-sup was considered the objective point of view in dealing with New Woman than many writers were consistently negative attention to that. Other writers on the New Woman was expressed extreme disgust. They stressed the historical, social ignorance of New Woman and their negative perceptions about the New Woman was created. But they did not give any chance of arguing to New Woman. In contrast, Yeum Sang-sup of the New Woman in the initiative when dealing with people, she's their fault for living is giving the opportunity to self-defense. And he is relatively familiar with her gaze, and depicted as has been observed. Yeum Sang-sup was evaluated having the eye when he deal with women as the objective character than any other male artists. But this time, we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he'd be a little prick with a distance female protagonist. Yeum Sang-sup have problems when dealing with New Woman or understanding of the degree of attention. Yeum Sang-sup didn't want to consider a way of life and the subjective self-awareness female protagonist like other writers. He terms reinforce the traditional femininity, and women were divided into two extremely. He was looking positive the women who followed the traditional habitus and settle in it. On the other hand, he denied the women to get away from the traditional to perspective on women. Yeum Sang-sup felt as a crisis such as the presence of women. Yeum Sang-sup was the antinomy tendencies that affirmed man's modernity, in contrary denied women's modernity and had negative attitudes. Yeum Sang-sup made characters resenting said while crying or sigh in the novels because he had such a gender-consciousness in contemporary society with a crisis awareness. He frequently wrote speeches scenes and how to talk through the hero reluctantly say they want to have overly direct expression. It is because author wanted to convey any message through even with low type. Soon it was because the writer's intentions over.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전문 지식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 많아, 과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2 오후